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52권 대한민국의 성립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1. 미군정기의 사회1) 미군정기의 사회경제적 상황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1. 해방 이전 미·소의 대한정책
          • 1) 미국의 전후 대한정책 형성
          • 2) 해방 이전 소련의 대한정책
        • 2. 해방 이후 미·소의 점령정책
          • 1) 분할점령과 미·소의 초기 점령정책
          • 2) 모스크바 3상회의 결정과 미·소공동위원회(1946∼1947)
          • 3) 점령에서 분단으로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광복 전후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
            • (1) 제2차 세계대전과 해방
            • (2) 해방정국과 건국준비위원회의 활동
            • (3) 조선인민공화국의 탄생과 좌절
          • 2) 신탁통치 논쟁과 좌우대립
            • (1) 모스크바 결정과 국내의 파장
            • (2) 우익세력의 통일전선-비상국민회의
            • (3) 좌익세력의 통일전선-민주주의민족전선
            • (4) 신탁통치 문제와 좌우의 갈등
              • 가. 좌익세력과 찬탁논리
              • 나. 우익세력과 반탁논리
              • 다. 좌·우익세력의 대립과 갈등
            • (5) 탁치문제에 대한 논쟁
            • (6) 신탁통치 문제 이후의 정국
        • 2. 주요 정치세력의 통일국가 수립운동
          • 1) 우익 정치세력의 노선과 활동
            • (1) 한국민주당
            • (2) 임시정부세력과 한국독립당
            • (3) 이승만
          • 2) 좌익 정치세력의 노선과 활동
            • (1) 조선공산당
            • (2) 조선인민당과 근로인민당
            • (3) 조선신민당
            • (4) 삼당합동과 남조선노동당
          • 3) 중도세력과 좌우합작운동
            • (1) 국민당
            • (2) 미·소공동위원회 이전의 좌우합작 노력
            • (3) 좌우합작위원회
            • (4) 민주주의독립전선과 민족자주연맹
              • 가. 민주주의독립전선
              • 나. 민족자주연맹
          • 4) 남북지도자회의-연석회의와 남북협상
            • (1) 김구·김규식의 남북요인회담 제의
            • (2) 북의 연석회의 제안
            • (3) 연석회의와 남북협상
              • 가. 남북조선제정당사회단체대표자연석회의
              • 나. 남북요인회담 및 남북조선정당사회단체지도자협의회
            • (4) 평가와 의의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1. 미군정기의 사회
          • 1) 미군정기의 사회경제적 상황
            • (1) 경제적 혼란
            • (2) 사회적 혼란
          • 2) 미군정기의 사회갈등
            • (1) 노동문제
            • (2) 농업문제
          • 3) 9월총파업과 10월항쟁
            • (1) 9월총파업
            • (2) 10월항쟁
        • 2. 미군정기의 경제
          • 1) 해방의 경제적 의미
          • 2) 농지개혁과 식량공출
            • (1) 농지개혁
              • 가. 농지문제와 농지개혁 요구
              • 나. 미군정의 농지개혁
            • (2) 식량공출
              • 가. 해방 직후의 식량 사정과 미곡 자유시장정책
              • 나. 식량공출제의 시행
          • 3) 공업생산의 소장과 귀속사업체 처리
            • (1) 공업생산의 소장
              • 가. 위축실태와 그 원인
              • 나. 공업생산의 회복 추세
            • (2) 귀속재산의 처리와 자본의 재편
              • 가. 귀속재산의 규모와 접수과정
              • 나. 귀속사업체의 관리와 불하
              • 다. 미군정기 자본의 재편
          • 4) 노동자의 존재 양태와 노동운동
            • (1) 노동자의 존재 양태와 미군정의 노동정책
              • 가. 노동자의 존재 양태
              • 나. 미군정의 노동정책
              • 다. 노동자자주관리운동
          • 5) 금융·재정과 무역·원조
            • (1) 미군정기의 금융·재정
            • (2) 미군정기의 무역·원조·남북교역
        • 3. 미군정기의 문화
          • 1) 문학
            • (1) 해방공간의 소설
            • (2) 해방공간의 시
            • (3) 문학운동
              • 가. 냉전적 분단구조의 해체의 관점에서 본 해방 직후 문학운동
              • 나. 자기 비판과 새로운 이념의 창출(1945년 8월∼1945년 12월)
              • 다. 문학계의 좌우대립과 민족문학논쟁(1945년 12월∼1946년 10월)
              • 라. 문학계의 재편 노력과 좌우문학논쟁(1946년 10월∼1947년 12월)
              • 마. 남북의 분단과 통합의 열망(1947년 12월∼1948년 8월)
          • 2) 미술
            • (1) 해방공간과 미술단체
            • (2) 왜색과 민족미술
            • (3) 미술의 대중화와 생활화
            • (4) 미술대학의 출현
          • 3) 음악
            • (1) 시기구분과 음악사적 특징
            • (2) 제1기 음악
              • 가. 조선음악건설본부
              • 나. 조선프롤레타리아음악동맹
              • 다. 고려교향악협회(고려교향악단)
              • 라. 구왕궁아악부(이왕직아악부)
              • 마. 국악원
              • 바. 조선음악가협회
              • 사. 조선음악가동맹
              • 아. 기타
            • (3) 제2기의 음악 전개
              • 가. 제2기의 조선음악가동맹
              • 나. 대한연주가협회·전국음악문화협회·서울관현악단·고려음악협회
            • (4) 제3기의 음악전개
          • 4) 연극·영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 1. 대한민국의 수립
          • 1) 단정노선의 확정과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입국
            • (1) 미·소공동위원회의 최종적 결렬과 한국문제의 유엔 이관
            • (2) 유엔한국임시위원단의 입국과 남한단선 결정
          • 2) 5·10선거와 대한민국의 수립
            • (1) 단선을 앞둔 미군정·과도정부의 준비
              • 가. 반공체제와 반공국가의 물리력 확충
              • 나. 정치·사회적 개혁과 자유민주주의제도 이식
            • (2) 단선에 대한 국내 정치세력의 대응
            • (3) 5·10선거와 그 결과
            • (4) 제헌국회와 정부수립
        • 2.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1) 해방 후 북한 각 지역의 인민위원회 수립과 소련군 주둔
            • (1) 소련군의 북한 진주
            • (2) 각 지역 인민위원회의 성립과 개편
            • (3) 스딸린 비밀전문과 서북5도행정국
          • 2) 정당들의 조직과 활동
            • (1) 조선공산당 북조선분국
            • (2) 조선민주당
            • (3) 북조선천도교청우당
            • (4) 조선신민당
          • 3)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과 ‘민주개혁’
            • (1) ‘탁치정국’을 전후한 좌우대립
            • (2) 북조선임시인민위원회의 수립
            • (3) ‘민주개혁’
          • 4) 북조선노동당 창당과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
            • (1) 북조선민주주의민족통일전선 결성과 북조선노동당 창당
            • (2) 1946년 11월 인민위원회 선거
            • (3) 북조선인민위원회의 수립
          • 5) 헌법 제정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수립
            • (1) 헌법 제정
            • (2) 북한에서의 분단정부 수립
(2) 사회적 혼란

