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Ⅰ. 청동기문화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4) 영남지방의 유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9) 울주 반구대 바위그림

 경남 울산시 울주구 언양면 대곡동 태화강 상류 반구대 일대의 인공호수 서안, 북면한 암벽에 그려져 있다. 원래 이 바위그림은 물아래 잠겨 있었는데 1972년 1월 이상 가뭄으로 바위가 수면 위로 올라와 그 곳에 그려진 그림이 세상에 알려지게 되었다.

 이 반구대 그림에 대한 조사는 같은 해 동국대학교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이 반구대 근처인 울주구 두동면 천전동에서도 바위그림이 확인된 바 있다.

 반구대 바위그림에는 여러 가지 동물들과 사람들을 주제로 다루어지고 있다. 즉 인간모습 8점, 고래 내지는 물고기·사슴·호랑이·멧돼지·곰·토끼·개·늑대·거북이 등 동물이 120여 편, 고래잡이하는 배와 어부들 사냥하는 광경 등이 5편, 기타 명칭을 확인할 수 없는 동물 30여 편 등 150여 편이 넘게 바위면에 묘사되어 있다.

 바위그림 오른쪽 끝 맨 위에는 긴 꼬리의 호랑이, 그 아래에는 반대 방향을 보고 있는 목이 긴 사슴 같은 동물, 그 밑에 꼬리를 곧추세운 고양이같은 동물, 염소같은 동물이 묘사되어 있다. 사슴이나 염소같은 동물들의 배가 부르게 묘사된 것은 마치 동물들의 잉태를 표현하고자 하는 의미로 해석되고 있다. 중앙부 상부 우측에는 갈비뼈 등이 다 보이도록 한 유럽의 뢴트겐식 표현 비슷하게 묘사된 동물이 있으며, 그 좌상방에는 뿔이 있는 짐승이 묘사되어 있다.

 그리고 왼쪽 끝 상부에는 고래와 U자형 木柵, 그리고 그 아래 또 다른 목책이 보이는데 고래 중 가장 크게 묘사된 고래는 입부분에 조그마한 고래모양이 다시 묘사되고 있어서 새끼를 밴 고래 내지는 고래 母子를 표시한 것으로 생각되고 있다. 가장 큰 고래의 좌상부에는 오른쪽으로 향하고 있는 인물이 묘사되고 있는데 이 인물 왼쪽에는 세 마리의 거북이가 새겨져 있다.

 U자형 목책은 어망처럼 보이기도 하나 그 가운데 1마리의 동물이 보이고 있어서 짐승잡는 도구로 보이며 U자형 목책 밑 우하부에는 5인이 타고 있는 배가 조그마하게 새겨져 있어서 좌하단의 목책은 고기잡이 도구로도 여겨진다. 그리고 이 고래 및 U자형 목책 그림의 오른편에는 호랑이와 목책, 그리고 반점이 있는 표범이 묘사되어 있는데 표범의 꼬리가 옆의 고래 몸위에 걸쳐 있어서 고래그림이 표범그림보다 먼저 새겨진 것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리고 표범 왼편에는 호랑이 같은 동물이 똑바로 서 있는데, 배가 아주 불러 오른 모습으로 묘사되고 있다. 그리고 최우단 하부에는 몸이 가늘고 귀가 섰으며 입이 뾰족하고 네 다리가 길게 뻗어 있는 늑대같은 동물이 새겨져 있으며, 그 밑에는 고래가 수영하는 것처럼 묘사되어 있다.

 바위그림은 바위면을 쪼는 도구로 쪼아서(Pecking) 만들어진 그림으로서 敲打法을 사용하고 있으며, 사실주의적 묘사와 추상주의적 묘사가 함께 어우러져 있다. 동물 중의 일부는 갈비뼈 등 속이 훤하게 들여다 보이도록 묘사된 뢴트겐식 표현법을 쓰고 있다. 또한 이 바위그림에서는 正面觀을 하고 있는 가면과 背面觀을 하고 있는 고래와 물고기 등 예외적인 것을 제외하면 대부분 側面觀으로 되어 있다.

