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8권 고려 무신정권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1.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1. 무신란과 초기의 무신정권
          • 1) 무신란의 주도세력
          • 2) 이의방 정권
          • 3) 정중부 정권
          • 4) 경대승 정권
          • 5) 이의민 정권
        • 2. 최씨무신정권의 성립과 전개
          • 1) 최씨정권의 성립
          • 2) 최씨가의 권력세습
          • 3) 최씨정권의 붕괴
        • 3. 무신란과 최씨무신정권의 역사적 성격
          • 1) 무신란의 역사적 의의
          • 2) 최씨무신정권의 성격
        • 4. 무신정권의 붕괴와 그 역사적 성격
          • 1) 김준 정권
            • (1) 김준의 출세
            • (2) 김준의 집권
          • 2) 임연·임유무 정권
            • (1) 임연의 출세
            • (2) 임연·임유무의 집권
          • 3) 붕괴기 무신정권의 성격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1. 사병의 형성과 도방
          • 1) 사병의 형성
          • 2) 도방
        • 2. 중방과 교정도감
          • 1) 중방
          • 2) 교정 도감
        • 3. 진양부와 정방 및 서방
          • 1) 진양부
          • 2) 정방
          • 3) 서방
        • 4. 별초군의 조직
          • 1) 마별초
          • 2) 지방별초
          • 3) 삼별초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 국왕의 권위
          • 1) 중방정치와 국왕
          • 2) 국왕의 권위
          • 3) 국왕과 문반·민중
        • 2. 무신정권과 문신
          • 1) 무신란과 문신의 동향
            • (1) 은거문사
            • (2) 소외문인
            • (3) 등용문신
          • 2) 초기 무신정권과 문신의 정치활동
        • 3. 최씨정권과 문신
          • 1) 최씨정권의 문신정책
          • 2) 최씨정권하 문신의 역할과 정치적 지위
        • 4. 무신정권기 문신의 정치의식과 그 성향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정중부 정권

 정중부의 아들 鄭筠에 의한 이의방의 살해는 조위총의 난에 대한 제2차 토벌군의 출동 중에 이루어진 것이었다. 정균의 이러한 거사는 從軍僧들과의 결탁 아래 은밀히 행하여졌는데, 집권자 이의방의 피살이 토벌군 사이에 알려졌음에도 불구하고 토벌군이 커다란 동요를 일으키지 않았음은 한가닥 의 문을 불러 일으킨다. 그러나 당시 토벌군 지휘부의 편성을 살펴 본다면 이러한 의문은 풀릴 수 있는 것이 아닌가 한다. 즉 토벌군의 지휘부는 기탁성·진준·경진 등을 주축으로 편성되었던 것이다.

 기탁성·진준·경진은 모두 무신란 이전부터 고위직에 올라 있던 무인들로서 무신란 당시 온건한 태도를 취했던 인물들이다. 따라서 정균에 의한 이의방의 제거는 무신란 당시 온건한 태도를 취했던 고위 무신들의 합의에 의해 이루어졌던 것으로 이해된다. 그들은 제1차 출정군이 조위총을 토벌하지 못하고 대패한 데 대한 책임을 이의방에게 돌려 그를 살해했던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023)

 이의방이 제거된 후의 무신정권이 정중부를 비롯한, 무신란 당시 온건한 태도를 취했던 무인들의 손에 넘어간 것은 당연한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이는 이의방의 제거 며칠 후인 명종 4년 12월의 인사발령에 뚜렷이 나타난다.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정중부:문하시중 양 숙:참지정사 경 진:지문하성사 기탁성:지추밀원사 송유인:추밀원부사 이광정:추밀원부사·어사대부

 이들은 송유인 한 사람을 제외하면 모두 무신란 당시 온건한 태도를 취했던 인물들인 것이다. 그러나 송유인이 정중부의 사위가 되었음을 감안하면 정중부 정권은 그와 뜻을 같이 하는 무인들만으로 구성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정중부정권 아래서는 하급 무신들과 고위 무신들의 갈등이 심각했던 듯하다. 다음의 사료를 통해서 알 수 있는 일이다.

檢校 將軍 이하 散員 同正 이상의 무산관들이 동반의 권무관직을 빼앗을 것을 논의하였다. 중방이나 대간은 그들의 입을 두려워 하여 감히 무엇이라고 말하지 못하였다. 홍중방이 홀로 말하기를 ‘나라에서 관제를 정하고 직무를 분장시켜 온 이래로 오직 卿·監을 제외하고는 무신이 문관직을 겸한 경우가 없었다. 경인년 이후로 우리 무신들은 대간에 들어가고 또한 朝班에 늘어서는가 하면, 校尉·隊正에게도 僕頭를 쓰도록 허락했으며 서반의 散職이 외관에도 임명되었는데, 이는 진실로 선왕의 제도가 아닌 것이다. 만약 또 갑자기 권무관까지 빼앗는다면, 그 동반·서반을 정한 제도는 어찌한단 말인가. 나는 차라리 죽을지라도 이에 찬성할 수 없다’고 하니 논의가 드디어 그쳤다. 이에 서반의 산직관들이 길에 무리지어 모여서 높은 관리를 볼 때마다 호소하더니, 하루는 홍중방을 만나 길을 막고 욕하였다. 홍중방이 소매를 걷어 올리고 말을 달려 헤치고 나와 중방에 이르러 말하기를 ‘내가 오늘 거의 죽을 뻔 하였다. 아랫 사람이 윗 사람을 능멸함이 어찌 이렇게까지 되었는가’라고 하였다(≪高麗史≫권 100, 列傳 13, 洪仲方).