 경제적 혼란과 더불어 해방 직후 미군정기 사회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던 또 하나의 요소는 일제의 패망과 더불어 야기되었던 사회적 혼란이다. 당시의 사회적 혼란에는 귀환동포문제와 식량문제의 두 문제가 커다란 영향을 미쳤다. 전자는 해방과 더불어 만주와 일본 등 해외로부터 그리고 북한으로부터 대거 몰려들었던 귀환동포들의 문제였으며, 후자는 일제 전시경제가 붕괴된 속에서 야기된 식량부족사태와 이에 대한 미군정의 적절치 못한 대책으로부터 비롯된 문제였다.

 우선 귀환동포문제와 관련하여 해방후 폭발적으로 이루어졌던 남한 인구 증가의 추이를 살펴보면 다음<표 5>와 같다. 이에서 보는 바와 같이, 해방 약 1년 전부터 해방 후 약 4년에 걸친 총 5년 동안 남한인구는 약 430만 명 이상457) 증가했다. 그것은 1949년 당시 남한인구가 약 2천만 명 정도였다는 점에 비추어 본다면 그야말로 폭발적인 증가였다. 이러한 폭발적인 인구증가는 인구의 자연 증가보다는 해방과 더불어 국내에 쏟아져 들어왔던 해외동포 입국자 및 북한으로부터의 월남자 때문에 일어난 현상이었다. 특히 1945년 8월의 해방 직후로부터 1946년 8월에 이르기까지의 약 1년 동안에 남한인구는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는데, 이는 이 기간에 귀환동포의 유입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이다.