 이 그림의 연대를 그림자체만으로 정하기는 매우 어렵다. 그리고 바위그림은 시대가 흐른 후 새로이 그림이 새겨질 수도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수렵·어로미술 중 이 곳에서와 같이 동물 내부기관을 뢴트겐식으로 표시하고, 쪼는 기법으로 만들어진 공통점은 북구의 Huntmen Art 제2양식, 즉 신석기시대 그림 가운데에서도 옛 양식에 드는 바위그림들과 매우 유사하다고 한다. 노르웨이의 Askaken에 있는 Elks와 물고기그림, Ekeberg에 있는 Elks그림이 쪼는 방식으로 만들어지고 내부기관이 표시되었다는 점에서 가장 비슷하다. 또한 시베리아 아무르강유역의 신석기시대 바위그림과도 유사하여 이러한 점을 근거로 그 상한을 신석기시대 중기 전후로 보는 견해와 바위그림 제작에 쓰여진 도구가 철기일 것이라는 생각과 화살, 외양선의 존재 그리고 천전리 바위그림 등과 비교 고찰을 통하여 이 유적의 연대가 청동기 후기부터 원삼국기 초까지 실연대로 기원전 300년∼기원후 100년경까지 약 4세기 동안 걸쳐 있는 것으로 보는 견해도 있다.

 이 그림은 고대 원시인의 자연환경 및 동물 등에 대한 깊은 관심과 인지정도 등을 보여주며 배가 부른 모습으로 묘사된 동물이나, 모자고래와 같은 묘사 등은 이 바위그림이 풍요와 다산을 비는 성스러운 의례장소로서 이용되었을 가능성을 암시해 주고 있다. 그리고 이 바위그림은 동물, 어류의 수렵방법 등을 보여주는 자료로서 당시 사회에서 수렵·어로의 중요성, 비중 있는 동식물 등에 관한 자료, 배를 타고 있는 모습 등 선박 사용 등에 대한 정보 등을 우리에게 생생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밖의 영남지방 청동기시대 유적을 표로 정리하면 다음의<표 1>,<표 2>와 같다.

지역 유적명 위 치 내 용 비 고 문헌
















지석묘군 달서구 진천 2동 700, 713, 713-13, 653, 658, 645 18기 가운데 5기만 잔존, 돌널 3기 조사시 돌검, 돌촉, 민무늬토기편 출토 1980년 영남대
석관묘 수성구 시지동

