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사회상

Home
English
검색
  • 회유의 정치
  • 개발과 수탈
  • 관공서와 신사
  • 특별주제
산미 증식 계획
이전
다음

조선 총독부는 1920년부터 경지 정리, 수리 시설 확충 등을 통하여 미곡 생산량을 증대시키려는 산미 증식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는 토지 조사 사업이 완료되어 내적 조건이 완료된 상황에서, 조선을 일본의 식량 공급 기지로 만들려는 것이었다. 1910년대 말 일본은 중화학 공업화와 도시화가 진행됨에 따라 쌀 생산이 정체되었고 1918년에는 '쌀 소동'까지 발생하는 지경에 이르자, 일본 정부는 식민지 중에서도 특히 조선에서의 미곡 증산을 통해 국내의 쌀 부족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였다. 한반도 최고의 곡창 지대인 전북 호남 평야에서도 다양한 수리 시설들이 축조되었다. 특히 익옥 수리 조합은 거대한 대아 저수지를 축조하였고, 그 준공식에는 총독부 당국자들까지 참석하여 대성황을 이루었다. 사진은 사이토 총독이 옥구 군수 김정기(金正基)에게 보낸 편지인데, 그가 준 쌀을 도쿄(東京)에 가져가 시식했더니 평가가 좋았다는 내용이다. 일본으로 이출해야 할 이 지역 쌀의 상품 가치에 대하여 조선 총독부 당국자도 관심을 기울였음을 보여 주는 사례라 하겠다.

더보기
닫기
대아 저수지 공사
설명 보기
설명 닫기

1919년 만경강 중·하류에 익옥 수리 조합이라는 몽리 면적 9,640정보, 조합원 2천여 명을 갖는 거대 수리 조합이 설립되었다. 이 수리 조합은 임익 남부 수리 조합과 임옥 수리 조합을 합병한 것이었는데, 둘 다 구역 내에 수원이 없다는 태생적 한계를 지니고 있었다. 게다가 상류 지역이 개간되면서 유입되는 물이 해마다 감소했다. 이에 '조선의 수리왕'으로 불리던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의 구상에 따라 수리 조합을 합병하고, 고산천(高山川) 상류에 초대형 댐을 건설하여 수원을 확보하고자 했던 것이다. ’조선 최대의 공사’였던 대아 저수지의 댐 건설은 1920년 2월에 2년 예정으로 시작되었으나, 3년 4개월 뒤인 1923년 6월에야 준공식을 거행할 수 있었다. 공사 비용도 당초에는 236만원으로 책정되었으나 공사 기간이 길어지면서 390여 만 원으로 증액되었고, 용지 구입비도 50여 만 원이 추가되었다. 이 때문에 익옥 수리 조합은 총 440만 원의 채권을 발행하였고, 이는 조합원의 조합비 부담으로 이어졌다.

  • 사이토 총독이 쓴 진호 초석사이토 총독이 쓴 진호 초석
  • 대아리 상류면 취수탑대아리 상류면 취수탑
  • 대아리 제언 공사(착수 당시)대아리 제언 공사(착수 당시)
  • 대아리 제언 공사(최근)대아리 제언 공사(최근)
  • 어우리 취입 제수문어우리 취입 제수문
  • 삼례 취입구 통수식삼례 취입구 통수식
  • 전익, 임익 및 임옥 수리 조합 분수 시설전익, 임익 및 임옥 수리 조합 분수 시설
  • 동산리의 제수문 통수식동산리의 제수문 통수식
  • 이리 부근의 용수로 대간선이리 부근의 용수로 대간선
  • 옥구 저수지의 양수기 설치 기초 공사옥구 저수지의 양수기 설치 기초 공사
  • 탑천 잠관 공사탑천 잠관 공사
  • 복천 잠관 흡입구복천 잠관 흡입구
  • 입석리 갑문 통수식입석리 갑문 통수식
  • 목천리의 제수문 분수 시설목천리의 제수문 분수 시설
익옥 수리 조합 준공식
설명 보기
설명 닫기

1923년 6월 17일, 전북 익산군 이리의 익옥 수리 조합이 수원을 확보하기 위하여 건설한 초대형 댐인 대아 저수지의 준공식이 열렸다. 조합장 후지이 간타로(藤井寬太郞)는 연장 100여 리에 달하는 대공사를 완성한 기념으로 성대한 준공식을 마련하였고, 조선 총독 사이토를 비롯하여 경성 주요 관민 70여 명이 초대되었다. 부근에 거주하는 조선인들도 다수 운집하여 이 성대한 행사를 함께 즐겼다. 수원의 확보로 설립 당초 익옥 수리 조합의 생산성은 빠르게 향상되었다. 일본인 농장 밀집 지역이었기 때문에 식민지 농정 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었고, 특유의 방식으로 소작인들을 주도면밀하게 관리한 것도 생산성 급상승의 원인이었다. 그러나 1920년대 중반부터 미가가 하락하였다. 익옥 수리 조합은 막대한 기채를 상환하기 위하여 고율의 조합비를 부과했고, 그 조합원들은 수익 대비 조합비 부담이 지나치게 높아 어려움을 겪었다. 이러한 조합비 부담 문제는 전국의 거의 모든 수리 조합에서 발생했는데, 1930년대 초 농업 공황으로 미가가 폭락하자 중소 지주는 몰락했고 전국 각지에서 조합비 항쟁이 발생하기에 이르렀다.

  • 저수지 전경저수지 전경
  • 도열한 인파 사이를 지나는 사이토 총독 일행도열한 인파 사이를 지나는 사이토 총독 일행
  • 낙성식장 입구낙성식장 입구
  • 낙성식에서의 사이토 총독낙성식에서의 사이토 총독
  • 낙성식에 운집한 군중낙성식에 운집한 군중
  • 낙성식장낙성식장
  • 식사 중인 사이토 총독 일행식사 중인 사이토 총독 일행
  • 식사 중인 한국인 남성식사 중인 한국인 남성
  • 이리 예기의 공연이리 예기의 공연
  • 한국인 구경꾼들한국인 구경꾼들
  • 사물놀이사물놀이
  • 행사장 밖의 한국인행사장 밖의 한국인
13809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국사편찬위원회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