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제명 | 기획 | 자료해설 자문 | 연출 | 시나리오 구성 | 기획 제작 | 구축연도 |
---|---|---|---|---|---|---|
석탑 | 김소남 박남수 |
박경식 |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
안현진 | (주)아리랑TV미디어 | 2016 |
무덤 | 김재홍 | |||||
토우와 토용 | 김현희 | |||||
토기 | 권오영 | |||||
기와 | 이병호 | |||||
조선시대 회화 | 조규희 | |||||
한국의 성 | 서정석 | |||||
불사 | 이기선 | |||||
음악 | 송지원 | |||||
도성과 왕궁 | 박순발 | |||||
고려청자 | 전미희 김소남 |
조은정 | 윤종원 | 김미현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7 |
분청사기 | 박경자 | |||||
백자 | 박정민 | |||||
복식 | 이은주 | |||||
사찰건축 | 이종수 | 최광석 | 배수영 | |||
고려불화 | 김정희 | |||||
서예 | 손환일 | |||||
지도 | 양보경 | |||||
동종 | 김소남 임천환 |
원보현 | 윤종원 | 배수영 | (주)투와이드 컴퍼니 | 2018 |
서원 | 조재모 | |||||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 정성희 | |||||
제지술과 인쇄술 | 이재정 | |||||
통신사행렬도 | 정은주 | 최광석 | 김미현 | |||
한글소설 | 유춘동 | |||||
화폐 | 정수환 | |||||
석빙고 | 임천환 서일수 |
김지영 | 김기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19 |
활 | 최형국 | |||||
화약무기 | 김해인 | 문현성 | 한정옥 | |||
배 | 김병륜 | |||||
김치 | 김혜숙 | 윤종원 | 나누리 | |||
인삼 | 김성수 | |||||
담배 | 임성수 | 신정화 | 윤옥희 | |||
구황작물 | 구열회 | |||||
온돌 | 임천환 이홍구 |
경석현 | 윤종원 | 김자경 | 스토리라인 | 2020 |
농기구 | 염정섭 | |||||
바둑 | 남치형 | 김기원 | 김자경 | |||
문방사우 | 김지나 | |||||
화장 | 이민주 | 신정화 | 한정옥 | |||
관례 | 김지영 | |||||
목간 | 이경섭 | 문현성 | 이나경 | |||
봉수 | 김경태 | |||||
판소리 | 신재호 이홍구 |
최혜진 | 문현성 | 곽기연 | 스토리라인 | 2021 |
궁중음식 | 박은혜 | |||||
의궤 | 신병주 | 김기원 | 나누리 | |||
갓과 모자 | 장경희 | 김기원, 윤종원 | ||||
종묘 | 조재모 | 윤종원 | 정은주 | |||
종묘제례악 | 송지원 | |||||
감염병과 방역 | 김호 | 신정화 | 한정옥 | |||
풍속화 | 유재빈 | |||||
궁궐 | 신재호 이홍구 |
조재모 | 김기원 | 한정옥 | 스토리라인 | 2022 |
전통정원 | 소현수 | |||||
조선왕조실록 | 강문식 | |||||
칠공예 | 최영숙 | 신정화 | 김자경 | |||
염직 | 백영미 | |||||
탈놀이 | 허용호 | 윤종원, 유환수 | 임승연 | |||
궁중무용 | 손선숙 | 문현성 | ||||
민화 | 유미나 | 문현성 | 나누리 | |||
어보 | 성인근 | |||||
읍성 | 신재호 이주호 |
이일갑 | 지해 김성진 |
하원기 | 스튜디오바카 | 2023 |
혼례 | 김연수 | |||||
질그릇 | 한혜선 | 지해 손희창 |
홍종화 | |||
탱화 | 유경희 | |||||
농악 | 양옥경 | |||||
해녀 | 오상학 | 지해 김정동 |
||||
한옥 | 신재호 이주호 |
송인호 | 김기원 | 임승연 | 스토리라인 | 2024 |
한글타자기 | 김태호 | |||||
도시한옥 | 송인호 | |||||
달항아리 | 박정민 | |||||
상감청자 | ||||||
수원화성 | 조재모 | 신정화 | 곽기연 | |||
도산서원과병산서원 | ||||||
소쇄원 | 소현수 | |||||
기산 풍속화 | 유재빈 | 윤종원 | 이나경 | |||
책거리(책가도) |
1894년, 독일 함부르크민속공예박물관에서 최초로 조선 화가의 작품전이 열렸습니다. 화가의 이름은 김준근, 호는 기산.
