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5. 청년운동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가. 학교설립운동의 배경
              • 나. 각종 학교 설립운동
              • 다. 야학과 강습소의 개설
            • (4) 물산장려운동
              • 가. 물산장려운동의 배경
              • 나. 물산장려운동의 전개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가. ‘서상파’의 당재건운동
              • 나. ‘ML파’의 당재건운동
              • 다. 화요파의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가. 지회의 조직문제
              • 나. 사회적·정치적 정책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가. 암태도 소작쟁의
              • 나. 황해도 북률 동척농장 소작쟁의
            • (2)1920년대 후반기
              • 가. 전북 옥구군 이엽사농장 소작쟁의
              • 나. 용천 불이 서선농장 소작쟁의
              • 다. 갑산 화전민 항쟁
              • 라. 수리조합 반대운동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가. 조선노동공제회
              • 나. 조선노동대회
              • 다. 조선노동연맹회
              • 라. 조선노농총동맹
              • 마. 조선노동총동맹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가. 지역 합동노동조합과 직업별 노동조합
              • 나. 직업별 노동조합의 지역연맹체와 전국적 연맹체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가. 근우회의 창립
              • 나. 근우회의 이념:강령과 선언문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가. 강연회·토론회
              • 나. 야유회·체육대회·척사대회
              • 다. 기술강습회
              • 라. 음악회
              • 마. 야학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가. 형평청년회
              • 나. 정위단
              • 다. 형평학우회
              • 라. 형평여성회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가. 형평사 조직개편과 신강령의 채택
              • 나. 형평청년총연맹의 해체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가.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
              • 나. 청년회연합회의 활동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가. 초기 청년단체의 창립과정과 조직구성
              • 나.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가. 전조선청년당대회
              • 나.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가.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청년운동 방침
              • 다.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가. 청년운동의 방향전환
              • 나.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다. 조선청년총동맹의 해소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가. 민족문제 인식
              • 나. 공산대학에 학생파견과 공청학교 경영(계획)
              • 다. 조직방침 논쟁
              • 라. 연령제한 논쟁
              • 마. 학생운동 지도
              • 바.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고려공청 중앙총국은 ‘유일한’ 조선공산당이 없는 상태에서 공청 자체가 정치적인 운동에 많은 힘을 기울여야 했다. 이러한 상황은 공청 지도자들의 경험 부족과 각 당그룹의 대립의 영향과 함께 공청사업을 어렵게 만들었다. 고려공청 중앙총국은 각 그룹을 통일하여 공청을 건설하는 것에 대해 회의적이었다. 특히 서울청년회 내 ‘정치가의 횡포’를 개혁할 가능성이 없다고 판단했다. 서울청년회에 대해 청년단체라기보다는 하나의 ‘政黨’으로 규정했다.721)

 조선공산당이 결성된 그 다음날인 1925년 4월 18일 서울의 박헌영 집에서 고려공청창립대회가 열렸다. 대회에는 10개 道의 28개 세포단체 회의에서 선정된 대표 19명과 조공의 공청 파견대표 1명 등 20명이 참석했다. 참석한 대표들은 노동자(1명)·농민(1명)·여성(1명) 및 지식계급(17명)으로 모두 신흥청년동맹과 화요파에 속하는 30세 미만의 사회주의 청년이었다. 창립 직후 고려공청은 28개의 야체이카와 165명의 공청원을 보유하고 있었다. 그 가운데 지식계급이 95명이었고 노동자와 농민은 71명이었다.722) 고려공청의 책임비서는 박헌영이 선출되었으며, 국제공청의 유일한 조선지부로 승인되었다.

 고려공청은 서울청년회와 조선노동당 등에 대한 분해작용을 통해 사회주의 청년들을 개별적으로 공청에 끌어들였다. 이를 위해 서울청년회와 조선노동당에 모스크바 공산대학 출신의 공청원들이 파견되었다. 하지만 서울파와 화요파의 대립은 지방의 청년운동까지도 분열로 이끌었으며, 고려공청도 조선청년총동맹에서 힘을 상실하게 되었다.

