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Ⅱ. 신석기문화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3) 신석기시대의 유물(2) 석기와 뼈연모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화석인골의 몇 가지 특징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1) 생계경제
            • (2) 구석기시대의 주거지
            • (3) 구석기의 도구제작
            • (4) 구석기시대의 사회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비교와 문제점
          • 2) 일본
            • (1) 한반도와 일본의 자연환경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3) 시베리아
            • (1) 구석기유적의 발견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 (2) 연구사 개관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1) 인골의 인류학적 연구
            • (2) 인골의 해부학상 형태 비교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조개더미
            • (3) 무덤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예술품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교역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1)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영역구분과 지역성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1) 신석기문화의 이동
            •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 (2) 서포항 Ⅰ∼Ⅲ기층 당산유적과 소주산 중·하층, 오가촌기
            • (3) 쌍학리유적, 서포항 Ⅳ기층과 소주산 상층기
            • (4) 신암리 Ⅰ기층, 농포·호곡동 Ⅰ기층과 우가촌 하층기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라. 중서부지방

가) 석기(<그림 3> ①∼(17), (22))

 중서부지방(여기서도 석기에서와 마찬가지 구분임)의 유적 가운데 석기가 많이 출토되는 곳으로는 궁산과 지탑리, 대동강유역의 남경·금탄리, 한강유역의 암사동과 미사동 등이 있다. 중서부지방 석기의 가장 큰 특징은 일련의 농사도구들이 나오고 있다는 점이다.

 궁산·지탑리 등 대동강유역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석기를 보면 가장 많은 것이 화살촉인데 모두 판암으로 만들었으며 간 것이다. 화살촉의 모양은 뿌리있는 것과 뿌리없는 것, 버들잎모양의 세 가지가 있다. 버들잎모양의 활촉을 확대한 것 같은 창끝, 활촉과 비슷하나 너비 1㎝ 미만에 길이 7∼8㎝(때로는 10㎝ 이상) 정도 되는 좁고 긴 찔개살 등도 있다. 중서부지방에서는 남해안지방이나 동북지방과는 달리 뚜렷한 물고기잡이도구가 잘 나타나지 않는 반면 그물추와 함께 찔개살이 많이 쓰였던 것 같다. 찔개살은 궁산에서만 30여 점이 출토되었다. 그물추는 금탄리에서 600여 점, 남경유적에서 3,000여 점이 나와 대동강유역에서 민물고기잡이가 활발했음을 잘 보여준다. 도끼는 날부분만 갈았는데 단단한 섬록암질이며 단면이 주로 렌즈모양이나 네모꼴이다. 이와 함께 대팻날과 끌도 나오고 있다. 그물추는 지름 7㎝에 두께 2∼3㎝가 표준인데 화강암·규암·사암 등의 자갈돌 양면이나 네 면을 쪼아 만들었다. 화강암으로 만든 갈돌은 30여 개나 나왔다. 그 밖에 크고 작은 숫돌과 擦切具, 잘라 놓은 판암편(화살촉 반제품)들이 있다.

 농경도구로는 지탑리 2지구에서 나온 보습과 낫이 가장 확실하며, 그 밖에 갈돌·갈판·괭이 등이 함께 나온다.

 이러한 석기 조합은 아래쪽의 한강유역으로 내려오더라도 비슷하다. 즉 암사동·미사리와 함께 시도·백령도·연평도유적 등을 포함하여 보면 화살촉으로는 삼각형과 역자식(逆刺式 : 슴베가 없으며 밑부분에 결입이 있어 나래가 생긴 것)이 가장 우세하며 타제 및 마제의 도끼가 다 나오고 있다. 돌창·끌·그물추·숫돌 등도 같은 모습을 보인다. 암사동에서는 특히 돌낫·보습·돌괭이·갈돌·갈판 등 농사도구가 모두 나와 주의를 끈다.