조선의 다양한 풍속을 그린 그의 작품은 현재 미국, 프랑스, 덴마크, 영국 등 국내외 미술관에 천오백여 점이 소장돼 있는데요. 어떻게 한 사람의 손에서 이처럼 많은 작품들이 그려졌고, 어떤 경로를 통해 전 세계 박물관 곳곳에 전시된 걸까요?
조선 풍속 설명서 ‘기산 풍속화’
19세기 말, 서구 열강과 조약을 체결하고 문호를 개방한 조선에서 가장 활기찬 문화교류의 장소는 바로 개항장이었습니다. 서양인들은 미지의 나라인 조선의 풍속을 이해하기 위해, 혹은 조선 여행 기념으로 조선의 풍속화를 구매하고 싶어했고, 이러한 요구에 재빠르게 부응한 화가가 바로 김준근이었습니다.
김준근 풍속화의 가장 큰 특징은 조선의 ‘수출풍속화’라는 점입니다. 당시 개항장을 중심으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개항장 풍속화’라고도 불리는데요. 일찍이 18세기부터 중국과 일본에서도 서양인을 상대로 수출풍속화가 다수 제작되었습니다. 조선은 19세기 개항이후 수출풍속화가 제작되기 시작한 셈입니다.
기산 김준근은 우리에겐 오히려 낯선 인물입니다. 국내 기록은 없고 오직 서양인들의 기록에만 등장하는데요.
“조선의 삽화들은 ‘기산’이 그린 일련의 채색화 중 일부를 충실하게 모사한 것이다. ‘기산’은 부산 뒤쪽의 작은 마을 ‘초량’에 사는 화가다.” - 《한국의 놀이 (Korean games)》, 1895년, 스튜어트 컬린(Stewart Culin)
“원화는 조선의 신사가 그려주었으며 그 나라의 풍속과 습관을 그린 것으로 흥미롭다.” - 《조선과 신성한 백두산(Korea and the Sacred White Mountain: Being a Brief Account of a Journey in Korea in 1891)》, 1894년, 알프레드 에드워드 존 캐번디시(A.E.J. Cavendish)
조선 후기 가장 대표적인 풍속화가는 단원 김홍도였습니다. 기산 풍속화도 김홍도의 영향을 받았는데요. 씨름, 서당, 빨래터 등 같은 소재의 그림들을 비교해보면 금세 눈치 챌 수 있을 정도입니다.
그런데, 같은 소재를 그린 김홍도의 그림과 김준근의 그림은 확연한 차이가 있습니다. 김홍도의 ‘서당’의 경우, 매 맞은 아이가 눈물을 훔치는 사이 훈장과 학동들이 웃음을 참느라 애쓰는 모습이 보입니다. 일상 속 재미있는 장면을 포착해 이야기를 담아낸 것이죠.
반면, 김준근의 ‘학교선생’에서 선생님은 무표정한 얼굴로 글을 가르치고 있습니다. 표정 없는 얼굴은 일하는 장면, 놀이 장면, 심지어 고문을 받는 형벌 장면에서도 똑같이 나타납니다. 희로애락을 표현한 18세기 풍속화와 확연히 비교되는 점이죠. 그건 아마도 기산 풍속화가 서양인의 요청에 의해 그려진 수출용 그림이기 때문일 겁니다. 예술성보다는 행위나 사물의 이해에 중점을 두고 제작된 것이죠.
김준근이 서양인들과 밀접하게 관계했다는 사실은 《천로역정》의 삽화에서도 알 수 있습니다. 서양 선교사의 의뢰를 받아 기독교 소설 《천로역정》 한글 번역본의 삽화를 직접 그린 건데요. 넓은 이마, 길고 가느다란 눈, 갈고리형의 코, 여인들의 올림머리 … 서양의 소설이지만 삽화 속 등장인물은 확연히 조선인의 모습입니다.
그래서일까요? 이 책은 조선인들 사이에서 인기를 끌어 높은 판매부수를 올렸습니다. 현재까지 알려진 기산 풍속화는 천오백 점 이상, 게다가 지속적으로 발굴되고 있는 중입니다. 이처럼 대량 제작이 가능했던 것은 두 명 이상이 함께 협업했기 때문으로 추정되는데요.
19세기 말 원산과 부산, 제물포 개항장에서 동시에 많은 그림이 팔렸다는 점도 이를 뒷받침합니다. 이외에도 기존의 풍속화와 기산 풍속화의 가장 큰 차이는 바로 소재에 있습니다. 장례 제사 형벌 장면은 김준근 풍속화 이전에는 거의 찾아볼 수 없었습니다. 감상이나 장식의 목적으로 제작될 수 없는 소재였던 것이죠.
