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주조관계 유적

① 용인 용범0148)(경기도 용인군 모현면 초부리)

 1965년에 신고된 매장문화재로, 서쪽으로 京安川의 지류인 능원천을 끼고 평야가 전개되고 동으로는 낮은 산줄기가 남으로 발달되어 있다. 부근에는 조선 효종대의 영의정 南九萬의 무덤이 있다. 후에 조사한 결과 용범은 산줄기가 두 가닥으로 갈라지는 언덕이 도로와 만나는 서쪽 경사면에서 3개가 나온 것으로 밝혀졌다. 포개진 상태로 발견되었다고 하는데 별다른 유구는 보이지 않았다.

 3점의 용범은 2점이 1조를 이루고 나머지 1점은 짝이 없다. 모두 활석제이다(<그림 16>).

<그림 16>용인 출토 용범

 1조를 이루고 있는 용범은 양끝이 약간 좁아진 장방형인데 앞뒤에 각각 1개체의 동검을 새겨 2점의 범으로 2개의 동검을 주조할 수 있게 하였다. 동검의 형태는 중앙에 둥근 등대가 점점 가늘어지면서 봉부의 끝까지 뻗어 있으며 꼬다리 부분에는 청동을 녹여 붓는 注口를 만들었다. 봉부 끝이 약간 둥근 편이며 동검 중간보다 약간 내려온 부분 양쪽에 작은 돌기를 만들고 그 아래 둥근 바이올린 동체부 비슷한 하반부를 새겼는데 관부는 등대와 직각으로 만난다. 주조할 때 어긋나지 않게 측면에 선을 그어 맞추도록 하였다. 길이 22.5㎝, 너비 양끝 4.3㎝, 중앙 5.2㎝, 두께 2.0∼2.3㎝이며 검의 길이는 각 20.0㎝, 25.2㎝이다.

 나머지 1점은 앞의 예와는 달리 한 쪽에만 동검을 새겼다. 상하 측면에는 線刻을 새겨 결합하는 표적으로 삼았다. 양끝이 약간 좁아진 장방형이고 새겨진 동검의 범의 형태는 전자와 같으나 좌우의 돌기가 중앙부에 가깝다. 길이 28.1㎝, 너비 5.6㎝, 중앙 너비 6.1㎝, 두께 1.4㎝, 동검의 길이 27.8㎝이다.

② 영암 용범0149)(전남 영암군 학산면 독천리 또는 동구림리)

 1960년경 숭실대학교 기독박물관에서 골동상을 통하여 구입하여 보관중인 일괄유물이다. 출토위치나 출토상황을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청동기 주조 관계 유물로 대단히 귀중한 일괄유물이다. 모두 6쌍으로 된 12점과 한 쪽만 남아 있는 1점, 한 쪽의 작은 파편 1점으로 모두 14점이고 파편에 새겨진 것과 편면에 남은 것을 포함하여 8종류 24점의 청동기가 새겨져 있다. 동검 4점, 동모 2점, 동부 5점, 동착 3점, 낚시 완형 4점, 바늘 4점, 거울 미완성품 1점, 동사 파편 1점 등이다.

 세형동검 용범(1쌍):두 쪽으로 된 것을 마주 조합하여 사용한 것으로 검신의 모양은 제2절대는 분명하게 나타나 있으나 제1절대는 완만하게 곡선을 이루고 있다. 주조 후 날을 세우면서 절대부를 분명하게 형성시켰으며 등대를 보면 莖部 단면이 타원형으로 되어 있으며 결입부위에 이르면 거의 원형을 이루고 검신 先端까지 뻗쳐 있다. 정확하게 맞추기 위해서 경부 쪽에 2개의 合致線을 그어 놓았다. 길이 34.5㎝, 폭 7.4㎝, 두께 4.0㎝(한쪽의 두께).

 세형동검·동과 용범(1쌍):두 쪽을 서로 조합해서 사용토록 되어 있는데, 한면은 세형동검을, 한면은 동과를 주조하던 것이다. 동검은 한 쪽 모서리에 맞춤선을 그어 놓았으며 칼끝까지 등대가 나타나도록 되어 있다. 동과는 흔히 보이는 전형적인 형태인데 血溝와 날 부분이 대단히 예리하게 되어 있고 銅戈 身 머리에 구멍은 없다. 동과의 전체 길이 28.8㎝, 片面의 길이 35.5㎝, 폭 8.8㎝, 두께 4.1㎝이다.

