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Ⅲ. 고대 사회의 발전2. 고대의 정치적 발전

(1) 중앙 집권화의 진전

고구려의 발전

삼국 중에서 가장 먼저 발전하였던 고구려는, 2세기 후반에 이르러 체제의 중앙 집권화와 왕권의 강화에 새로운 진전을 가져왔다. 종래 부족적 전통의 5부가 행정적인 5부로 바뀌고, 왕위 계승은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바뀌었다.

3세기 중반에 위가 고구려와의 협공으로, 만주 일대에서 독자적인 세력을 키워 온 공손씨를 멸망시키자, 고구려는 중국 세력과 정면으로 대결하게 되었다. 그러한 과정에서 위의 침입을 받기도 하였지만, 4세기 초에 고구려는 낙랑군을 쳐서 중국 세력을 우리 나라에서 몰아 내는 데 성공하였다(313). 그러나 그 후 북으로부터 전연, 남으로부터 백제의 침략을 받아 국가적인 위기를 겪기도 하였다.

고구려가 위기를 겪게 된 것은, 부족별로 흩어져 있던 힘을 조직적으로 통솔하지 못한 데에 그 원인이 있었다.

이러한 상황을 극복하고 국가 체제를 크게 개혁하면서 새로운 발전의 토대를 마련한 것은 소수림왕 때의 일이었다. 즉, 불교의 수용, 태학의 설립, 그리고 율령의 반포 등은 바로 지방에 산재한 부족 세력을 효율적으로 통제하면서, 중앙 집권 국가로의 체제를 강화하려는 것이었다.

소수림왕 때의 체제 개혁을 바탕으로 광개토 대왕 때에는 국력을 밖으로 팽창시켜, 그 시호가 의미하는 것처럼 넓은 영토를 확보하였다. 요동 방면을 포함한 만주 대부분의 지역이 고구려의 판도가 되었으며, 남쪽으로는 백제를 압박하고, 신라를 도와 남해안 일부 지역에 침입한 왜군을 격퇴시키기도 하였다. 당시의 활발한 정복 사업에 대해서는 국내성에 세워진 광개토 대왕릉비에 그 내용이 기록되어 있다.

광개토 대왕릉 비문(탑본)   

그 후, 장수왕 때에는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여 고구려 발전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하였다. 고구려의 평양 천도는, 안으로는 왕권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고, 밖으로는 백제와 신라를 압박하는 요인이 되었을 뿐만 아니라, 서쪽 해안으로 적극 진출하는 계기가 되었다. 이 무렵 고구려는 전성기를 맞았는데, 북연 왕이 의탁해 오자 장수왕은 한때 북중국 지역의 지배자였던 북연 왕을 영토 내에 머무르게 하고 그를 제후로 대하기도 하였다.

고구려의 전성(5세기 장수왕 때)   

백제의 발전

백제가 괄목할 만한 발전을 이룩하게 된 것은 4세기 후반 근초고왕 때의 일이었다. 이 때, 백제는 영토를 크게 확장하여 마한의 남은 영역을 정복하여 전라도 남해안에 이르렀으며, 북으로는 고구려의 평양성까지 공격하였다. 동시에, 낙동강 유역의 가야 여러 나라에 대해서도 지배권을 행사하였다. 그리하여 백제는 오늘의 경기, 충청, 전라도와 낙동강 중류 지역, 강원, 황해도의 일부를 포함하는 넓은 영토를 확보하였다. 또, 백제는 수군을 증강시켜 중국의 요서 지방으로 진출하였고, 이어서 산둥 지방과 일본의 규슈 지방에까지 진출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벌였다.

백제의 발전(4세기)   

한편, 백제는 이미 고이왕 때에 국가 체제를 정비하여 고구려나 신라보다 세련된 제도를 마련하였다. 그러나 그것은 연맹 왕국 체제를 공고히 하는 제도 정비였고,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국가 체제는 근초고왕 때를 전후하여 정비되었다. 침류왕 때에는 불교가 공인되었는데, 이는 중앙 집권 국가의 성립과 연관된 것이다.

전성기의 백제는 한강 유역을 지배하였지만, 그 지역에 대한 방어를 위하여 국력을 많이 소모하고 있었다.

5세기 후반, 백제는 고구려의 남진 정책에 큰 타격을 받아 그 중심 지역인 한강 유역을 빼앗기고 말았다. 이로 인하여 백제는 도읍을 한성에서 금강 유역의 웅진으로 옮겼다(475). 웅진 천도 이후 백제는 왕권이 약화되고 지배 세력이 교체되면서, 국력의 쇠퇴와 더불어 정치적 불안에 시달리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가 안정되고 국력이 다시 회복된 것은 동성왕에서 무령왕에 이르는 때였다. 이 때에 지방에 22담로를 설치하고 여기에 왕자와 왕족을 봉하여 지방에 대한 통제를 강화하였다.

한편, 웅진은 고구려의 공격을 피하기 위한 일시적 수도였으므로, 백제가 새로운 발전의 터전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보다 넓은 곳에 새 수도를 건설할 필요가 있었다.

그리하여 다음의 성왕은 사비로 천도하고 국호를 남부여로 개칭하여 백제의 중흥을 도모하게 되었다. 이 때의 백제는 중앙 관서 및 지방 제도를 강화하여 새로운 국가 발전을 도모하였으며, 중국의 남조와 활발한 교류 관계를 유지하였다. 그리고 겸익과 같은 승려를 등용하여 불교의 진흥을 꾀함으로써, 국가의 정신적 토대를 굳게 하였다.

신라의 발전

신라가 중앙 집권 국가로 비약적인 발전을 시작한 것은 6세기 초부터였다. 지증왕 때에 정치 제도는 더욱 정비되어 국호를 사로국에서 신라로, 왕호를 마립간에서 왕으로 고쳤다. ‘신라’라는 국호는, 왕의 업적이 날로 새로워져서 사방을 망라한다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이것은 왕실이 지방의 지배 세력을 확실하게 장악하여 갔음을 알려 준다.

이 시기에 신라는 수도의 행정 구역을 정리하고, 이어 지방의 주, 군을 정비하였다. 아울러, 주에 군주를 파견하여 다스리게 함으로써 지방 제도를 군사 제도와 병행하여 정비하였으며, 그 결과 법흥왕 초기에 중앙 부서로서 병부가 설치되었다. 곧이어 율령이 반포되어 17관등 및 백관의 공복이 정해졌을 뿐 아니라, 골품 제도가 정비되어 중앙 집권 국가 체제를 완비하여 갔다.

한편, 이 때에 귀족의 이익을 대변하는 상대등이 설치된 것은, 신라가 왕권 중심의 귀족 국가 체제를 갖추어 간 것을 의미하는 것이다. 또, 법흥왕은 건원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함으로써, 신라가 중국과 대등한 국가임을 과시하였다.

신라의 발전은 영토의 확장과 더불어 이룩되었다. 법흥왕 이후 진흥왕 때에는 신라의 대외적 발전이 더욱 두드러졌다. 울진의 봉평 신라비를 비롯하여 단양의 적성비와 북한산, 창녕, 마운령, 황초령의 여러 순수비들은 모두 6세기의 신라 발전과 관련된 기념물이다.

신라의 영토 확장(6세기 진흥왕 때)   
단양 적성비(충북)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