당시 사회적으로 천대받던 무속인들의 모습도 담겼는데요. 맹인 점쟁이의 모습, 부채와 방울을 들고 굿을 하는 무당의 모습, 그리고 불교를 억압한 조선사회에서 탁발하는 승려의 모습은 다른 자료에서는 찾아보기 힘든 조선 사회 속 사회적 약자들의 모습을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직책과 의례에 따라 서로 다른 복식을 입은 관리들, 나이와 신분에 따라 다른 복색을 한 여성들과 같이 조선인의 다양한 복색은 서양인들에게 그 자체로 중요한 민속학 자료였습니다.
이처럼 기산풍속화는 조선인의 ‘생업’과 ‘놀이’, ‘형벌’과 ‘종교생활’, 그리고 ‘의식주 문화’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소재를 다루었습니다. 이런 점에서 기산 풍속화가 조선 풍속의 이해를 돕기 위한 ‘수출용 풍속화’였음을 또 한번 확인할 수 있습니다.
서양에 문호를 개방하고 다양한 나라와 교류를 시작하던 시기, 호기심 많은 외국인들에게 조선 풍속 설명서가 되어준 그림, ‘기산 풍속화’였습니다.
-------------------------------------
자문 : 유재빈
시나리오·구성 : 이나경
검수 : 김수진, 명재림, 서명원
촬영 : 윤종원
종합편집 : 박인준, 이승신
삽화 : 김종석, 심희영
녹음·음악 : 조동효
로고 : 민승욱
촬영,자료 협조 : 국립중앙박물관, 인천개항박물관, 서울역사박물관, 청계천박물관, 한국학중연구원, 연세대 학술정보원 국학자료실
PM : 윤종원.김기원
행정 : 김상희
연출 : 윤종원
기산 김준근 풍속화
김준근(金俊根, 생몰년 미상, 호는 箕山)은 19세기말 서양인들에게 조선의 풍속화를 그려 판매하였던 화가이다. 그의 정확한 출생지는 알 수 없지만 원산(元山)을 근거지로 하면서 부산과 제물포 등에서도 작품을 판매하였을 것이라 추측한다. 당시 조선에는 도화서 화원의 화풍이 중심이 된 중앙 화단과 각 지방의 지방 양식이 공존하고 있었다. 김준근은 한 지방에 머물기보다 부산, 원산, 제물포 등 개항장을 중심으로 활동한 화가였다. 이는 그가 중앙의 왕실이나 지방의 사족들이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수출용 회화를 제작하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김준근의 풍속화는 국내보다 외국에 더 많이 소장되어 있다. 현재 유럽, 미국, 일본 등 20여 곳의 박물관에 약 1,500여 점이 소장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내국인이 아닌 외국인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주제와 형식면에서 이전과 다른 점들이 있다. 우선 주제를 살펴보면 생업 활동에서 놀이나 연희에 이르기까지 100여개에 이른다. 전통적인 풍속화에서 다루고 있던 농사나 길쌈과 같은 내용도 있지만 이전에 다루어지지 않았던 소재도 많이 그렸다. 예를 들어 장례, 제사와 같이 죽음과 관련된 엄중한 의례나 형벌, 싸움과 같은 부정적인 장면 아마도 여러 사람의 공동작업 아마도 여러 사람의 공동작업들이 포함되었다. 전통적으로 풍속화는 백성들에게 좋은 풍속을 권장하기 위한 감계적 목적이나 즐거움을 주기 위한 해학적 목적으로 제작되었다. 따라서 위와 같이 엄숙하고 부정적인 소재는 다루지 않았다. 그러나 김준근의 풍속화에는 외국인들의 관심에 부합하기 위해 상례, 제례와 관련된 여러 절차와 십여 종의 형벌이 포함되었다.
김준근은 계층마다 다른 복식, 의관에 대한 정보도 주제로 삼고 있다. 예를 들어 금관조복을 입은 관리, 장옷을 입은 여성을 그리거나 다양한 남성의 관모, 여성의 머리 모양들을 주제로 하였다. 내국인이라면 특별할 것이 없는 장면이지만 외국인의 눈에는 이색적으로 보였을 것이다. 당시 서양에서는 비서구권 국가들의 의식주나 풍속을 조사하는 민속학과 인류학이 발달하기 시작하였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조선의 문화와 풍속을 그림으로 기록하는 자료로 각광받은 것이다.
