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Ⅲ. 사회생활의 변동1. 인구의 이동과 변화2) 국외 이민(2) 미주지역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1. 제국주의의 경제 침탈
          • 1) 금융 지배
            • (1) 일본의 금융진출과 제일은행
            • (2) 폐제문란과 외화의 유통
            • (3) 화폐정리사업
          • 2) 차관 제공
            • (1) 차관, 무엇이 문제인가
            • (2) 1882∼1894년의 차관도입
            • (3) 1895∼1905년의 차관제공
            • (4) 도입 차관의 총액 추정
            • (5) 차관과 민족운동
          • 3) 철도 부설
            • (1) 열강의 각축과 철도 부설권의 향방
            • (2) 일본의 침략과 철도 부설
            • (3) 한국통감부의 철도 지배
          • 4) 해운업 침투
            • (1) 일본의 해운정책과 해운 독점(1876∼1882)
            • (2) 열강의 해운업 진출과 대외항로(1883∼1894)
            • (3) 일본해운업과 러시아해운업의 침투확대(1895∼1904)
            • (4) 외국해운업의 불개항장 침투
            • (6) 일본의 해운업 독점(1905∼1910)
          • 5) 이권 탈취
            • (1) 광산이권과 광업법
            • (2) 전기·전선 이권
            • (3) 삼림 벌채권
            • (4) 어업권
        • 2. 일제의 토지 침탈
          • 1) 토지관계 조약과 정부의 대응
            • (1) 토지관계 조약과 일제의 식민정책
            • (2) 정부의 법적·제도적 대응
          • 2) 일제의 토지 확보와 토지법 정비
            • (1) 토지 확보 방법과 성격
            • (2) 일제의 토지법 정비와 농장 건설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1. 무역구조의 변동과 시장권의 재편성
          • 1) 무역구조의 변동
            • (1) 청일전쟁 이전의 무역구조
            • (2) 무역구조의 변동을 초래한 요인으로서 청일·러일전쟁과 일본의 산업혁명
            • (3) 청일전쟁 이후 무역구조의 변동
          • 2) 시장권의 재편성
        • 2. 상회사 설립과 상권수호운동
          • 1) 상회사 설립
            • (1) 회사정책
            • (2) 상회사의 설립
            • (3) 상회사의 설립주체
          • 2) 상권수호운동
            • (1) 외국상인의 침투와 상권문제
            • (2) 광무년간의 상권회복운동
            • (3) 국권회복운동기의 식산흥업운동
        • 3. 광공업과 면방직업의 전개
          • 1) 광공업의 전개
          • 2) 면방직업의 전개
        • 4. 교통·운수·통신
          • 1) 1894∼95년 교통·운수·통신제도의 개혁
          • 2) 1896∼1904년 교통·운수·통신기관의 전개
          • 3) 1905∼10년 교통·운수·통신기관의 식민지적 재편
        • 5. 상업적 농업의 재편과 지주제의 성장
          • 1) 한말 지주적 토지소유의 강화와 상업적 농업의 재편
            • (1) 한말의 양전·지계사업과 역둔토 정리사업
            • (2) 상업적 농업의 종속적 재편과 일본자본의 토지약탈
          • 2) 지주제의 재편과 소작조건의 변동
            • (1) 토지겸병의 확대와 식민지 지주제로의 재편
            • (2) 소작권의 약화와 지대수취의 강화
          • 3) 농민층의 항조운동과 반제 반봉건 투쟁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1. 인구의 이동과 변화
          • 1) 인구의 변화와 도시의 발전
            • (1) 대한제국시기의 호구수
            • (2)≪한국호구표≫와 지방도시 인구
            • (3) 도시인구율과 인구밀도
            • (4) 도시의 발전과 도시인구
          • 2) 국외 이민
            • (1) 만주·노령지역
            • (2) 미주지역
        • 2. 신분제도의 변화
          • 1) 양반 신분제도의 변화
            • (1) 관료집단의 변화와 양반신분
            • (2) 신분직업의 변화
            • (3) 광무호적과 양반신분의 존재
            • (4) 양반신분의 존속과 해체의 조건
          • 2) 중간신분층의 부상
            • (1) 갑오개혁과 중간신분층의 지위 변화
            • (2) 중인
            • (3) 서얼
            • (4) 경아전과 향리
          • 3) 상민·천민층의 성장
            • (1) 1894년의 신분제 폐지 정책과 평민
            • (2) 신분제 폐지 이후의 평민신분
            • (3) 호적에 나타난 평민의 변화
          • 4) 가족관계의 변화
            • (1) 갑오개혁이전의 가족관계 변화
            • (2) 갑오개혁기의 가족관계의 변화
            • (3) 갑오개혁 이후의 가족관계 변화
          • 5) 여성의 사회진출
            • (1)<여권통문>에 나타난 여성 사회진출관
            • (2) 교육단체운동과 교육분야로의 진출
            • (3) 의료계와 종교계로의 진출
            • (4) 새로운 직종업으로의 진출
          • 6) 민중운동의 전개
            • (1) 농민운동
            • (2) 초기 노동운동
            • (3) 민중의 조직운동
        • 3. 형법·민법체계의 변화
          • 1) 법제의 근대화 과정
            • (1) 시대구분
          • 2) 입법의 형식
          • 3) 민법의 제정
            • (1) 민법 일반
            • (2) 토지관계
            • (3) 가족관계
          • 4) 형법의 제정
          • 5) 형법·민법과 법생활
        • 4. 지방자치제의 추이
          • 1) 지방자치를 규정하는 세 가지 힘
          • 2) 갑오개혁기의 지방자치정책과 지방자치
          • 3) 광무개혁기의 지방자치정책과 지방자치
          • 4) 통감부시기의 지방자치정책과 지방자치
        • 5. 의·식·주생활의 변화
          • 1) 의복
            • (1) 임금의 정복(면복)
            • (2) 관리의 복장
            • (3) 대한 제국시대의 예복
            • (4) 일반 복식
            • (5) 여복
          • 2) 음식
            • (1) 식생활 환경의 변화
            • (2) 개화기의 식생활
            • (3) 외국 음식문화의 전래
          • 3) 주거
            • (1) 갑오개혁과 주거문화의 변화
            • (2) 개항과 서구 건축양식의 유입
            • (3) 외래건축문화의 영향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한인사회의 형성과 발전