산 4번지
1기 확인

돌검 출토
1983년 발굴
출토지 동구 신천동 589

-205
동제창, 동제투겁창, 작은방울, 장대방울 등 출토 1974년 발굴
지석묘군 동구 동내 1동

423, 191, 388-1
5기 중 1기 제거, 4기 잔존  
지석묘군 동구 각산 1동

전 518-2
8기 중 1기 잔존,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동구 율암 2동

305, 312, 216
2기 잔존  
지석묘군 달서구 유가면

유곡1리 969
개석식 3기  
지석묘군 수성구 사월동

272-3, 469 예배당 뒷편
16기 중 10기 잔존, 6기 발굴 1993년 영남대

발굴
지석묘군 수성구 신매동 6기 일명 칠성바위
지석묘군 달성군 구지면

고봉리 437-3
개석식 3기  
지석묘군 달성군 구지면

평촌 2리 766
17∼18기가 있었으나 ’91년 조사시 개석식 3기 확인, 돌도끼 2점 출토  
지석묘군 달성군 구지면

평촌 1리 413-1
개석식 5기  












지석묘군 북구 기계면

고지리 138
기반식 4기 분포  
지석묘군 북구 기계면

성계리 883
개석식 기반식 4기  
지석묘

(암각화)
북구 기계면

인비리 논
돌검 2점, 돌촉 새김  
암각화 북구 흥해읍

동소천 농발대
방패형기하문, 동물발자국,

윷판 새김
 
지석묘군 북구 흥해읍

흥안리 2동
개석식 12기  
입 석 북구 흥해읍

금장 1동 536
흥해지역에서 제일 큼  
지석묘군 북구 흥해읍

용천동
개석식 6기  
지석묘군 북구 흥해읍

용곡리
기반식, 개석식 등 11기  
지석묘군 북구 흥해읍

성곡리
개석식 9기  
지석묘군 남구 연일읍

자명리
개석식 3기  
지석묘군 남구 연일읍

남성리
개석식 17기이나 1기에만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남구 연일읍

중명리
개석식 8기, 1기에만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남구 장기면

학계리
개석식 9기, 일부에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남구 구룡포읍

성동리
개석식 14기  
지석묘군 남구 동해면

금광리
개석식 11기, 1기에만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남구 동해면

금광리
개석식 8기, 일부개석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남구 동해면

흥환리
개석식 14기, 1기에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남구 대보면

구만리
개석식 7기  












지석묘군 충효동·재동

야척마을
개석식 2기 좁은단검 출토  
지석묘군 광명동 331-1 광명마을 개석식 9기

아랫마을 개석식 7기

고란마을 개석식 3기

화질마을 개석식 3기
 
암각화 석장리 금장대 방패형기하문, 돌검, 돌창, 사람

발자국, 배 등 새김
 
암각화 선도동 서악

큰마을 소로변
성혈, 음각선 새김  
지석묘군 내남면 상신 3리

광석마을
10여 기 분포, 일부 발굴 일명 큰돌
지석묘군 안강읍 양월리 안강국민학교 내 3기  
지석묘 안강읍 갑산 1리 마을입구 2기  
지석묘군 서면 아화리 아화중학교 동편 송림 4-5기,

심원사 입구 2기
 
지석묘군 천북면 동산리 경작지내 성지제 서쪽에

3기 분포
 
지석묘군 천북면 화산리 현재 4기 분포  
지석묘 천북면 성지리 1기  
지석묘군 천북면 모아리 20여 기 분포했으나 모아초등학교 뒷

편과 주변 경작지에 8기만 잔존
 
지석묘군 강동면 국당리 개석식 6기, 3기에는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건천읍 대곡1리

민가 및 논
개석식 11기 분포  
지석묘군 서면 서오리

들판
개석식 9기  








지석묘군 감문면 문무리 하여마을 앞 6기 분포  
산포지 감문면 삼성리 민무늬토기편 다수 채집  
지석묘군 구성면 미평리 지품마을 뒷산에 7기 분포, 2기는

성혈이 있음
 
지석묘군 구성면 송죽리 고목마을 입구 밭 2기 분포

주위 붉은간토기, 민무늬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부항면 사등리 구남교 부근 3기 분포, 주위 민무늬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부항면 유촌리 동산마을 뒷산 3기 분포, 붉은간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부항면 지좌리 주막거리 5기 분포  
지석묘군 지례면 신평리 등터마을 주위 10여 기 분포  
산포지 개령면 황계리 오송마을 뒤 능선에서 민무늬토기편 다량 채집  




