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Ⅰ. 구석기문화1. 구석기시대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1) 구석기시대의 개념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화석인골의 몇 가지 특징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1) 생계경제
            • (2) 구석기시대의 주거지
            • (3) 구석기의 도구제작
            • (4) 구석기시대의 사회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비교와 문제점
          • 2) 일본
            • (1) 한반도와 일본의 자연환경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3) 시베리아
            • (1) 구석기유적의 발견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 (2) 연구사 개관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1) 인골의 인류학적 연구
            • (2) 인골의 해부학상 형태 비교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조개더미
            • (3) 무덤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예술품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교역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1)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영역구분과 지역성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1) 신석기문화의 이동
            •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 (2) 서포항 Ⅰ∼Ⅲ기층 당산유적과 소주산 중·하층, 오가촌기
            • (3) 쌍학리유적, 서포항 Ⅳ기층과 소주산 상층기
            • (4) 신암리 Ⅰ기층, 농포·호곡동 Ⅰ기층과 우가촌 하층기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구석기제작기법

 석기를 제작하는 방법은 다른 물질문화의 제작보다는 훨씬 단순하지만 크게 몇 가지 석기제작기법이 구석기시대 동안 나타난다. 원석에서 돌을 떼어내는 방법에 따라 던져떼기법·모룻돌법·직접타격법·간접타격법·가압법 등이 있다. 시대가 내려올수록 석기는 정교해지는데 이것은 석기제작기법이 점진적이지만 고인류의 인지를 더 많이 필요로 하게 되는 방향으로 진화해 온 것을 보여준다. 반대로 시대가 올라갈수록 원시적인 기술이 사용되고 이러한 기술로 만들어진 석기는 그 형태가 불규칙하며 또한 기능적으로 분화되어 있지 않다. 그래서 석기의 제작기법은 구석기시대를 구분하는데 중요한 근거가 되며, 석기의 제작기법의 발달은 인류의 진화 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다고 하겠다.

 석기를 제작할 때 원석에서 떨어져 나온 돌조각을 剝片(격지, Flake)이라고 부르고 돌조각이 떨어져 나온 원래의 돌덩이를 石核(몸돌·돌핵, Core)이라고 부른다. 박편과 석핵은 떨어져 나온 언저리의 볼록한 두덩, 즉 타격혹의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타격혹이 있는 편이 박편이 되고 석핵에서 박편이 떨어져 나온 부분은 오목한 구덩이가 남아 있게 되어 있다. 石刃 또는 돌날은 박편의 한 종류인데 양측면이 평행으로 되어 있고 길이가 길죽한 것을 말하는데 편의상 흔히 길이가 폭의 두 배 이상이 되는 것을 말한다. 박편이 떨어져 나올 때 힘을 받은 면을 타격면이라고 부르며 박편의 떨어져 나온 면을 배(腹, ventral surface), 그리고 반대편, 즉 바깥 부분을 등(背, dorsal surface)이라고 부른다(<그림 1>).

<그림 1>박편과 석핵

 던져떼기는 가장 원시적인 석기제작기법으로 돌을 던져서 깨트려진 돌의 모서리를 바로 사용하거나 부서진 돌의 모서리를 가공하여 사용하는 방법이다. 석재를 던지지 않고 커다란 돌 위에 내리쳐서 손에 든 돌을 가공함으로써 석기를 만드는 방법을 臺石法 또는 모루떼기 등으로 부르는데 이는 단단한 규질암의 석기를 만드는데 많이 사용되는 기법으로 찍개 등의 큼직한 석기를 제작하는데 많이 사용되었다. 이 모루떼기의 특이한 기술의 하나로 양극타격법이 있는데 이는 석재를 모루 위에 고정시켜서 석재의 끝을 돌망치로 때려서 박편을 제작하는 방법을 말한다. 이러한 기법은 중국의 周口店유적에서도 발견되었는데 이 경우에 질이 좋지 않아서 다른 기법으로 석기제작이 어려운 석재를 이용하는 하나의 방법으로 생각되고 있다. 양극타격법에 의해 제작된 석편은 양쪽 끝에 박리흔이 남아 있으며 대석의 중간에 많은 흠집이 발견되는 것이다.