 1903∼1905년 사이에 하와이제도에 도착한 7,000여 명의 한인들은 오하우(Ohau)·하와이(Hawaii)·마우이(Maui)·카우아이(Kauai)의 네 섬에 산재한 30여 곳의 사탕수수 농장에 많게는 수백 명에서 적게는 수십 명 단위로 고용되어 집단생활에 들어가게 되었다. 그들은 하루 10시간의 중노동에 품삯은 남자가 65센트, 여자와 아이들은 50센트 정도를 받았다. 성인 남자의 경우 한달 평균 25일간 쉬지 않고 일을 하게 되면 16달러를 받을 수 있었다. 1인당 식비가 6∼7달러 정도이고 숙소는 농장에서 무상으로 제공되었기 때문에 저축할 여유는 있었다고 보여진다. 따라서 착실히 돈을 모으게 되면, 힘든 농장생활을 청산하고 도시로 진출하거나 미국 본토로 이주할 수도 있었다. 실제로 하와이에서 한인들의 도시진출은 다른 어떤 민족들보다도 그 속도가 빠르며 또 그 비율이 높았다. 이러한 특징은 한인 이민의 대부분이 도시출신으로서 다양한 직업을 가졌던 사실과 연결시켜 해석되고 있다.589)

 미주의 통일적 교민단체인 大韓人國民會가 1910년에 실시한 인구조사에 따르면, 그 동안에 귀국한 사람이 983명(남자 964명, 여자 19명)이고 미국 본토로 이주한 사람은 2,011명(남자 1,999명, 여자 12명)이며 사망자가 45명이었다. 하와이에 그대로 거주하는 사람은 4,187명이었으며 새로 107명의 아이들이 출생했다. 출산율이 저조한 것은 독신자가 많았기 때문이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이 앞서 지적한 ‘사진결혼’인데, 그 결과 한인사회가 사회적 경제적으로 안정되면서 활기를 띨 수 있었다.

