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과 수탈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은 산업, 특히 농업 분야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주요 항구들이 증축, 개·수축되는 등 사회 간접 자본이 확충되었다. 그 결과는 조선에서의 농업 생산량과 무역량의 증대라는 '경제 성장'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의 과실이 식민지하의 한국인에게 돌아간 것은 아니었다. 산미 증식 계획에서 증산에 필요한 비용은 대개 소작인이었던 농민들이 부담해야 했지만, 생산된 미곡은 지주와 정미업자를 통해 상품으로서 일본에 이출되었다. 한국인들은 자신들이 생산한 쌀을 일본에 이출하고, 만주산 좁쌀을 식량으로 충당해야 했다. 조선 총독부는 이러한 '무역'을 원활히 하기 위하여 항구의 설비들을 확충했고, 일본 본토에서 조선의 특산품을 선전하기 위하여 각종 박람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이와 같은 1920년대의 경제 성장은 조선의 산업 구조를 일본의 요구에 맞추어 농업, 특히 미곡 단작 형태로 재편하여 일본 세력권 안에서의 무역 증대, 즉 일본에 대한 경제적 예속을 심화하는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