구 분 총인구 남자 여자 증가
1944년 5월 1일 15,879,110¹ 7,484,242 8,031,868  
1945년 말 46,873,277     994,167²
1946년 8월 25일 19,369,270     2,495,993
1947년 말 19,886,234     516,964
1948년 말 20,027,393     141,159
1949년 5월 1일 20,188,641 10,200,877 9,987,764 161,248
5년간 증가인구 4,309,531 2,716,635 1,955,896  
5년간 증가율 27.1 36.3 24.4  
연평균증가율 4.92 6.39 4.46  

<표 5>해방 전후의 남한인구 (단위:명, %)

통계청,≪통계로 본 광복전후의 경제·사회상≫(1993), 1∼4쪽을 이용하여 작성.
 1. 1944년 5월 1일 현재 남북한 전체 총인구는 25,917,881명(일본인 712,583명과 기타 외국인 71,946명 포함).
 2. 이 시점에서 일본인 대부분이 철수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그 실제 증가는 1백 수십만 명으로 추정됨.

 그렇다면 해방 후 이루어졌던 이상과 같은 인구 증가 중에서 귀환동포의 규모는 어느 정도인가.<표 6>에 따르면, 해방후 3년 동안 해외동포 입국자는 무려 122만 명을 넘었고 월남자 역시 97만 명에 이르러,458) 모두 220만 명 정도에 달했다.459)

해외동포 입국자 일본 입국자 중국 등 기타 입국자
1,117,819 102,208 1,220,627
월남자 북한 월남자 북한경유 중국·만주월남자
648,784 320,231 969,015

<표 6>해방 후 3년간(1945. 8. 15∼1948. 12. 31) 유입된 귀환동포 규모 (단위:명)

통계청,≪통계로 본 광복전후의 경제·사회상≫(1993), 1∼4 및 9∼11쪽을 이용하여 작성.

 해방과 더불어 국내로 대거 돌아왔던 이들이 당시 사회에 영향을 미쳤음은 물론이다. 이와 관련, 커밍스는 해방 직후 귀환동포의 유입으로 인해 인구가 급증했던 지역과 그 지역의 급진성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있음을 밝히고 있는데, 이는 귀환동포의 유입이 그 지역의 인민위원회 활동이나 좌파활동과 관련이 있었음을 말해준다. 물론 귀환동포 가운데는 공산주의자들이 권력을 장악한 북한체제로부터, 그리고 그들이 행했던 토지개혁으로 인해 남한으로 내려왔던 사람들도 있었다. 위의 통계로 미루어 볼 때, 그 성향상 우파 지향적인 이들의 규모는 몇 십만 명 수준이었을 것이다. 이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귀환동포들은 급진적인 성향을 띠었으며, 그들은 지방인민위원회 활동이나 좌파 활동에 적절한 토양을 제공했던 것이다.460)

 그렇다면 해방과 더불어 고향과 조국으로 대거 몰려들었던 그들은 누구이며, 왜 급진적인 성향을 보여주었는가.