 1925년 하와이 호놀루루 주재 일본총영사관의 조사에 따르면, 한인들 가운데 농장노동자의 숫자는 매년 감소하고 있었다. 1905년 4,946명이었던 농장노동자는 1910년에 1,732명으로 대폭 줄어들었고, 1924년에는 997명까지 떨어졌다. 이러한 가운데 한인들의 생활수준은 전반적으로 향상되어 나갔다. 농장노동자 중 일부는 자영농 또는 차지농으로서 독립하거나 농장관리인이 되었으며, 도시로 진출한 사람들은 소규모 자영업을 하거나 고용인이 되었다. 자영업의 경우에는 세탁업·제봉업·가구업·제화업·이발업·여관업 등이었으며, 고용인은 상업·수공업·광업·운수통신업·공공서비스업 등 사회의 거의 모든 분야에 걸쳐 있었다. 또한 소수이지만 종교인·교육가·관리·의사 등의 전문직종에 종사하는 사람도 생겨났다.590)

 한편, 1905년 멕시코의 동남부 유까딴(Yucatan)州의 메리다(Merida)에 도착한 1,000여 명의 한인들은 22∼24개 곳의 농장에 많게는 30명 이상, 적게는 4∼5명씩 분산·수용되었다. 더위가 혹심해 온도가 화씨 90∼100도 이상으로 오르내리는 곳에서 하는 주된 노동은 伐木 운반작업과 大麻 어저귀 밭에서 가시를 제거하고 뿌리를 자르는 일이었다. 식량은 최소한도의 배급에 그쳤으며 밤에는 토굴과 같은 곳에서 잠을 자야만 했다. 이처럼 열악한 환경에서 질병에 걸리면 치료도 받지 못하고 방치되었다. 그들의 참혹한 형상은 노예가 아니면 개와 말에 비견될 정도였다.591)

 만 4년의 계약기간이 끝난 다음에야 그들은 비로소 자유민이 될 수 있었지만 그 동안 농장에 갇혀 지냈기 때문에 뚜렷한 생활방도를 찾기가 어려웠다. 이러한 소식에 접한 대한인국민회는 특파원을 파견하여 교민들의 실정을 조사하고 구제사업을 벌이는 한편 그들을 미국으로 이주시키려는 계획을 세우고 미국정부와 교섭했지만 성사되지 않았다. 그 후 농장과 도시를 전전하면서 어렵게 생활하던 교민들 가운데 일부(288명)가 1921년에 쿠바로 이주했다.592)

 하와이에서 미국 본토로, 그리고 멕시코에서 쿠바로 점차 그 생활무대를 넓혀나갔던 미주한인의 이민 제1세대는 환경과 문화가 전혀 다른 곳에서 오직 노동만으로 어렵고 힘든 삶을 개척해 나갔다. 그런 가운데서도 그들은 한인교회와 학교를 세우고 또 자치단체를 만들어 한인사회를 형성·발전시켜 나갔다.

 특히 초기 이민사회에서는 “한인이 사는 곳에는 항상 교회가 있었다”라고 할 정도로 교회가 큰 비중을 차지했다. 그것은 신앙공동체이기 이전에 소수민족으로서의 소외감과 고국에의 향수를 달래면서 서로 위안을 얻고 또 새로운 삶의 의지를 다지는 만남의 장소였던 것이다. 이민 10년만에 하와이 각 지방에는 39곳의 교회가 설립되고 전체 한인의 절반이 넘는 2,800명의 기독교인이 모여들었다. 초기에 이민이 적고 또 넓은 지역에 산재해 있던 미국 본토에서도 한인교회가 7곳에 교인이 452명이었다.593)