 동부·동착 용범:두 합범으로 한 면은 주머니 모양의 동부를 한면은 방형의 동부와 끌을 주조하던 것이다. 동부에는 둥근 날에 고리를 붙여 놓았고 공부 목에 삼선의 돌대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內心鑄型은 없어졌고 자루 부분의 두께가 2.5㎝, 동부의 전체 길이가 16.7㎝이다. 뒷면의 자귀와 끌도 내심주형이 없고 자귀의 길이는 13.6㎝이고 끌은 길이가 15.3㎝이다. 편면의 길이 16.9㎝, 폭 10.9㎝, 두께 4.0㎝이다.

 동부 용범:두 쪽으로 된 有肩銅斧 용범으로 자귀의 공부쪽 면이 조금 좁고 날쪽이 좀더 넓게 되어 있다. 자귀의 길이는 11.6㎝로 4조의 돌대를 공부에 새겼고 공부 가까이에는 돌기를 나타나게 하기 위한 홈이 파져 있다. 신부에서 공부쪽으로 오무라든 곳에 장방형의 돌기를 만들기 위한 구조가 있다. 용범 뒤에는 미완성의 낚싯바늘 3개, 주연 일부와 뉴 2쌍이 새겨진 다뉴세문경을 새겼는데 낚싯바늘은 대형 6.9㎝, 중형 6.3㎝, 소형 4.3㎝로 구성되어 있고 중소형 2개는 동시에 주조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다뉴세문경은 편면 길이 12.2㎝, 폭 6.8㎝, 두께 1.6㎝이다.

 동부·동착 용범:두 쪽으로 된 용범으로 한 면에는 유견동부를, 다른 한면에는 끌 2개를 주조하도록 구성되었다. 동부의 길이는 11.3㎝이며 날은 그다지 넓지 않고 공구에 4조의 돌대를 둘렀으며 그 가까이 장식을 주조하기 위한 홈이 파져 있다. 동착은 길이 11.7㎝, 11.6㎝의 대소 두 개이다. 작은 끌의 신부는 가늘면서 1㎝의 좁은 날을 가지고 있다. 착의 주조틀 한쪽에 바늘을 주조하기 위한 편범이 있다. 3개 바늘의 길이는 각각 9.6㎝, 9.5㎝, 7.8㎝이고 편면 길이 12.0㎝, 폭 6.5㎝, 두께 1.9㎝이다(<그림 17>).

<그림 17>영암 출토 용범

 동부 용범:두 쪽으로 된 합범으로 扇形銅斧를 주조하던 것인데 선형의 날부분은 요령지방 초기의 것이나 미송리 출토품보다는 좁아졌고 덜 휘었다. 날이 좁고 전체적으로 길게 보여 신부는 초기 철부의 형태와 가깝다. 공부는 4선의 돌대가 형성되도록 만들었고 길이는 14.6㎝이고 날의 넓이는 7㎝이다. 한쪽 면 동부 주형 옆에는 미완의 낚시와 바늘 주형이 있다.

 동검·동모 용범:한면은 동모, 또 한면은 동검을 주조하던 것인데 한쪽은 상실되고 한쪽만이 남아 있다. 동검은 주조 후 갈아서 날을 세울 때 마디를 만들었던 것으로 추정되며 抉入部는 나타나 있으나 제1·제2절대부의 흔적은 나타나 있지 않다. 신부의 넓이가 길이에 비해 넓고 길이는 19.6㎝이다. 동모는 中空 莖部가 대단히 짧고 문양이 없으며 길이는 19.9㎝이다. 길이 20.3㎝, 폭 7.5㎝, 폭 2.4㎝이다.

 동사·동검 용범:깨어진 작은 파편으로 한면에는 동사와 동침을, 다른 한면에는 세형동검을 만들었다.

<李康承>

0148)國立中央博物館,≪靑銅遺物圖錄≫(國立博物館 學術資料集 1, 1968).

金載元,<龍仁出土銅劍鎔范>(≪李崇寧博士回甲論叢≫, 1968).
0149)林炳泰,<靈岩出土 靑銅器鎔範에 對하여>(≪三佛金元龍敎授停年退任紀念論叢≫Ⅰ, 1987).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