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Ⅰ. 근대 교육운동1. 근대 교육의 성립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3) 체육단체 결성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조선사회가 근대 서구의 신학문과 신교육을 수용하고 한국 근대 교육이 성립, 발전되는 과정에는 천주교와 기독교, 선교사들의 활동과 공헌이 또한 지대하였다.

 조선에 제일 먼저 입국한 서양선교사들은 천주교 신부들이었다. 조선에 입국한 천주교 신부들은 한국인 교역자를 양성하기 위하여 한국인 신도들을 마카오 등지에 유학시키거나 국내에 신학교를 비밀리에 설립하고 라틴어와 신학을 교수하기도 하였다.020) 천주교는 조선왕조의 척사정책에 의해 심한 탄압을 받으며, 비밀리에 성직자를 양성하기 위한 교육을 추진했을 뿐만 아니라 교회를 중심으로 성서를 읽히기 위해 신도들에게 글을 가르침으로써 천대받고 있던 민중을 일깨우고 있었다.021)

 이들 교회를 중심으로 한 교육활동은 조선의 척사정책이 이완되기 시작한 1890년대에 점차 학교교육체계로 이행되어 갔다.022)

 천주교가 개항 이전부터 선교자체에 역점을 두고 조선사회에 침투하여 비밀리에 敎役者 양성과 신도교육을 도모했던 것과는 달리 개신교는 1880년대 중반 선교활동에 앞서 교육과 의료활동을 내세워 선교기반을 구축하여 갔다. 개신교 선교사들의 조선에서의 활동은 1882년의 조미수호조약체결과 보빙사 민영익의 1883년 미국방문을 계기로 시작되었다. 민영익을 만났던 가우쳐(John. F. Goucher)의 권고에 따라 일본에서 선교하고 있던 감리교 선교사 매클레이(R. S. Maclay)는 1884년 여름 조선에 입국하여 김옥균의 도움으로 고종으로부터 교육과 의료사업의 윤허를 받아내는데 성공하였다. 매클레이의 보고가 선교본부에 전달되자 이후 미국 북장로교 선교사 알렌(H. N. Allen), 언더우드(H. G. Underwood), 미국 북감리교 선교사 아펜젤러(H. G. Appenzeller), 스크랜턴(M. F. Scranton)부인 등이 선교활동을 위하여 조선에 입국하였다. 이들은 조선정부가 척사정책을 취하여 직접적인 기독교의 선교활동이 어렵다는 것을 알고 의료활동과 교육사업으로 선교사업을 시작하였다.

 알렌은 미국공사관 의관의 직책으로 조선에 체류하는 가운데 갑신정변에서 부상당한 민영익을 치료함으로써 신임을 얻어낸 뒤 1885년 4월 광혜원을 설립하고 의료활동을 전개하다가 1886년 3월에 이르러 16명의 학생을 뽑아 의학실습교육을 실시하였다. 아펜젤러는 1885년 여름부터 두 명의 학생에게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하여 1886년 6월 고종의 도움으로 培材學堂을 설립하는데 성공하였다. 언더우드는 1885년 4월 5일에 입국하여 광혜원에서 화학과 물리학을 가르치는 한편 집으로 찾아오는 소년에게 영어를 가르쳤고, 1886년 5월 고아원을 세워 교육사업을 병행하였다(→경신학교). 한편 1885년 6월 입국한 스크랜턴 부인은 1886년 5월 한 부인에게 영어를 가르치기 시작한 것을 계기로 여자교육기관인 梨花學堂을 창설하였다. 이들 선교계 학교의 등장은 조선의 개화정책과 미국 기독교계의 선교정책의 화합물이었다. 선교사들의 활동에 대한 조선인들은 그 정치적 입장에 따라 대응을 달리하였다. 변법개화파였던 김옥균·박영효 등은 기독교까지도 포함하는 모든 서구의 신문물을 수용함으로써 국민을 일깨워 부강한 근대국가를 수립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이들은 개신교 선교사들이 조선에 입국하여 교육과 의료사업을 전개하고 기독교를 선교하려는데 대하여 적극적으로 환영하고 협력하였다023)

 그러나 이들은 甲申政變으로 실각하였고 선교사들의 조선내 활동에 크게 기여할 수는 없었다. 선교사들은 보다 개방적인 변법개화파들이 실각하고 기독교의 선교에 대하여는 거부반응을 보이는 동도서기주의적·양무론적 개화파들이 정부를 주도하는 가운데 조선에 입국하였다. 따라서 선교사들은 초기 2, 3년 동안 선교활동을 삼간 채 의료활동과 교육만을 내세워 활동을 개시하였다.