지석묘군 풍천면 어담리 5기 분포  
지석묘군 풍천면 금계리 3기 분포  
포함층 녹전면 사신리

58
숫돌 2점, 외날돌도끼, 토제어망추 27점, 곡옥 6점, 대롱구슬 8점, 호박옥, 돌촉 7점 등 출토  
지석묘군 임동면 수곡1동

밭 422
8∼9기 중 3기 잔존 임하댐 수몰지구


암각화 가흥동 방패문 새김  






지석묘군 대창면 용전리 개석식 21기  
지석묘군 대창면 오길 2리

713 대곡지
개석식 19기  
지석묘군 대창면 오길리

일대
대부분 개석식, 기반식도 보임

총 90여 기 동단검 출토 예가 있음
 
지석묘군 대창면 신광리·

조곡리 일대
개석식 130여 기 분포  
지석묘군 대창면 오길리

마을입구
개석식 44기  
지석묘군 대창면 운천리

일대 뜰
개석식 23기 일명 칠성바위
지석묘 임고면 양평리

479
기반식 10기 분포  
지석묘군 북안면 명주리

창기마을 앞
개석식 5기  
지석묘군 북안면 용계리

원당골∼신평 사이
개석식 27기  








지석묘 북문동 부원 마을 도로변 8기  
지석묘 동문동 헌신

1구
낮은 구릉 4기  
지석묘군 사벌면 매호리 밭 가운데 6기, 인접한 교회 북서쪽에 4기  
지석묘 중동면 회상리

산 13-1
매골마을 야산 10기  
지석묘군

·산포지
낙동면 분황리 8기, 구릉에서 민무늬토기, 석기 채집  
지석묘군 공성면 용안리 7기 분포  
지석묘군 모동면 수봉리

325-3
3기  










지석묘군 남천면 삼성리

일대
개석식 2열 15기  
지석묘군 남산면 갈지리

입구 사과밭
개석식 7기  
지석묘군 남천면 평기리

일대
개석식 8기  
지석묘군 남산면 연하동

새들
개석식 8기  
지석묘군 자인면 신도리

섬마을 및 새터

마을
일명 기자바위로 불리는

1기를 포함해 개석식 11기
 
지석묘군 용성면 미산리

일대
개석식 30여 기  
지석묘군 용성면 곡신리

-오산리
개석식 41기  
지석묘군 용성면 금제리

뽕밭, 논, 밭 등
개석식 3기  
지석묘군 용성면 용천리

육동부락
개석식 3기  
지석묘군 용성면 고죽리

일대
개석식 41기 일부 칠성바위

라 전함
지석묘군 용성면 도덕1리 개석식 5기  
지석묘군 용성면 정광리

들판
개석식 14기  
지석묘군 용성면 고은리

사과밭 논둑
개석식 2기  
지석묘군 용성면 은곡리

장방들
개석식 3기  
주거지 압량면 북부리

조영동
각종 석기류 출토  
산포지 압량면 압량리

구릉
민무늬토기, 석기 채집  
산포지 진량면 외송리

게밑마을
턱자귀, 민무늬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남천면 삼성리 개석식 10기  


입석군 군위읍 수서1동

560, 560-2
3기   (17)
입석군 군위읍 사직1동

묘 76, 201-5
2기   (17)


산포지 안평면 기도리묘

722, 723, 721밭
민무늬토기편 채집   (17)


지석묘 영양읍 감천동 남방식 3기  


포함층 창수면 인천동 돌촉 5점, 돌검 출토  






포함층

(주거지)
청도읍 사촌동

461-1
두형토기·원형덧띠토기 등 다량의 민무늬토기편, 돌검·홈자귀·돌촉·돌끌·반달돌칼·숫돌 등 각종 석기류, 그물·가락바퀴·장식구슬 등 출토   (18)
지석묘군 화양읍 진라리

진라들
개석식 10기 일부 고속도로

부지에 포함
지석묘군 청도읍 무릉리 개석식 10기  
지석묘군 청도읍 원정리 개석식 17기  


암각화 고령읍 양전동

알터부락
방패문, 동심원문 새김  
출토지 고령읍 양전동

적림산 구릉
홈자귀, 발달돌칼편, 민무늬토기 채집  


지석묘군 월항면 수죽동 여러 기 산재  






지석묘군 동명면 봉암리

일대
7기, 돌검 출토 전함   (17)
지석묘 동명면 금암리

일대
개석식 9기   (17)
지석묘

·입석
왜관읍 매원리 개석식 3기, 입석 2기  
산포지 북산면 율 1리

안배씨 마을

구릉지대
민무늬토기편, 석기 채집  


지석묘군 용문면 상금곡동 20여 기 산재  






지석묘군 재산면 갈산1리

갈산부락 논
개석식 약 13기   (16)
지석묘군 명호면 도천4리

381-1, 381-4
개석식 4기   (16)
입 석 봉성면 봉성1리

산 11-3
2기   (16)
산포지 물야면 북지3리

동막부락
주변 민무늬토기편 채집   (16)
산포지 봉성면 봉성 1리 주변 민무늬토기편 채집   (16)

<표 1>대구·경북지역 유적지명표0151)

