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Ⅱ. 신석기문화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화석인골의 몇 가지 특징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1) 생계경제
            • (2) 구석기시대의 주거지
            • (3) 구석기의 도구제작
            • (4) 구석기시대의 사회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비교와 문제점
          • 2) 일본
            • (1) 한반도와 일본의 자연환경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3) 시베리아
            • (1) 구석기유적의 발견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 (2) 연구사 개관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1) 인골의 인류학적 연구
            • (2) 인골의 해부학상 형태 비교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조개더미
            • (3) 무덤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예술품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교역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1)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영역구분과 지역성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1) 신석기문화의 이동
            •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 (2) 서포항 Ⅰ∼Ⅲ기층 당산유적과 소주산 중·하층, 오가촌기
            • (3) 쌍학리유적, 서포항 Ⅳ기층과 소주산 상층기
            • (4) 신암리 Ⅰ기층, 농포·호곡동 Ⅰ기층과 우가촌 하층기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1980년대 전반에 요동반도와 서북한 및 동북한지역 신석기문화의 상호관계에 관한 여러 연구들에 의하여 제시된 편년안 중에서 관계되는 부분을 요약·정리해 본 것이 다음의 <표 2>이고, <표 3>은 그 뒤 1980년대 후반에 동구현 후와와 석불산유적조사의 진전에 따라서 보완된 편년안이다.

 다음의 <표 2>와 <표 3>에서 보이는 바와 같이 요동반도 남부지역에서 절대연대상으로나 층위상으로 가장 이른 시기의 유적은 소주산 하층이고 여기에 후속되는 유적은 요동반도 북부에 있는 단동지구의 大崗·후와유적이다.807) 압록강 북안이기도 한 대강·후와는 상호 인접된 유적이고, 후와유적은 최근 분층발굴되어 후와 상하층으로 구분되었으며, 후와 하층유형으로 부르게 되었다.808)

 후와 하층유형은 토기의 바탕흙(胎土)제법이 소주산 하층과 유사하고, 토기의 문양에 있어서도 編織弧線文(之字文), 集線文이 있고, 기형은 直口筒形深鉢(罐)이 주류인 점에서 소주산 하층과 공통된다. 그러나 후와 하층에서 출토된 횡선문, 압인과 刻劃의 人字文, 網文 등이 소주산 하층에서는 거의 보이지 않으며, 후와 하층에서 深鉢(罐)과 共伴된 壺·碗·杯·盤·勺·舟形土器 등은 소주산 하층에서 보이지 않는다.

 또한 후와 하층에서는 마제의 石斧·鑿·鏃 등이 주요석기이고 비교적 정교한 활석조각품이 출토되었으나, 소주산 하층에서는 타제석기가 주요석기이며 활석조각품은 출토되지 않았다.809)

 이와 같이 후와 하층유형의 문화는 소주산 하층유형의 문화보다 전반적으로 후대적 양상을 보일 뿐 아니라 후와 하층유형의 유적은 단동지구의 大洋河에서 북쪽으로는 압록강유역의 蒲石河지구로 한정되어 나타나고 있으며,810) 소주산 하층유형의 유적이 주로 분포하는 요동반도 남부지역과는 그 분포권을 달리하고 있다. 후와 하층의 연대는 B.C.4000년이고,811) 소주산 하층의 연대는 B.C.4000∼5000년이다.812)

연 대 중 국 일 본
  許玉林(1982) 小川靜夫(1982) 宮本一夫(1985)
요동반도지역 요동반도 서부 요동반도 중부 서북한 요동반도지역 서북한
B.C.5000

B.C.4000
小珠山 하층유형

 
  小珠山 하층

 
美松里 하층

 
小珠山 하층

 
美松里 하층

 
B.C.3000 小珠山 중층·郭家村 하층유형

 
郭家村(하) 5

      4

      3
小珠山 중층

吳家村

 
堂 山 小珠山 중층

吳家村

 
土城里

堂山 하층

 
B.C.2000

이상
小珠山 상층·郭家村 상층유형



 
郭家村(상) 2

      1

四平山

雙砣子 Ⅰ

雙砣子 Ⅱ
小珠山 상층


雙砣子 포함층


單砣子 MⅠ
新岩里 Ⅰ




雙鶴里 Ⅱ
小珠山 상층




 
堂山 상층




 
B.C.2000

이하
于家村 하층유형


 
     


