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제1장 사찰의 공간 구성과 석조물의 상징3. 석조물에 등장하는 각종 조식

사자

<사자>   
곡성 태안사 적인선사조륜청정탑의 기단부에 새겨진 사자이다.
<사자>   
화순 쌍봉사 철감선사탑의 기단부에 새겨진 사자이다.

불교 조형물에서 사자(獅子)의 조식은 지상의 왕자인 이 동물을 불가의 조형물로 받들어 어느 것도 감히 범할 수 없다는 신성과 숭배의 의사를 표현한다. 이 조식은 석탑과 부도 그리고 불상 대좌에서 많은 예를 볼 수 있다. 석탑의 경우를 제외하면 부도와 불상의 대좌 하대석에 조식되고 있다. 사자가 불가의 수호물로 등장하는 것은 현존 최고(最古)의 불상인 뚝섬 출토 금동 여래 좌상의 대좌 이래31) 8세기에 조성한 장항리사지 석조 불상에서 볼 수 있어, 그 시작은 불상 대좌에 있음을 알 수 있다. 부도에서는 844년에 건립된 염거화상탑에 처음 나타나고 있으며, 이어 건립된 신라 석조 부도 대부분에서 볼 수 있다. 이들에 조식된 사자는 삼국기의 불좌에서 보인 정적인 느낌보다는, 팔각형의 각 면에 한 구씩 모두 여덟 마리가 부조되어 있으며, 마치 살아 있는 듯한 생동감을 주고 있다.

[필자] 박경식
31)김원룡, 「뚝섬 출토 금동불 좌상」, 『한국 미술사 연구』, 일지사, 1994, 150∼154쪽.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