 해방 후 대거 유입된 귀환동포들의 대부분은 일제의 식민통치 기간 동안 자신의 고향과 조국을 등지지 않을 수 없었던 사람들이었다. 그들의 첫 해외 이주는 1920년대와 1930년대 초 일제하의 토지집중화 과정에서 이루어졌는데, 그 과정에서 토지를 상실했던 빈농들은 자신의 고향을 등지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다. 그후 일제의 전시공업화가 추진되었던 1930년대 이후, 그리고 전시체제가 본격적으로 구축되었던 1940년대의 일제 말에 들어와 다시 대대적인 주민이동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때는 주로 북한지역에서 추진되었던 군수공업화에 필요한 노동력을 충당하기 위한 것이었거나 징병·징발 등 일제의 전시정책의 필요에 따른 것이었다.461) 이렇게 일제식민통치 기간에 자신의 고향과 조국을 떠났던 그들이 1945년 8월 일제가 패망하자 고향과 조국으로 돌아가고자 했음은 당연한 일이었다. 그러나 “그들은 이제 더 이상 예전과 같은 사람들이 아니었다. 그들은 고국에 안전하게 남아있던 사람들에게 불만을 가졌으며, 물질과 지위의 상실을 겪었고, 종종 새로운 이데올로기와 접촉했고, 살던 시골마을을 넘어선 더 큰 세계를 보았던”462) 사람들이었다. 또한 그들은 “공업에 투입되었다가 한국의 농촌으로 다시 뱉어진”463) 사람들이었다. 따라서 해방과 더불어 새로운 희망과 기대를 가지고 자신의 고향과 조국에 다시 돌아왔던 그들에게 고향과 조국이 그 어떤 대책도 제공하지 못했을 때, 불만에 찬 그들은 급진적 운동에 휩쓸리게 되었던 것이다.

 한편 귀환동포문제와 더불어 미군정기 사회의 혼란에 커다란 영향을 미쳤던 또 하나의 문제는 식량문제였다.

 1930년대의 일제시기 쌀·보리·밀·콩 등 조선의 순식량용 곡물생산량(1930년∼1937년의 8년 평균)은 2,971만 8천 석으로, 이는 당시 인구 2,430여만 명을 기준으로 했을 때 1인당 1.22석에 해당하는 규모였다.464) 물론 당시의 쌀 생산량 약 2천만 석 가운데 약 800∼1,000만 석과 콩 생산량 중 150만 석 정도가 일본으로 유출되었던 반면 이를 보충하기 위해 만주 조(粟)가 약 100만 석 그리고 안남미가 약 100만 석 정도 유입되었다는465) 점을 감안할 때, 1인당 분배 가능량 1.22석의 절반 이상은 잡곡으로 채워졌다고 할 수 있다. 1937년 중일전쟁 이후 이 같은 일제 치하의 식량사정은 더욱 악화되었다. 전쟁 수행을 위해 강제적인 식량 공출이 실시되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처럼 일제 치하에서 조선의 식량사정이 열악했음에도 그것이 대량 기근사태로 이어지지 않았던 것은 식량의 유통과 분배에 대한 일제의 강력한 전시 통제정책이 실시되었기 때문이었다. 부족한 양이었지만 일제의 전시 통제정책은 최소한의 배분을 보장해 줄 수 있었던 것이다.

 해방 후 남한의 식량사정은 어떠했는가. 다음의<표 7>은 해방 후 남한의 식량생산 규모를 보여주고 있는데, 그 규모 역시 일제시기에 비해 충분치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일본으로의 쌀 유출이 없어졌다는 점을 감안한다고 하더라도, 그 생산이 북한지역에 치우쳤던 잡곡의 부족 그리고 급속히 증대했던 남한인구 등의 요인에 의해 남한의 식량사정은 압박받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구분 잡곡¹ 인구수²(명) 1인당 생산량(쌀+잡곡) (석)
1945 12,836 6,931 19,767 16,873,277 1.17(0.76+0.41)
1946 12,050 7,421 19,471 19,369,270 1.01(0.62+0.38)
1947 13,850 6,503 20,353 19,886,234 1.02(0.69+0.33)

<표 7>해방 후 남한의 식량 생산량 (단위:1,000석)

통계청,≪통계로 본 광복전후의 경제·사회상≫(1993), 27∼28쪽을 이용하여 작성.
 1. 잡곡은 보리·밀·조·옥수수·콩 포함한 것임.
 2. 인구수는<표 5>를 참조할 것.

 해방 후 미군정기 동안 식량문제는 사회적 혼란을 가중시켰던 가장 중요한 이슈로 부상했다. 그것은 기본적으로 식량이 부족했던 당시의 현실 때문이었다. 그러나 식량문제로 인한 사회적 혼란의 보다 큰 원인은 미군정의 식량정책 실패에 있었다. 부족한 식량에 대한 일제의 강력한 통제정책은 최소한 대량의 기근사태를 면할 수 있게 해주었던 반면, 아무런 준비없이 임시처방적으로 실시했던 미군정의 식량정책은 심각한 식량부족사태로 이어지지 않을 수 없었기 때문이다.

