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Ⅱ. 철기문화1. 철기시대3) 철기시대의 유적(1) 집터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철기시대의 유적

(1) 집터
가. 조사현황

가) 북부지역

 지금까지 조사된 북부지역의 철기시대 집터는 두만강유역의 무산 호곡동·회령 오동·웅기 송평동 유적, 함경남도의 영흥 소라리유적 등에서 모두 23기가 발견되었다. 압록강유역의 시중 노남리·중강 토성리·영변 세죽리 유적 등에서는 7기가, 대동강유역의 북창 대평리유적에서는 9기가 발견되었다(<표 1>).


유적명

평면

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회령

오동
1 장방형 무시설형 구덩이(150㎝×100㎝), 불탄흔적 꼭지형파수토기 철부, 鐵滓 숫돌, 방추자, 활비비추, 벽옥제반지, 동물뼈 1954


1955
무산

호곡동
21 장방형 위석형

무시설형
  흑색·갈색마연토기, 굽접시, 시루 철부, 철재, 철낫, 철조, 철편 청동환, 골침, 골추, 복골, 석부, 숫돌, 방추자, 어망추 등 1954


1955
웅기

송평
    터널형 온돌시설       1929


1931
영흥

소라리
1             1956
시중

노남리
2   터널형   흑색·갈색마연토기, 회색토기, 백색토기 철부, 철촉, 철조, 철추, 꺾쇠, 교구 청동촉, 천, 명도전, 오수전 1965
중강

토성리
2 장방형 터널형

위석형
  흑색·갈색마연토기, 회색토기 철재, 철편, 절도자, 철조, 교구, 철촉(도끼날) 석촉, 반월형석도, 어망추, 방추차 1960


1962

영변

세죽리
3 장방형

원형
터널형 화구로 추정되는 타원형 구덩이 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부, 철도자, 철착   1962


1963
북창

대평리
9 장방형 터널형 2호 집터에 아궁이 시설 적갈색토기, 갈색토기, 회색토기 철환, 철편, 철도자 방추차 1967

<표 1>북부지역 집터 조사현황

 북부지역의 집터는 대개 14.0∼55.0㎡의 규모를 보이고 있는데, 125㎡의 노남리 남파동 1호나 97.8㎡의 호곡동 17호와 같이 예외적으로 큰 것도 있다. 움의 깊이는 0.2∼0.9m로서 청동기시대에 비해 얕아지는 경향이 있다.0719)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철기시대에 나타나는 외곬 혹은 ㄱ자형의 터널형이 많고 이보다 발전된 다곬형 화덕이 웅기 송평동유적에서 발견되었다.

나) 중부지역

 한강유역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터로는 가평 마장리·이곡리, 춘천 중도, 하남 미사동, 서울 석촌동, 수원 서둔동, 횡성 둔내, 중원 하천리·지동유적 등을 들 수 있는데 조사된 집터의 수는 미사동유적을 제외하고 15기이다. 동해안에서는 양양 가평리와 명주 안인리유적이 있는데 조사된 집터의 수는 40여 기이다(<표 2>).


유적명

평면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가평

마장리
1 말각장방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용도불명의 小片 석촉, 석도편, 석부, 숫돌, 방추차, 토관 1952
가평

이곡리
1 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철편, 철도자편, 철제보습 마제석부, 반월형석도, 숫돌, 마제석촉, 타제석부, 어망추 1978
춘천

중도
2 말각방형,

방형
타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넙적촉, 끌, 도자, 철겸, 장방형고리 철정, 용도 미상 철편 석봉, 연석, 마제석부, 어망추, 방추자, 관옥형토제품 1980


1982
하남

미사동
? 타원형,

말각방형,

장방형

(呂,凸)
아궁이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1988


1992
수원

서둔동
3 방형,

장방형
터널형 4호집터에서 불탄 서까래 발견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부, 철거, 철촉, 도자 볍씨자국이 새겨진 토기저부편 1979


1981
횡성

둔내
3 방형,

장방형
타원형 1호에 출입구시설, 2·3호에 불탄 서까래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흑도 도자, 철촉, 낫, 철정, 용도미상의 철편, 창끌, 굽은철 옥, 마제석촉, 마제석검, 숫돌방추차, 갈돌, 골각기, 탄화곡물, 조개 1983
양양

가평리
2 방형

터널형 1호에 작업재, 저장공, 2호에 숯기둥, 작업대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용도 미상 철편 방추차, 숫돌, 골촉 1983
명주

안인리
40 방형,

장방형

(呂,凸)
타원형

아궁이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흑도, 회색토기 철부, 도자, 용도미상의 철편 가락바퀴, 숫돌, 곡물류 1989


1990
중원

하천리

지동
2 방형

(呂,凸)
타원형 1·2호에 출입구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연질토기 철부, 철겸, 가래, 도자, 철모, 괭이, 철정 어망추, 관옥, 연석, 숫돌, 방추차, 녹각 1983


1984
중원

하천리
3 장방형,

원형(凸)
위석형 1·3호에 출입구 시설 경질무문토기편, 타날문토기편 철촉, 용도 미상 철편 어망추, 숫돌, 석부, 석촉, 반월형석도, 방추차 1983

<표 2>중부지역의 집터 조사현황

 이들 집터 중에서 평면 형태는 원형·방형·말각방형·장방형 등이 있는데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장방형이 주류를 이룬다고 할 수 있다. 다만 명주 안인리·하남 미사동·중원 하천리유적의 경우는 呂자형 및 凸자형이 있어 주목된다.