 교회는 곧 학교이기도 했다. 주일학교와 ‘국어학교’가 주로 교회안에 마련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는 교육을 받지 못했던 이민 제1세대들이 국어뿐만 아니라 영어를 배우면서 국내 소식을 듣고 현지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정보를 얻었다. 그리고 미국에서 출생한 아이들은 이곳에서 한국의 언어와 문화 및 역사를 배움으로써 민족적 정체성을 나름대로 느끼고 확인할 수 있었다. 물론 그들은 공립학교에도 다녔다. 다른 소수민족에 비해 한인 아동들의 취학율은 무척 높았던 것으로 나타났다. 초기 한인들은 교육을 통해서만 자신들의 후손이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향상시켜 나갈 수 있다는 점을 확실히 깨닫고 있었던 것이다.594)

 자치단체 역시 이주 초기부터 생겨났다. 하와이의 각 농장에서 집단생활에 들어갔던 한인들은 ‘洞會’를 조직하여 서로간의 친목을 다지면서 상호부조와 권익신장을 도모했다. 그리고 1903년 8월에 벌써 민족운동의 성격을 띤 新民會가 호놀루루에서 결성되기도 했다. 이 단체는 일제의 침략으로부터 한국의 국권을 보호한다는 목적을 내세우고 강령으로서 동족단결, 민지계발, 국정쇄신을 제시했다. 미국 본토에서는 가장 먼저 한인사회가 형성되기 시작했던 샌프란시스코에서 桑港친목회가 조직되었다. 이 단체는 共立協會로 확대 발전하면서 미주 각처 20여 개의 한인단체들을 통합하는 구심점이 되었다. 이리하여 한국의 주권이 상실되기 직전인 1910년 5월 10일에 미주한인사회의 통일적 지도기관이자 ‘무형정부’임을 자처했던 대한인국민회가 공식 출범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실제로 대한인국민회는 1910년대 중반에 미주뿐만 아니라 시베리아와 만주·중국 본토에까지 그 지부 조직을 확대해 나가면서 국외한인사회를 통합하고 국권을 회복하려는 원대한 계획과 포부를 가졌었다. 이러한 노력들이 제1차 세계대전이 종결된 후 민족자결주의에 기초한 ‘세계개조’의 움직임과 맞물리면서 3·1운동을 일으키는 도화선이 되었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수립으로 그 결실을 맺게 되었다고 할 수 있다.595)

 우리 나라 최초의 공식적인 노동이민에 기초한 미주한인사회의 형성과 발전은, 비록 그 규모는 적었다 할지라도, 새로운 서구세계와의 만남이자 진취적인 개척정신의 발현 과정이었다. 아울러 일제에 의한 국권 침탈과 상실이라는 암울한 시대에 국외에 또 하나의 민족운동의 근거지를 마련하고 공화제 정치이념에 바탕을 둔 신국가건설의 원동력이 되었다는 점에서 그 역사적 의의를 높이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596)

<高珽烋>

589)Wayne Patterson, 앞의 글, 82∼87쪽.

Sun Bin Yim, “The Social Structure of Korean Communities in California, 1903∼1920”, Labor Immigration under Capitalism:Asian Workers and Communities(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84), pp. 515∼547.
590)Bernice B. H. Kim, 앞의 글, 158∼161쪽.

吳世昌,<韓人의 美洲移民과 抗日運動>(≪民族文化論叢≫6, 영남대, 1984), 132∼134쪽.
591)尹炳奭, 앞의 글, 19∼25쪽. 보다 상세한 내용은 李英淑 編,≪한국∼멕시코 移民 80년사:유까딴의 첫 코리언≫(인문당, 1988) 참조.
592)김원용, 앞의 책, 12∼27쪽.
593)柳東植,<在美韓人의 定着過程에서의 宗敎의 役割―하와이의 韓人社會와 基督敎를 中心으로>(≪연세논총≫28, 연세대 대학원, 1988), 2∼6쪽.
594)吳世昌, 앞의 글, 146∼147쪽.
595)吳世昌, 위의 글, 134∼141쪽.

尹炳奭, 앞의 글, 29∼71쪽.
596)방선주,<미주지역에서 한국독립운동의 특성>(≪한국독립운동의 이해와 평가≫, 독립기념관 한국독립운동사연구소, 1995), 181∼187쪽.

민병용,<미주에서의 독립운동사 연구>( 같은 책), 482∼484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