 우선 미군정은 군정 초기 미곡 등 식량에 대한 자유매매·자유곡가제를 실시했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식량이 부족했을 뿐만 아니라 경제상황이 극도로 불안정한 현실에서 식량에 대한 통제정책의 전면 해제는 식량수급에 대한 일대 혼란을 야기시켰다. 식량에 대한 자유시장정책의 실시에 따라 미곡에 대한 매점매석이 횡행하게 되었고 이에 따라 쌀값이 폭등하여 시장에서 쌀이 자취를 감추는 사태가 야기되었던 것이다. 즉 심각한 물자부족의 현실에서 미군정에 의해 도입되었던 자유시장정책은 균등한 분배가 아니라 특정인의 매점매석에 의한 심각한 식량부족사태로 이어졌던 것이다.

 그러나 문제는 이에 그치지 않았다. 식량부족사태에 직면한 미군정이 1946년 2월<미곡수집령>을 발동, 미곡의 강제수집에 나섰기 때문이다. 나아가 미곡 강제수집정책은 같은 해 여름 하곡에 대해서도 이어졌다. 그러나 시가에도 훨씬 미치지 못하는 가격으로 강제 할당되고 그 수집이 강요되었던 미군정의 이 같은 정책은 농민들의 불만과 원성에 직면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것은 당시 농민들에게 일제 말의 식량 공출을 연상시켰을 뿐만 아니라, 일제로부터 ‘해방’되었다고 생각했던 농민들의 분노를 극도로 자극했기 때문이었다. 다른 한편 식량수집의 저조한 실적으로 인해 제대로 시행될 수 없었던 식량배급정책은 도시주민들의 불만을 드높였다. 1946년에 발생했던 9월총파업과 10월항쟁의 한 배경에는 농촌과 도시 곳곳에서 지속적으로 악화되었던 바로 이 같은 식량문제가 작용하고 있었다.466)

457)1944년 시점에서 남북한에 거주했던 약 70여만 명의 일본인이 해방 직후 철수했다는 점을 감안한다면, 당시의 실제 인구 증가는 이보다 더 많았을 것이다.
458)해외동포에 북한경유 중국·만주 입국자를 포함한다면 해외동포 입국자는 약 154만 명이며 순수 북한 월남자는 약 64만 명이다.
459)그러나 다른 자료는 다음과 같은 통계수치(1945.10∼1947.12)를 제시하고 있다.

귀환전 거주지 귀환자의 수 남한 전체 인구¹중 귀환자의 비율
북한 859,930² 5.4%
만주 304,391 1.9%
일본 1,110,972 7.0%
중국 71,611 0.5%
기타 33,917 0.2%
2,380,820 15.1%

조선은행 조사부,≪조선경제연보≫(1948년)Ⅲ-19쪽.
 1. 1945년 5월 현재 남한 전체 인구 1,580만 명 기준.
 2. 표시된 숫자 중 388,694명은 북으로부터의 피난민이고 나머지 60%는 남 한이 고향임.
460)해방 후 인구유입과 그 지역의 급진성과의 상관관계에 대한 커밍스의 분석에 대해서는 브루스 커밍스, 앞의 책, 355∼359쪽 참조.
461)브루스 커밍스, 위의 책, 58∼65·105쪽.
462)브루스 커밍스, 김동노 외 역,≪브루스 커밍스의 한국현대사≫(창작과 비평사, 2001), 257쪽.
463)브루스 커밍스, 앞의 책, 104쪽.
464)김종범,≪조선 식량문제와 그 대책≫(돌베개, 1984, 복간본. 같은 제목의 원본은 1946년에 발간됨), 19∼20쪽.
465)김종범, 위의 책, 21·33쪽 및 통계청, 앞의 책, 28쪽 참조.
466)미군정기 식량문제에 대해서는 강만길, 앞의 책, 214∼217쪽 및 정해구,≪10월인민항쟁 연구≫(열음사, 1988), 89∼99쪽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