 고려공청은 공청조직의 확대와 사회주의 선전, 혁명적 민족단체와 협동전선을 위한 활동을 전개했다. 고려공청은 공청원의 회비만으로는 활동에 필요한 비용을 감당할 수 없었기 때문에 비용의 상당 부분을 국제공청에게서 지원 받았다. 고려공청은 군연맹-도연맹-총동맹의 조직방침을 세우고 조선청년총동맹을 중앙집권적으로 개혁하려고 노력했다. 고려공청이 지도하는 합법단체인 신흥청년동맹 내에는 활동가와 노동청년·학생청년 각각의 연구반을 설치하고 지도자를 양성했다. 사회주의 청년들은 연구반에서 사적유물론과 국제청년운동사 등을 공부했다.723)

 고려공청은 창립 이후 일본 경찰에 의해 4차례에 걸쳐 대대적으로 검거되었다. 1925년 11월 ‘조선공산당 및 고려공청 제1차 검거사건’ 이후 權五卨을 책임비서로 하는 중앙위원회를 재건하고 공청 지방기관도 복구하였다. 고려공청은 조선공산당과 함께 민족협동전선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면서 1926년 5월 고려공청 제2차 대회를 개최하고자 했으나 일제 경찰망이 좁혀와 실패했다. 6·10만세운동을 계기로 ‘제2차 검거사건’이 터졌으며, 이로 인해 공청의 지방조직 대부분이 파괴되었다.

 고려공청 중앙은 盧相烈에 이어 高光洙를 책임비서로 선출했다. 고광수는 모스크바 공산대학을 졸업하고 고려공청에 파견된 자로 이미 1926년 3월부터 고려공청과 합동을 적극 요구하던 李仁秀·金炳一 등 서울新派 중심의 공청그룹 및 梁明(북경의≪革命≫잡지를 중심으로 한 공산주의의 그룹) 등과 함께 ‘레닌주의 동맹’을 만들어냈다. 1926년 8월 고려공청과 서울청년회를 중심으로 활동하던 공청그룹은 통합을 결의했다.724)

 고려공청은 1926년 12월 조선공산당 제2차 대회 시기에 고려공청 중앙위원회를 열고 각 부서 및 각도 지방책임자를 선정했다. 공청원의 대부분은 서울신파의 지도를 받는 사회주의 청년들로 보충되었다. 이 시기 고려공청의 야체이카수는 국내-37(서울파 공청 20), 만주-42, 일본-2개 등 81개였으며, 공청원은 과거의 고려공청원으로 국내-162명(이 가운데 80명 체포), 만주-164명, 일본-7명과 서울파 공청원으로 국내-96명, 일본-4명 등 모두 443명이었다. 1927년 초까지 경기도·황해도·평안도·함경남도·함경북도·전라북도·전라남도·경상북도·경상남도·강원도·충청남도·충청북도 등 11개의 고려공청 도기관을 건설했다.725) 이후 고려공청은 1928년 8월까지 양명-河弼源-金哲-金在明 등의 책임비서가 존재했는데 1928년 1∼2월의 조공 및 고려공청 제3차 검거사건과 1928년 8월을 전후한 제4차 검거사건으로 거의 모든 조직이 파괴되었다.

 고려공청은 1928년 12월 코민테른의<12월테제>에 따라 해체되었고, 당 및 공청 재건운동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공청 재건운동은 각파 공산주의 그룹에 의해 분산적으로 진행되었다. 1930년 이후에는 즉각적으로 공청을 재건하기보다는 혁명적 농민조합과 노동조합 안에 청년부를 설치해 사회주의 청년들을 결집하는 데 노력했다.726)

721)<高麗共産靑年會第1次創立代表會>, РЦХИДНИ Ф.533 О.10 Д.1891.
722) Представитель Ц.Б. Коркомсомоа(Тенътен-гван)(고려공청 중앙총국 대표 전정관),<Исполком КИМа, Доклад о деятельности Централного Бюро Коркомсомола(국제공청 집행위원회에 보내는 고려공청 중앙총국 활동보고)>, РЦХИДНИ Ф.495 О.135 Д.98 Л.144.
723)<Одеятелности Союза Новорожденной Молодежи(신흥청년동맹의 활동에 대하여)>, РЦХИДНИ Ф.495 О.135 Д.98 л.83∼84.
724) 박철하, 앞의 글(1995), 133∼136쪽.
725) Делегата от Коркомсомола КИМ-ГАН(고려공청 대표 김강), В И.К.К.И. И И.К.К.И.М.(코민테른 및 킴에게), 1927년 2월 10일, РЦХИДНИ Ф.533 О.10 Д.1897 Л.4∼5.
726) 신주백,<1929∼36년 공청재건운동의 전개 및 성격>(한국역사연구회 한국근현대청년운동사 연구반 편, 앞의 책), 415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