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2) 사상도고의 활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조선 후기 전국적인 규모로 유통경제가 발달하고 상업활동이 번창해짐에 따라 서울·평양·대구와 같은 대도시들은 행정도시로서의 성격을 유지하면서도 상업도시로서의 면모와 기능이 강하게 부각되어 갔다. 특히 서울은 최대의 소비도시로서 전국 각지의 생산물이 집하·거래되는 곳으로, 시전상인들이 자리잡고 있던 鐘樓 이외에 梨峴(배오개)·七牌·마포·용산 등지에 새로운 상품 교역처가 생겨나게 되었다.

 그렇지만 사상도고는 처음부터 사상으로서의 활동을 벌이려 했던 것은 아니었다. 이들 역시 어느 정도의 자본을 축적하게 되면 시전을 설립하고자 하였다.0869) 이는 무엇보다도 시전을 설립할 경우에는 상행위가 합법화되고 정부로부터 보호를 받을 수 있어 유리하였기 때문이다. 실제로 折草廛의 경우에서 보듯이 사상들이 정부와 교섭하여 시안에 편입, 시전이 된 예도 있었고,0870) 적지 않은 시전이 새롭게 생겨나기도 하였다. 일부 무뢰배들까지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고 시전의 설치에 가담할 정도였다.

 그러나 시전의 금난전권 행사로 인한 물품의 매점과 물가앙등 현상이 심화되고 이에 따라 소상인·소비자들이 막대한 피해를 입게 되자, 정부의 정책이 新廛 규제의 방향으로 바뀌게 되었다. 기존의 시전상인들도 신전의 증가가 자신들의 이익을 침해하는 것이기 때문에 여러모로 신전의 설립을 제지하였다.0871) 이처럼 신전의 설립이 규제되고 기존의 시전체계가 고정화되어 가자 시전화에 실패한 사상인들은 새로운 활로를 모색하지 않을 수 없었다. 이제 그들은 금난전권이 적용되는 서울 경내를 벗어나 상행위를 벌이든가, 아니면 시전상인과 대립하면서 상업적 투쟁을 벌여 나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이현과 칠패·용산·마포·서강 등 서울 곳곳에 사상들의 활동 거점이 생성되었고, 나아가 서울의 상업계의 구조가 변화되게 되었던 것이다.

 서울의 사상도고는 대부분 시전과 같이 자체 내의 조직을 가지고 있어서 정부로부터 공인을 받지 못하고 있었을 뿐 규모면에서는 시전과 다름이 없었다.0872) 경우에 따라서는 시전을 능가하는 자본력을 가지고 시전의 상권을 압박하기도 하였다. 사상도고는 서울에서도 시전상가가 있던 종로 부근, 즉 이현에 기지를 마련하고 이어 남대문 밖 칠패에도 거점을 확보하였다. 시전상인과 이현·칠패의 상인 간의 상권 경쟁이 그다지 치열하지 않았을 때에는 양자가 도매상과 소매상이라는 관계 속에서 나름대로 협조하고 있었다.0873) 시전상인들이 소매로 직접 처분하기가 어려운 경우 거래 물량의 일부를 이현과 칠패 상인에게 전매하였고, 이현·칠패의 상인들은 시전의 中都兒 역할을 담당하면서 시전에서 구입한 물건을 소매하기도 하였던 것이다.0874)

 그러나 사상인들의 활동이 활발해지고 이현과 칠패가 서울의 가장 큰 상업중심지의 하나로 발전해 나가면서 양자의 상권 경쟁은 피할 수 없는 것이 되었다. 18세기 전반기에 이미 칠패의 亂廛들이 서울로 들어오는 수백, 수천 바리(駄)의 어물을 매점하여 시내 각처에 판매하는 등 시전상인의 기득권을 위협할 정도였다.0875) 어물도매시장으로서의 칠패의 기능은 육의전의 어물전에 비해 거의 손색이 없을 정도였던 것이다. 또한 사상인들은 서울 근교의 소상품생산자·소상인들과 연결·결탁하여 농·수산물과 수공업제품을 매입, 소비자에게 직접 판매하거나 다른 지역에 전매함으로써 시전상인의 상업활동에 대해 침해를 가하였다. 자본 집적에 성공한 사상인들이 유통구조에서 시전상인을 배제하면서 도고상인으로 성장해가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하겠다.

 시전상인들에게 상권 침해를 가하고 있던 사람들은 물론 사상들만은 아니었다. 양반관료를 비롯한 권세가와 그들의 노복, 각 관아의 서리와 군병들까지 난전활동을 벌이면서 시전상인들의 상권을 침해하고 있었다. 그렇지만 시전인들에 대한 이와 같은 상권 침해의 선봉은 말할 것도 없이 사상들이었으며, 이들은 상공업의 자유화 추세를 이끌어 나가고 있었다.

 정부와 시전상인의 규제에도 불구하고 사상을 비롯한 난전활동은 그치지 않았으며, 앞서 본 바와 같이 이현과 칠패를 거점으로 한 사상들의 상업활동도 활발해져 갔다. 사상들은 금난전권이 적용되지 않는 서울 외곽지대에 상업 기지를 설치하고 서울 내의 사상들과 상업적으로 깊이 연결된 유기적 연계망을 형성하면서 시전상인의 상권을 제압해 나가기 시작하였다. 정부로서도 사상들의 활동을 더 이상 막기는 어렵게 되었고, 시전상인들의 금난전권의 무분별한 행사에 따른 피해도 컸다. 그 피해는 어느 누구보다도 都民들이 입고 있었다.