 돌망치를 사용하여 다듬어야 할 석재를 한 손에 잡고 깨트려 다듬어서 제작하는 기법을 직접타격법이라고 부르는데 구석기제작에 있어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기법이다. 이 기법은 전기 구석기에서부터 석기를 이용하는 전시기에 걸쳐서 사용되었다. 직접타격법에도 상당히 다양한 기술이 포함되어 있는데 망치돌의 크기와 모양에 따라서, 그리고 원석을 손에 들고 타격을 가하는 경우 외에도 무릎이나 허벅지 등에 붙여서 타격하는 경우 등의 다양한 기법이 있어서 석기의 정련도가 직접타격법에 의해서 제작된 석기라 할지라도 다르게 나타날 수 있는 것이다. 모루떼기나 직접타격법에 의한 박편흔은 대부분 깊고 큰 것이 특징이다. 직접타격법은 기술이 발달하면 뿔이나 나무로 된 망치를 이용하여 석기를 제작하게 되는데 납작한 모양을 가진 훨씬 세련된 모양의 석기를 만들 수 있게 된다. 이 기법을 軟質망치타격법이라고 부르고 있는데 석기의 표면에 남은 박리흔이 얕고 긴 것이 특징이다. 그런데 이 기법은 유리질이 많은 석재, 즉 플린트·흑요석 또는 쳐트 등의 석재에 사용될 수 있으며 규질암이나 석영암계통의 석재를 다듬는 데는 한계가 있다(<그림 2>).

<그림 2>석기제작기법
①직접타격법 ②모루떼기법(臺石法) ③양극타격법 ④뿔망치직접타격법 ⑤간접타격법 ⑥가압법

 간접타격법은 원석 위에 뾰족한 끝을 가진 쐐기를 원석 위에 대고 망치로 쐐기의 머리 위를 때려 박편을 떼어내는 방법인데 이는 석재를 가공하는 기법으로서보다도 길고 측면이 날카로운 긴 박편, 즉 석인을 얻기 위한 방법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기법은 타격에 투여된 힘을 대단히 좁은 지점에 모으게 함으로써 힘이 가해지는 방향을 일정하게 하고, 그 강도를 높임으로써 효율을 높이는 것이다.

 加壓法은 망치로 때리는 것이 아니고 뿔 등의 단단한 물질로 만든 뾰족한 도구를 원석에 대고 힘을 가하여 박편을 떼어내는 방법이다. 특히 가슴가압법은 대형의 석인을 제작할 때 쓰이는데 이는 뾰족한 쐐기를 나무의 끝에 달고 반대편에는 편평한 나무를 달아서 가슴에 대고 밀어서 크고 긴 박편을 만드는 방법으로 긴 경우는 30㎝ 이상의 석인을 제작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석재를 특별히 처리하기도 하는데 플린트나 흑요석 등의 유리질이 많은 석재를 땅속에 넣고 불에 구어서 박리에 쉽도록 만든 다음에 가슴가압법으로 석인을 떼어내는 것이다. 가압법 중에 석기를 2차가공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경우에는 뿔이나 나무로 만든 뾰족한 끝을 가진 가압도구를 가공할 부분에 대고 밀어서 좁고 긴 박편을 떼어내는 것으로, 이러한 방법으로 가공한 석기에는 얕고 좁으며 길다란 박리흔이 석기의 중심을 향하여 뻗어 있는 것이 보통이다.

 석기를 깨트려내는 데 있어서 타격면을 미리 가공하는 기법이나 최종 석기의 모양을 미리 모암에 만들어 놓고 깨트려내는 방법들도 있다. 이러한 기법은 대단히 발달된 기법으로 중기 구석기 공작의 기술적인 지표로 사용되는 Levallois기법이나 후기 구석기의 대표적인 석기형태인 석인제작기법이 대표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석인기법이 극도로 발달한 것이 중석기문화에 해당되는 세석인제작기법이다. 이 세석인제작법은 타격면의 가공과 세석인을 떼어내는 순서 등에 의해서 대단히 많은 기술적인 변형들이 나타나고 있어서 이 시기만 해도 분명히 지역적 제작기법의 차이가 뚜렷이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다. 중석기시대의 석기제작의 또 다른 특징으로는 세석인이나 석인을 이용하여 조합식석기를 제작하는 것이다. 이 시기에 가장 정교한 타제석기들이 만들어졌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