지역 유적명 위 치 내 용 비 고 문헌




지석묘 강서구 천가동

가덕도 두문마을

북단 밭
개석식 1기  








지석묘 울주구 언양면

서부리 232
기반식 경남기념물 25호
포함층 울주구 서생면

신암리
신석기시대∼청동기시대까지의 유물포함층, 붉은간토기편과 민무늬토기편 출토  
주거지 울주구 청량면

동천리
말각장방형의 집터 5동 발굴, 민무늬토기 바닥, 도들띠토기, 붉은간토기, 쇠뿔잡이편과 숫돌 등 출토 1984년 발굴
암각화 울주구 언양면

대곡리
동물, 사람, 가면 새김  
암각화 울주구 두동면

천전동
기하문, 동물, 가면 등 새김  














지석묘 외동 257-7 남중학교 교정에 기반식 1기 조사

하부구조 돌널, 돌촉 19점, 돌검, 붉은간토기, 돌도끼 등 출토
1929년

경남기념물 5호
지석묘군 동읍 용잠리

1, 2, 3구
6기, 상면에 4개의 성혈이 있는 개석도 보임  
지석묘 동읍 화양리

곡목부락
개석식 2기  
지석묘 북면 외감리 개석식 3기 분포  
지석묘 동읍 산남리 개석식 4기 분포 개석식

사면에 성혈이 있는 것도 있음
 
산포지 반계동 산 44-

15 일대
민무늬토기편 채집 (생활유적 ?)
산포지 지귀동 182 민무늬토기편 채집 (집터 밀집분포

지역?)
지석묘군 동읍 봉산리 산 개석식 6기 분포  
지석묘군 동읍 신방리 하부 매몰됨. 상부 남단에 원형의 구멍 4개 있음  
산포지

주거지
가음정동 561·565·689·688·산 13-1·2,

산 62·64·66

일대
무문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합포구 구산면

반동리 일대
기반식 7기가 Z자형으로 배치

돌검, 돌촉, 좁은단검 발견 전함
 
지석묘 합포구 진전면

오서리 회동

전 1155
현 1기 잔존

경지정리시 돌검 출토
1937년

일명 삼형제바위


지석묘군 대평면 상촌리 상촌리 일대 강변을 따라 21기 분포

기반식 변형지석묘
 


지석묘 서상동 1-6 거대한 기반식 1기

개석상면 ‘송공순절암’ 각자가 있음
경남기념물 4호
지석묘군 봉황동 253 5기가 파괴된 채 놓여있음  




지석묘군 봉평동 67-21 2기 경남기념물

107호
지석묘군 도산면 법송리

745
경작지에 3기, 1기 파손  
지석묘군 도산면 관덕리

543-8
덕치부락 7기, 현재 3기만 남음

돌검, 돌촉 발견
1981년






지석묘군 사남면 병둔,

화정리
기반식 10여 기 분포  
지석묘군 용현면 신복리

410
9기 분포  
지석묘군 용현면 덕곡리

173, 407-1
15기 경남기념물

49호
지석묘군 이금동 336∼434

일대
개석식 8기 분포  
산포지 봉남동 당산

마을 뒷 구릉
민무늬토기 채집  
산포지 이금동 218 일대 민무늬토기 채집  
지석묘군 신벽동 494 기반식 6기 분포

칠성대로 전함
경남기념물

39호
지석묘군 사천읍 구암동

일대
기반식 9기  
지석묘 사천읍 두량동

일대
기반식 7기  






포함층 상남면 마산리 밀양천에 연한 소구릉상

석기류 채집
 
지석묘군 초동면 봉황리

291
7기 군집

개석식
일명 칠성바위
지석묘 무안면 내진리 지석묘 분포  
지석묘군 하남읍 조음리 7∼8기 분포  
지석묘군 하남읍 남전리 40여 기 분포 경남기념물