 결국 정부는 정조 15년(1791) 당시 영의정이었던 蔡濟恭의 건의에 따라 시전상인에 대한 지금까지의 일방적인 보호정책을 철회하고 사상인들에게 상업활동의 활로를 터주는 통공정책을 취하게 되었다.「辛亥通共」으로 불리우는 상업정책의 일대 전환으로 인하여, 30년 이내에 설치된 시전은 모두 철폐되었고, 금난전권도 六矣廛에 국한되게 되었다.

 통공 이후 사상인들은 더욱 활발한 상업활동을 벌여 나가게 되었다. 이들은 그동안 축적하였던 자본력을 활용하여 다소 고가라 하더라도 상품을 매집하여 창고에 보관하였다가 가격이 오르게 되면 출매하는 방식을 통하여 막대한 상업적 이윤을 획득하였다.0876) 더욱이 이들은 전국 각지에 형성된 유기적 연결망을 통하여 물량의 출하와 집산, 물가의 고저 등에 대한 신속한 정보를 확보함으로써 효율적인 상업활동을 펼치고 있었다. 또한 이들은 궁방이나 아문·양반관료들과도 연결·결탁하여 영업상의 장애가 될 수 있는 요인들도 효과적으로 제거·예방하고 있었다.

 이현과 칠패는 종루와 더불어 서울의 3大市로 불리워지고 있던 사상의 근거지로서,0877) 행상의 집합소이자 시민의 일상적 구매장이었다. 특히 이현은 시전이 있는 종로에 위치해 있어서 시전상인과의 상권 경쟁이 어떠한 양상으로 전개되는가를 나타내주는 지표 역할을 하던 곳이었다. 이현과 칠패에서 거래하는 물량은 시전의 그것에 비해 10배나 된다고 할 만큼 사상의 영업 규모는 시전의 그것을 능가할 정도가 되었다. 행상들은 모두 이현과 칠패의 사상에게서 물건을 구입하고 있었고, 시전은 소상인들에게 외면당하고 있었다.0878)

 이현·칠패의 사상들은 서울 외곽지대의 사상들과 상업적 연계망을 구축하고 상호 협조하면서 상행위를 벌이기도 하였다. 이들은 元山 등지에서 반입되는 건어물의 매점을 위해 樓院店의 도고상인들과 결탁하여 서울로 들어오는 동북지방의 상인들의 물품을 중도에서 매입하여 창고에 보관해 두었다가 가격이 오를 때에 판매함으로써, 최대한의 영리를 꾀하기도 하였다. 나아가 이들은 직접 생산지에 가서 물건을 매집·독점하여 가격을 조절하는 방법으로 이윤을 추구하기도 하였다. 19세기초 내·외어물전인들이, 이현·칠패의 사상들이 추동기에 원산까지 가거나 중도에서 상품을 매점하는 까닭에 자신들은 상품을 구하지 못해 폐업 상태에 이르고 있다고 호소하고 있는 것은,0879) 통공 이후 사상도고의 활동이 더욱 활발해졌을 뿐만 아니라 상품시장에서의 유통과정을 장악하고 시전인들에 대한 확고한 상업적 우위를 강화해 나가고 있었음을 말해주는 것이라 하겠다.

 이처럼 이현·칠패를 중심으로 형성·발전된 사상인들의 상업활동은, 물론 그들만의 역량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었지만, 신해통공이라는 상업정책상의 일대 전환을 가져오게 하였고, 사상도고로서의 위치도 더욱 굳건하게 해주었다. 도성안에서는 육의전의 금난전권이 유효한 것이어서 이들의 활동에 대한 제약이 완전히 제거된 것은 아니었지만, 자본과 조직면에서의 이들의 상업적 성장과 발전은 새로운 상인층의 주역으로서의 모습을 보여주는 데에 부족함이 없었다.0880)

0869) 吳美一,<상품경제의 발전과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전>(≪한국사≫9, 한길사, 1994), 188쪽.
0870)≪備邊司謄錄≫110책, 영조 18년 4월 10일.
0871) 崔完基, 앞의 책, 91쪽.
0872) 姜萬吉, 앞의 책, 176쪽.
0873) 崔完基, 앞의 책, 59쪽.
0874) 姜萬吉, 앞의 책, 175쪽.
0875)≪各廛記事≫地卷, 乾隆 11년(영조 22) 11월 일.
0876) 崔完基, 앞의 책, 100∼103쪽.
0877) 朴齊家,≪貞蕤集≫詩集 권 3, 成市全圖詩.
0878) 崔完基, 앞의 책, 61쪽.
0879)≪各廛記事≫人卷, 嘉慶 21년(순조 16) 9월 일.
0880) 사상이라 하여 순수한 자본력과 상업적 조직망에만 의지하여 상업활동을 벌였다고는 여겨지지 않는다. 일부이기는 하지만 사상 역시 영업상의 필요에 따라 궁가나 권세가·양반관료층과 결탁하고 있었으며, 그와 같은 일은 실제로도 적지 않이 있었다. 관상도고의 경우처럼 공식화된 특권은 아니었지만, 특권과 결부된 상업활동의 전개라는 면에서 볼 때 사상의 성격을 다른 각도에서 짚어 보아야 하지 않는가 라는 생각이 든다. 학계의 숙제이기도 하지만, 상인의 성격과 유형을 분류할 때 보다 다양한 기준을 설정하여 다각적으로 상인을 이해·파악하는 작업이 요망된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