 이 기록은 정중부집권기인 명종 7년의 것이다. 하급 무신들의 동반 권무관직 임명요구에 대해 大將軍 洪仲方은 이의 부당함을 지적하였다. 이미 선왕의 제도와 어긋나는 현상들이 많이 나타났으므로 이것마저 허락할 수는 없다는 것이었다. 여기에서 말하는 선왕의 제도는 기존의 법제를 의미한다. 따라서 선왕의 제도에 어긋나는 현상들은 곧 무신란 이후의 변화를 가리키는 것으로 이해된다. 그렇다면 홍중방은 무신란 이후의 변화에 대해 회의적인 태도를 취했던 것이 아닌가 한다. 그런데 그가 하급 무신들의 요구가 부당하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무신란 이후 무인에 의한 문반직 兼帶가 지나쳤음을 강조했던 데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그는 변화 자체에 불만이 있었던 것이 아니라 변화의 폭이 큰 데에 불만이 있었던 것이다.

 하급 무신들의 요구를 정면으로 거부한 인물은 홍중방이었다. 그러나 그의 주장이 관철된 것을 보면, 상당수의 고위 무신들이 그의 의견에 동조했음을 알 수 있다. 사실 그들은 어느 정도 특권을 누릴 수 있는 위치에 올라 있었던 것이다. 따라서 급격한 변화를 반기지 않았음은 당연해 보인다. 급격한 변화는 그들의 지위를 위협하는 것으로 판단했을런지도 모른다. 그들과는 달리, 동반의 권무관직을 요구한 하급 무신들은 변화를 바라는 존재들이었다. 따라서 정중부집권기 고위 무인들과 하급 무인들의 갈등은 무신란 이후의 변화에 대해 그들이 인식을 달리한 데서 비롯되었다고 생각된다.

 하급 무신들이 변화를 적극적으로 요구했다면, 일반 군인들의 경우는 두말할 나위가 없었을 것이다. 이는 무신란이 일어나자 그들이「봉기」했다는 것으로 미루어 보아도 알 수 있는 일이다. 그들은 무신란을 일대 변혁의 계기로 삼았던 것이다. 정중부정권은 이러한 일반군인들의 반발을 감수해야만 했었다. 일반 군인들이 정중부정권의 타도를 주장하는 익명의 방을 붙였는가 하면, 정중부집권기 동안 옥사가 연이어 일어났다는 사실이 이를 반영한다. 사실 일반군인들의 정중부정권에 대한 불만은 당연한 것이었다고 생각된다. 정중부정권이 무신란 당시 온건한 입장을 취한 인물들로 구성되었음을 감안하면 그의 정권이 적극적으로 변화를 추구했을 까닭이 없기 때문이다.

 정중부정권은 하급 무신들과 일반 군인들의 반발에 강력하게 대처하지 못했다. 군인들의 정중부정권 타도 주장에 정중부의 아들 정균이 관직을 그만 둘 것을 청하고 며칠 동안 밖에 나오지 않았다는 점이나, 하급 무신들의 동반 권무관직 요구에 대간이나 중방이 그들을 두려워하여 감히 말하지 못했다는 것으로 알 수 있는 일이다. 정중부정권은 그들의 요구를 어느 정도 수용할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무신란을 성공으로 이끄는데 그들의 역할이 결정적이었음을 염두에 두면 이상할 것은 없다. 그들은 무신란에서의 그들의 역할이 있었기에 정중부정권도 성립할 수 있었다고 판단했을 것이다.

 정중부는 당시 26세에 불과했던 청년 장군 慶大升에 의해 제거되었다. 경대승의 정중부 제거에는 牽龍軍 장교 수 명과 그들이 거느린 견룡군, 그리고 死士 30여 인이 동원되었다고≪高麗史≫는 전하고 있다. 死士는 그 표현만으로 미루어, 죽음을 무릅쓴 결사대였다고 할 수 있다. 경대승은 이들 결사대로 야간에 요소를 장악하고 견룡군으로 하여금 정중부 일당을 살해하도록 하는 한편, 禁軍을 출동시켜서 정중부를 체포하였던 것이다. 그렇다고 이러한 사실이 경대승의 집권을 설명해 주는 것은 아니다. 그의 집권은 정중부 제거와는 또 다른 문제인 것이다.

023)安永根,<鄭仲夫政權과 宋有仁>(≪建大史學≫1, 1989), 7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