48호
출토지 하남읍 남전동

일대
돌검, 붉은간토기 발견 1974년


지석묘군 사등면 지석리 기반식 3기  


지석묘군 의령면 중동 기반식 7기, 2열 분포  




지석묘군 함안면 봉성리 기반식 지석묘 3기

주변 돌도끼 2점 수습
 
지석묘군 군북면 동촌리 개석식 15기 유존  
지석묘

(암각화)
가야읍 도항리

도동
동심원, 성혈 등 새김  
지석묘군 가야읍 신음리 3기  
지석묘군 군북면 중암리 4기  




지석묘군 영산면 죽사리 개석식 7∼8기 분포, 상면 일부 성혈이 있는 것도 있음  
지석묘 장마면 유리

산 9
전형적인 기반식 2기 발굴

하부구조 장방형 석실
경남기념물 2호

일명 칠성바위


지석묘군 양산읍 북정리

475-1 부락내
수기 분포, 현재는 경작으로 모두 없어지고, 거의 파괴된 1기만 남음  














지석묘군 동해면 양촌리 기반식 8기 분포  
주거지 회화면 녹명리

산 310-1, 2111

일대
내부 민무늬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구만면 광덕리

747 일대
9기가 알려졌으나 현 개석식 8기 잔존  
지석묘군 대가면 금산리

918-1 세동마을

입구
개석식 2기  
지석묘군 동해면 양촌리

마을일대
개석식 11기  
지석묘군 거류면 거산리

마을주변 일대
8기 분포 전하나 현 2∼3기 잔존

주변 민무늬토기편, 돌도끼, 돌검 출토
1960년
산포지 영오면 오서리 산 15 갓골산 사면 민무늬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하이면 석지리

269 솔밭
기반식, 원래 5기 현 4기 잔존, 돌석촉, 토기 출토, 속칭 수로왕릉 경남기념물

38호
지석묘 하이면 석지리

산 28
개석식, 상면 성혈 다수  
지석묘 하이면 월흥리

588-2 정곡마을

개석식, 기반식 4기

주변 민무늬토기편 채집
 
지석묘군 하일면 학림리

739-6 앞골마을

남쪽
8기 전하나 현 6기 잔존

돌검, 붉은간토기 출토
경남기념물

37호






지석묘군 이동면 다정리

911-5
금석마을 일대 16기 분포 경남기념물

62호
지석묘군 남해읍 평현리 평현들 12기 분포

일단병식돌검 출토
 
지석묘군 남해읍 평현리

2053
평현고개 국도변 아래 5기 분포  
지석묘군 창선면 당항리 기반식 3기 분포  
지석묘군 서면 대정리 6기 분포  
지석묘군 남면 죽전리 335

평야지대
7기 분포  


포함층 횡천군 월평리 돌검, 돌촉 7점 발견  














포함층 삼장면 덕교리 돌검, 돌도끼 등 발견  
지석묘

산포지
단성면 강루리 다량의 즐문토기편, 민무늬토기편, 도들띠토기편, 붉은간토기편, 돌검편, 돌촉편, 돌도끼편, 반달돌칼편 등 각종 석기편 출토 1981년

문화재연구소
지석묘군 산천읍 내리

한밭마을 강변
기반식 2기 상면에 성혈이 있음   (16)
지석묘군 산청읍 봉학리

진입로변
기반식 3기, 2기 중 1기 상면 성혈

옮겨진 것으로 추측
  (16)
지석묘군 산청읍 병정리

대미리 들
개석식 7기   (16)
지석묘

산포지

(주거지)
금서면 특리

사평부락
개석식 22기 분포

주변 민무늬토기편 채집
  (16)
지석묘군

산포지
금서면 화계리

단상마을
2기

민무늬토기편, 어망추 등 수습
  (16)
지석묘

산포지
단성면 사월리

배양
개석식 8기

민무늬토기편, 석기편 수습
  (16)
산포지 생초면 대포리

대포 마을앞뜰
즐문토기편, 민무늬토기편,

붉은간토기편 수습
  (16)
지석묘군

입 석
신등면 법서리

마을 남쪽구릉
기반식 6기

입석 1기
  (16)
산포지 신안면 명동리

명동들
민무늬토기편, 붉은간토기편, 돌촉 등 석기 수습   (16)
지석묘군 오부면 오전리

신기마을
기반식 7기   (16)
지석묘군

입 석
오부면 중촌리

중촌들
기반식 및 개석식 6기

입석 2기
  (16)
지석묘 거황면 장위리

장실마을
개석식 4기   (16)


지석묘 주상면 내오리

산 153
탁자식의 전형적인 북방식 기념물 65호
포함층 남상면 임불리 천덕사지 청동기시대의 민무늬토기편 출토   (17)


출토지 율곡면 임북리

산림 뒷산
농로개설 중 좁은단검 발견 1978년 발견

<표 2>부산·경남지역 유적지명표0152)

<趙由典>

0151)번호로 표시한 문헌의 자료명은 다음과 같다.