 집터의 규모는 특수시설로 여겨지는 소형의 석촌동의 것을 제외해도 19.6㎡로부터 40.0㎡에 이르기까지 매우 다양하며, 둔내 1호 집터의 경우 154㎡나 된다. 움의 깊이는 0.3∼0.9m로서 약간 깊은 편이다.0720)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바닥에도 돌을 깔면서 주변에 돌이나 점토를 돌리는 것이 대부분이다. 그러나 서둔동 집터에서는 ㄱ자형의 터널형 화덕이 발견되었고, 미사리유적에서는 화덕에서 발전된 부뚜막 시설도 나타난다.

다) 남부지역

 낙동강유역에서 발견된 철기시대 집터유적으로는 경주 황성동, 김해 부원동·봉황대, 거창 대야리, 합천 저포리 A·C지구, 삼천포 늑도유적 등을 들 수 있으며 이들 유적에서 발견된 집터의 수는 60여 기이다. 전라 남북도지역에서 발굴된 철기시대의 집터는 남원 세전리, 광주 오룡동, 승주 낙수리·대곡리, 보성 죽산리, 해남 군곡리, 벌교 척룡리 유적 등 모두 160여 기에 이른다(<표 3>).


유적명

평면형태 내 부 시 설 출 토 유 물 조사

연도
화 덕 기 타 토기류 철기류 기 타
남원

세전리
23 장타원형, 말각방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편 관옥, 다면옥, 곡옥 1985
광주

오룡동
24 방형 없음   적갈색연질토기, 회색연질옹, 시루편   방추차 1993
승주

대곡리
100

여기
원형, 타원형, 장방형, 방형, 말각방형, 말각장방형 무시설형

타원형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도자, 철촉, 철편 석촉, 숫돌, 석검, 어망추, 방추차, 소옥 1986


1989
승주

낙수리
15 말각방형, 장방형 무시설형 도랑시설, 저장공, 단시설 타날문토기 철편 석촉, 숫돌, 방추차, 갈돌 1986


1987
보성

죽산리
4 원형, 말각방형, 타원형, 장방형 A-1호에 불탄 흔적 의 도랑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석촉, 방추차, 석부, 어망추, 환상석부, 검편 1989
해남

군곡리
2 원형 없음   경질무문토기 철도자 석촉, 어망추, 홈돌 1987


1988
경산

조영동
        파수부토기, 고배형토기 철기 어망추, 방추차삼각형석촉 1979
경주

황성동
20 말각방형, 원형, 타원형, 방형 무시설형   경질무문토기, 연질토기 철촉, 철겸, 철도자, 단조철부, 철착 돌끌, 숫돌 1990
김해

봉황대
20 타원형, 말각방형     타날문토기, 와질토기 철도자, 철재 숫돌, 골각기, 목제빗 1991
김해

부원동

A·C지구
6 원형,

타원형
타원형 A지구 1·2호사이에 저장공, C지구 1호 저장공, 구상유구 타날문토기   복골 1980
삼천포

늑도
11 장방형, 방형, 말각장방형 없음 1호에 저장공, 5호에 도랑, 12호에 斷面孤狀溝 경질무문토기 판상철부, 철도자, 철제낚싯바늘 어망추, 골촉, 골침, 첨두기, 작살, 석부 1985


1986
거창

대야리
5 타원형 U자형 16호에 원형구덩이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철촉 어망추, 숫돌 1986


1988
합천

저포리

A·C지구
4 원형, 타원형 무시설형 1·2지구 각 1호에 저장공 시설 경질무문토기, 타날문토기   숫돌, 어망추, 방추차, 구슬 1987

<표 3>남부지역 집터 조사현황

 이들의 평면 형태는 원형·타원형·방형·장방형·말각장방형 등 다양하지만 타원형과 말각장방형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집터의 규모는 10∼50㎡ 내외가 다수를 차지하며, 움의 깊이도 대체로 0.15∼0.6m 정도이다. 내부시설 중 화덕시설은 삼천포 늑도유적 등 일부를 제외한 대부분의 집터에서 1개씩 발견되고 있는데 무시설형이 많다.0721)

0719)林永珍,<움집의 分類와 變遷>(≪韓國考古學報≫17·18, 1985).
0720)林永珍, 위의 글.
0721)林永珍, 위의 글.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