 선교사들의 교육활동은 고종과 민비의 적극적인 배려로 정착되었다. 고종과 민비는 선교사들이 소수의 학생들을 상대로 교육을 시작하자 교명을 지어주고 하사금을 주어 격려하였다. 그것은 서구문물을 하루 빨리 수용하여 부강한 국가를 이룩하고자 하는 의욕의 표출이었다. 서구의 새 문물을 수용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영어를 아는 것이 급선무라고 생각되고 있었으므로 자연히 영어를 배우고자 하는 자들이 이들 선교사들을 찾게 되었고 선교사들은 이들을 상대로 교육을 시작하였다. 어떻게든지 교육사업을 통해 조선에 활동기반을 구축하려고 했던 선교사들은 기독교의 박애정신과 평등사상으로 신분과 문지에 관계없이 학생들을 맞이하였다. 그리하여 배재학당에는 자연히 신분이나 문지가 미약하여 육영공원 등에 입학할 수 없었던 사람들이 찾아들었다고 생각된다. 배재학당과 더불어 여자교육기관인 이화학당, 불행한 처지의 고아와 소년들을 상대로 교육을 시작한 고아원학교(뒤의 경신학교)는 교육을 통해 신분평등과 남녀평등 사상을 전파하고, 민중의 신교육에 대한 열망과 평등의식, 민권의식을 싹트게 하는 기지가 되었다.024)

 그러나 선교사들의 교육활동이 순탄하게 이루진 것만은 아니었다. 조선내의 수구세력은 기독교사상의 유입을 염려하였기 때문에 미국 선교사들의 고아원과 학교운영을 방해하였다.025) 또한 청나라 역시 미국세력의 진출을 견제하고자 이를 부추김으로써 한때 미국선교사들의 교육활동은 위기에 처하였다.026) 또한 조선정부의 척사정책과 민간인의 기독교에 대한 오해가 상존하고 있는 상태에서 선교사들이 은연중 선교활동을 함으로써 反宣敎師 감정을 자극하기도 하였다.

 동도서기론적 입장에서 서양의 ‘器’만을 수용하려고 했던 조선정부는 선교사들의 지방에 대한 선교활동을 파악하고 1888년 4월 미국 공사에게 정부가 승인한 자 이외의 학당설립을 금하도록 요청하였다.027) 이 요청을 받은 딘스모어(Dinsmore)공사는 평안도지방을 순회 전도 중이던 언더우드를 소환하여 이러한 금령이 내려진 원인은 “당신들의 경거망동한 순회전도가 그 원인이라”고 지적하고 “차후 이러한 사태가 재현될 경우 기독교 선교가 아주 불가능해질지도 모른다”고 경고하였다.028) 이에 선교사들은 동학농민전쟁과 청일전쟁이 일어나 조선사회가 동요를 일으킴으로써 선교기회가 확장되어 간 1894년경까지 선교활동을 자제하면서 기왕에 설립한 광혜원·배재학당·이화학당·경신학교를 중심으로 의료와 교육활동에 보다 많은 노력을 기울이게 되었다. 결국 이들 개신교 선교사들의 교육활동은 1890년대 이후 한국근대 교육의 성립과 발전에 중요한 기여를 하게 되었다.

020)샤를르 달레 原著, 安應烈·崔奭祐 譯註(≪韓國天主敎會史≫中, 분도출판사, 1980), 269·341·384쪽.
021)李忠浩,<舊韓末 天主敎會의 敎育活動>(≪歷史敎育論集≫4, 1983), 63쪽.
022)천주교계통의 초등학교가 1893년에 京畿道 華城郡 峰潭面 旺林里에, 1895년에는 江原道 橫城郡 書院面 六里에 세워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韓國天主敎中央協議會,≪韓國天主敎年鑑≫, 1956, 233∼249쪽).
023)孫仁銖, 앞의 글.
024)培材學堂,≪培材八十年史≫(1965).

梨花女子高等學校,≪梨花九十年史≫(1975).

경신중·고등학교,≪경신사≫(1991).
025)The Foreign Missionary, Vol. 451, No. 5, p 224(1886. 10).
026)The Korean Repository, Vol. III. No. 1, 1896, 1, p. 6.
027)≪舊韓國外交文書≫10권, 美案 1, 耶蘇敎傳道禁止의 件(高麗大 亞細亞問題硏究所), 353쪽.
028)L. H. Underwood, Underwood of Korea, New York Fleming H. Revell, 1918, p. 70.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