新岩里 Ⅱ
雙砣子 Ⅰ

雙砣子 Ⅱ

雙砣子 Ⅲ
 

新岩里 Ⅰ

<표 2>요동반도와 한반도 북부지역 편년대조표 ①

연 대 한 국 북 한
  白弘基(1986) 1969
요동반도지역 서북한 동북한 요동반도지역 서북한
B.C.5000

B.C.4000
小珠山 하층

大崗·後洼
 

美松里 하층
서포항 Ⅰ

서포항 Ⅱ
   
B.C.3000 小珠山 중층

吳家村

 
堂 山


 
서포항 Ⅲ


 
   
B.C.2000

이상
小珠山 상층 雙鶴里 서포항 Ⅳ


農圃


 
沙包子村·李牆子·淸化宮

南玉

上馬石(하),

郭家村(하),

吳家村
金灘里 Ⅰ (細竹里 Ⅰ)



金灘里 Ⅱ(堂山·細竹里 Ⅱ)

 
B.C.2000

이하
于家村 하층

(雙砣子 Ⅰ)
新岩里 Ⅰ

 
호곡동 Ⅰ

서포항 Ⅴ
姚家溝

 
新岩里 Ⅰ (新岩里 Ⅰ·雙鶴里·龍淵里)

<표 2>요동반도와 한반도 북부지역 편년대조표 ②

연 대 요동반도지역 한반도 북부지역
남부지구 압록강 하류지구 서부지방 동부지방
B.C.5000

B.C.4000
小珠山 하층

 
 

後洼 하층·大崗
 

美松里 하층
서포항 Ⅰ

서포항 Ⅱ
B.C.3000

 
小珠山 중층

吳家村
後洼 상층?  

堂 山
서포항 Ⅲ
B.C.2000 이상  

小珠山 상층

郭家村 상층
 

石佛山

 
雙鶴里


 
 

서포항 Ⅳ

農 圃
B.C.2000 이하 于家村 하층·

雙砣子 Ⅰ
  新岩里 Ⅰ

 
虎谷洞Ⅰ·서포항 Ⅴ

<표 3>요동반도와 한반도 북부지역의 신석기 편년대조표

白弘基, 앞의 글, 7∼20쪽 참조.

 한편 후와 하층유형의 토기는 서북한의 미송리 하층에서도 보인다(<그림 1>가). 종래 미송리 하층은 금탄리 Ⅰ층이나 금탄리 Ⅱ층에 대비되는 늦은 시기로 알려져 왔으나,813) 소주산유적의 분층발굴 성과에 의해서 미송리 하층의 토기는 소주산 하층의 토기문양과 일치된다는 점을 들어서 소주산 하층과 대비되는 것으로 보는 견해들이 제시되어 있다.814) 그러나 미송리유적의 지리적 위치로 보나 문화의 성격상으로 보아서 소주산 하층보다는 오히려 후와 하층유형에 대비되는 것이 보다 더 타당한 것으로 생각된다815)(<그림 1>가∼다).

<그림 1>소주산·후와·미송리 토기문양 (가) 小珠山 하층

<그림 1>소주산·후와·미송리 토기문양 (나) 後洼 하층

<그림 1>소주산·후와·미송리 토기문양 (다) 美松里 하층

807)白弘基, 앞의 글.
808)許玉林, 앞의 글(1987·1989·1990).
809)白弘基,<요하유역의 신석기문화연구-요동반도북부지역을 중심으로->(≪國史館論叢≫ 69, 國史編纂委員會, 1996), 8∼13쪽.
810)許玉林, 앞의 글(1987·1989·1990).
811)許玉林, 위의 글(1987), 19쪽.
812)許玉林, 앞의 글(1982), 41쪽.
813)고고학연구소,<기원전 천년기 전반기의 고조선문화>(≪고고민속론문집≫ 1, 사회과학출판사, 평양, 1969), 37쪽.
814)小川靜夫, 앞의 글.

宮本一夫, 앞의 글.
815)白弘基, 앞의 글(1993), 80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