수출 회화라는 특징은 김준근 풍속화의 형식과 제작 방식에도 영향을 주었다. 김준근 풍속화는 대부분 가로 세로 20cm 정도의 크지 않은 화면에 그려졌다. 화면 상단에는 “--하는 모양” 등으로 제목이 붙여지고, 배경 없이 인물만 2-3명으로 주제를 설명한다. 인물의 얼굴에는 표정이 없고, 행동은 절제되어 있다. 빠르고 간략하게 그려낼 수 있도록 고안된 방식이다. 이전의 풍속화는 풍부한 배경 속에서 생동감 있는 인물들로 실감나는 장면을 연출하였다. 간혹 김홍도의 풍속화첩처럼 밑그림으로 사용되기 위해서 배경이 없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산과 계곡 후원과 기방 등 특정한 배경을 재현하였다. 이전의 풍속화가 재미와 감동을 추구하는감상용 회화였다면 김준근의 풍속화는 정보를 제공하는 일러스트레이션이었다. 김준근의 풍속화가 인물의 감정과 서사 없이 간략히 그려진 것은 이처럼 풍속화의 기능이 달라졌기 때문이다.
김준근의 풍속화의 제작 방식은 아마도 여러 사람의 공동작업이었을 가능성이 있다. 대체로 유사한 주제가 반복되면서도 작품들 사이에서는 필체가 서로 다른 경우가 있기 때문이다. 김준근 풍속화는 하나의 화첩이 아니라 낱장으로 그려졌다. 낱장의 풍속화는 적게는 이십여 장에서 많게는 100여장씩 상자에 넣어 판매되었다. 이처럼 유사한 주제의 반복, 필체의 차이, 별도 판매가 가능한 판매 방식은 김준근이 조수들을 두고 풍속화를 대량 생산한 결과가 아닐까 추측한다.
18세기 이후 중국과 일본에는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수출 회화, 일명 외소화(外銷畵, Export painting)가 성행하고 있었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이중 중국의 닝보(寧波) 수출 회화와 유사하다. 의식주, 의례와 형벌 등을 다루는 민속적인 주제나 작은 화면에 배경 없이 인물만 2~3명 간략히 그리고 한 쪽에 주제를 써넣는 방식 등이 닮아 있다. 김준근의 풍속화가 ‘기산’이라는 낙관을 가지고 있다면, 닝보 수출화는 공방의 이름을 도장으로 찍어 판매하였다. 김준근의 경우 공방을 운영하였다는 명시적인 기록은 없다. 그러나 위와 같은 증거들을 통해 보았을 때 김준근의 풍속화 역시 공동작업을 통해 대량생산된 수출 회화였을 것으로 추측할 수 있다.
김준근은 풍속화를 주로 제작하는 가운데 기독교 서적의 삽화를 제작하기도 하였다. 1894년 원산에 거주하던 캐나다 선교사 게일 부부(James S. Gale, 1863~1937; Harriet E. Gale, 1860~1908)는 영국 기독교 소설 The Pilgrims’ Progress를 한글 소설 《천로역정(텬로력뎡)》으로 번역하면서 김준근에게 소설 삽화를 의뢰하였다. 김준근은 원본을 그대로 모사하기보다 조선인에게 익숙한 방식으로 삽화를 재해석하였다. 서양식 복식을 모두 조선풍으로 바꾸고 기독교의 천사와 악마도 도교나 불교의 신선과 마왕의 도상으로 대체하였다. 김준근은 자신의 풍속화풍으로 그림을 재해석하였지만 이 과정에서 접한 19세기 유럽의 동판화는 이후 그의 풍속화 작업에 다시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그의 후반기 풍속화에서 일점투시, 명암법 등의 서양화풍이 적용된 것이 그 결과이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1890년대 말까지 크게 인기를 끌다가 20세기 초에는 더 이상 제작되지 않았다. 중국의 수출회화 역시 20세기 초에 거의 소멸하였다. 이처럼 서양인을 대상으로 한 동아시아의 풍속화가 사라지는 데는 사진기의 보급이 그 원인일 것으로 추정된다. 김준근의 풍속화가 가졌던 정보 전달의 기능을 사진이 대신하게 된 것이다. 김준근의 풍속화는 더 이상 제작되지 않았지만 새롭게 등장한 ‘풍속사진’의 구도나 주제에 영향을 미치게 되었다. 아울러 김준근의 풍속화는 19세기말 이후 출간되는 조선에 대한 책- 여행기나 민속서적, 이야기 책 등에도 삽화로 재사용되게 되면서 그 영향력을 이어갔다. 이처럼 김준근의 풍속화는 근대 초기, 서양인이 조선을 이해하는 하나의 창구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도록
단행본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