① 경북대 박물관,≪大邱의 文化遺蹟-先史·古代≫(경북대·대구시, 1990).

② 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구지공업단지 조성지역지표조사보고≫(달성군·영남대 민족문화연구소, 1992).

③ 권이구 외,≪부산-대구간 고속도로 대구·경북권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영남대 박물관·한국도로공사, 1993).

④ 鄭永和,≪造永洞 發掘調査報告≫(영남대 박물관, 1985).

⑤ 대구대 박물관,≪구마고속도로 4차선 확장공사 예정지역내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1991).

⑥ 문화재관리국,≪文化遺蹟總覽≫(1977).

⑦ 한국역사민속학회,≪한국암각화의 세계≫(1995).

⑧ 영일문화원,≪영일만지역 고인돌문화연구≫(1994).

⑨ 경주문화재연구소,≪경주서악지역 지표조사보고서≫(1994).

⑩ 영남대 박물관,≪경부고속철도 대구·경북권 문화재지표조사보고서≫(영남대 박물관·한국고속철도건설공단, 1993).

⑪ 영남고고학회,<울주 검단리유적 발굴조사>(≪嶺南考古學≫7, 1990).

⑫ 鄭永和,≪慶山地表調査報告≫(영남대 박물관, 1986).

⑬ 경북대 박물관,≪임하댐수몰지역 문화유적 발굴조사보고서(Ⅱ)≫(안동군·안동대 박물관·경북대 박물관, 1990).

⑭ 영남대 박물관,≪中原文化圈 文化遺蹟 地表調査報告:안동시·안동군≫(1987).

⑮ 영남대 박물관,≪中原文化圈 文化遺蹟 地表調査報告:상주시·상주군≫(1988).

(16) 영남대 박물관,≪中原文化圈 文化遺蹟 地表調査報告:봉화군≫(1989).

(17) 경북대 박물관,≪대구-춘천간 고속도로 건설예정지내 문화유적발굴조사보고서≫(경북대 박물관·한국도로공사, 1990).

(18) 영남고고학회,<거창 대야리 무릉리유적발굴조사>(≪嶺南考古學≫6, 1989).
0152)번호로 표시한 문헌의 자료명은 다음과 같다.

① 부산여대 박물관,≪가덕도 문화유적지표 조사보고서≫(1992).

② 문화재관리국,≪文化遺蹟總覽≫(1977).

③ 국립중앙박물관,≪新岩里≫(Ⅰ·Ⅱ)(국립박물관 고적조사보고 20·21, 1988·1989).

④ 부산대 박물관,≪蔚州良東遺蹟調査槪要≫(유적조사보고 9, 1985).

⑤ 한국역사민속학회,≪한국암각화의 세계≫(1995).

⑥ 창원대 박물관,≪창원시문화유적 정밀지표조사보고서≫(창원대·창원군, 1995).

⑦ 경상남도,≪慶南文化財大觀:道指定篇≫(1995).

⑧ 동아대 박물관,≪伽耶文化圈遺蹟精密調査報告書≫(1987).

⑨ 문화재관리국,≪指定文化財目錄≫(1989).

⑩ 경남대 박물관,≪三千浦市 文化遺蹟 地表調査報告書≫(1995).

⑪ 沈奉謹,≪韓國 靑銅器 時代 文化의 理解≫(동아대 출판부, 1990).

⑫ 마산대 박물관,≪伽耶文化圈 遺蹟精密調査報告書≫(1984).

⑬ 金載元·尹武炳,≪韓國支石墓硏究≫(국립중앙박물관, 1967).

⑭ 경남대 박물관,≪소가야 문화권 유적발굴지표조사보고서-선사·고대≫(경남대 박물관·문화재연구소, 1994).

⑮ 趙由典,<南江流域의 先史文化硏究(1)-山淸 江樓里 先史遺蹟의 性格>(≪韓國考古學報≫20, 1987).

(16) 부산여대 박물관,≪산청군 문화유적 지표조사보고서≫(1993).

(17) 安春培,≪居昌壬佛里天德寺址≫(부산여대 박물관, 1987).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