<그림 3>중서부지방의 석기와 뼈연모
①∼④ 화살촉, ⑤∼⑦ 창끝, ⑧∼⑩ 도끼, ⑪·⑫ 그물추, ⑬·⑭ 도끼, ⑮ 돌낫, (16) 대팻날, (17) 괭이, (18)·(19) 토기 무늬돋치개(施文具), (20)·(21) 뼈바늘, (22) 낫

 최근에 와서 한강유역을 발굴하거나 지표조사하여 뗀석기가 무척 많이 찾아졌는데 석기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648) 즉 이 곳에서는 자갈에다 간단히 타격을 가하여 그대로 긁개나 찍개로 이용한 것, 그리고 큰 격지나 길쭉한 강자갈을 가지고 거칠게 다듬어 날을 세운 도끼의 수량이 엄청나게 많다고 한다. 대부분 잔손질없이 떼어낸 것들을 그대로 도구로 이용하였기 때문에 지금까지 이들을 석기로 여기기보다 단순한 격지인 줄 아는 경우가 많았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현상은 남해안지방의 석기분류에서 이미 시사된 바 있다.

 종합하면, 중서부지방 석기들의 가장 특징적인 요소는 역시 농사짓는 도구가 많이 출현한다는 점이다. 우리 나라 중서부지방의 신석기시대에는 농사가 비교적 일찍 시작되거나 농사에 비중을 둔 문화였을 가능성이 높다. 이에 비하면 금굴과 상시바위그늘의 경우649) 여전히 물고기잡이와 사냥을 중심으로 나타나므로, 역시 생활환경에 따라 사는 방법이 다르며 이에 따라 석기가 달리 만들어진다는 평범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나) 뼈연모(<그림 3> (18)∼(21))

 중서부지방에서 발굴된 유적 가운데 뼈연모가 나온 곳은 궁산유적뿐이며 상시와 금굴에서 약간의 뼈연모가 나왔다. 궁산에서는 뼈송곳과 예새가 각각 110점과 70여 점으로 가장 많이 나왔다. 송곳은 대개 짐승의 사지골을 쪼개어 끝을 갈아 날카롭고 뾰족하게 한 것인데 오늘날에 보면 이러한 것들은 모든 조개더미에서 나타난다. 즉 찌르개로 쓰인 것이며 짐승의 해체나 조리에도 많이 쓰였을 것으로 보고 있다. 예새는 이와 비슷하나 송곳보다 끝이 다소 둔하고 폭을 가진 것으로서 광범위하게 쓰였을 것이다. 때로는 토기의 무늬돋치개로도 쓰인다. 사슴뿔로 된 뿔괭이와 뒤지개 등 농사도구가 나온 것도 궁산의 특징이다. 뿔괭이는 뿔의 갈라진 가지를 이용하여 굵고 긴 줄기는 자루로 하고 갈라진 작은 가지를 10㎝ 정도의 길이로 잘라 간 것이다. 또 산돼지의 송곳니로 만든 낫 6점과, 작은 짐승의 송곳니로 만든 칼, 베실이 꿰여 있는 뼈바늘, 삿바늘도 나왔다. 석기 반제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짐승뼈도 미리 잘라 놓은 것이 있다. 궁산유적의 뼈연모는 아기자기한 신석기살림을 잘 보여주고 있다. 뼈연모가 나오지는 않은 나머지 중서부지방의 신석기유적에서도 뼈연모를 이용하는 양상은 대개 이와 같았을 것으로 짐작된다.

 중서부지방의 뼈연모가 많지 않으므로 남한강가의 바위그늘이나 동굴유적에서 출토된 뼈연모를 참고할 수 있다. 상시에서 보면 간 뼈연모의 대부분은 끝이 뾰족한 찌르개·송곳·창끝 등이 차지한다. 그 밖에 긁개·밀개·째개 등의 뼈연모가 있고 자라의 배밑판을 이용하여 구멍을 뚫고 만든 치레걸이·투박조개팔찌 등이 나왔다. 금굴에서는 뼈송곳·뼈바늘·조가비팔찌·치레걸이 등이 나왔다. 투박조개는 원래 우리 나라 남동해안이 산지인데 상시와 같은 내륙지방에서 전복 등의 바다조개와 함께 나오는 것으로 보아 당시에 남동해안지방과의 교역이 있었음을 추정할 수 있다.

648)渼沙里先史遺蹟發掘調査團·京畿道,≪渼沙里≫ Ⅰ∼Ⅴ(1994).

黃龍渾,<石器·骨角器>(≪韓國史論≫ 12, 1983), 522∼591쪽.
649)孫寶基,<丹陽 島潭里地區 遺蹟發掘調査報告>(≪忠州댐水沒地區 文化遺蹟發掘調査綜合報告書≫, 1984).

홍현선,<상시 3바위그늘의 문화연구>(연세대 석사학위논문, 1987).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