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우리는 일상 속에서 늘 무언가를 기록합니다. 수업 내용을 필기하고, 요리법을 기억하기 위해 메모해두기도 하죠.
그런데, 종이를 구하기 힘든 시절, 우리 조상들은 어디에 글을 썼을까요?
종이가 희귀했던 시대, 당대 사람들의 생생한 일상이 담긴 특별한 유물, ‘목간’을 소개합니다.

종이가 희귀했던 시대, ‘목간’이 있었다

산 정상에 펼쳐진 넓은 풀밭.
풀밭 위로 돌로 쌓은 성벽의 흔적이 드러나 있는데요. 이 성벽이 바로 함안 성산산성입니다.

이곳의 동쪽 성벽 아래에서 300여 개의 나뭇조각이 출토됐습니다. 이 나뭇조각들의 정체는 대체 무엇일까요. 발굴된 나뭇조각들은 먼저 조심스럽게 보존처리 과정을 거칩니다.

이제 잘 처리된 나뭇조각을 적외선으로 비춰보면 놀랍게도 붓으로 쓴 듯한 글자가 확연하게 드러나는데요. ‘급벌성’이라는 지명과 ‘문시이’라는 사람의 이름, 그리고 곡식 ‘피’와 단위를 뜻하는 ‘석’ 이라는 한자가 보입니다.

이 글자들을 연결해보면, 급벌성, 바로 지금의 경북 영주에 사는 ‘문시이’라는 사람이 피를 보낸다고 해석할 수 있는데요.

문자를 기록하기 위해 일정한 모양으로 깎아 만든 나뭇조각

이처럼 나뭇조각에 정보를 담은 문자를 기록한 것을 ‘목간’이라 부릅니다.
그런데 왜 이 목간이 함안 성산산성에서 출토된 것일까요?

“6세기 중반 이후에 함안 성산산성이 축조되고 유지되면서 많은 물자가 이동해 올 필요가 있었습니다. 그러한 사람들에게 공급되었던 물품에 붙어 있었던 꼬리표 역할을 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에 담겨있는 정보들은 신라의 행정조직과 세금 수취체계를 파악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할 수 있는 거죠.” 이재환 교수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그런데 6세기 신라 시대의 목간이 어떻게 천오백년의 시간을 견디고 글자들을 선명하게 간직할 수 있었던 걸까요?

“이 층 안에 목간이 들어가 있었기 때문이거든요. 이 부엽층 안은 물이 많이 들어올 수 있고 따라서 산소가 차단되는 환경이 조성되는 공간이거든요. 여기에 목간이 들어갔기 때문에 천 년 이상 썩지 않고 오늘날 그대로 모습을 보전할 수 있었던 거로 생각합니다.” 양숙자 학예연구실장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종이가 귀한 시대, 사람들의 필기 재료로 사용된 목간.
하지만, 종이가 널리 사용되기 시작한 고려시대 이후에도 목간이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는데요.

태안 마도 앞바다에서 발굴한 고려시대 배 안에서도 다량의 목간이 발견됐습니다.

이 목간들은 함안 성산산성 목간과 마찬가지로 끝에 좌우로 홈이 파인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 홈에 끈을 묶어 화물에 부착하는 꼬리표의 기능을 했던 거죠. 이처럼 택배 송장과 비슷한 역할을 한 목간들을 ‘짐꼬리표 목간’이라 부릅니다. 목간의 다양한 형태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죠.

“고려시대나 조선시대 같은 경우는 종이를 제작하는 비용이 상당히 비쌌기 때문에 대중들까지 종이를 쉽게 구할 수 없는 상황이었습니다. 그리고 목재는 말 그대로 칼로 한번 긁어내면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목간을 대중들이 애용하게 된 이유 중 하나라고 볼 수 있습니다.” 김택준 학예연구사 / 국립해양문화재연구소

고대 사람들의 생생한 일상 기록 ‘목간’

백제 사비성터로 여겨지는 부여 쌍북리

이곳에서 발견된 목간에는 특별한 숫자가 기록돼 있습니다.
자, 이 숫자들이 의미하는 게 무엇인지 보이나요? 바로 우리가 지금도 사용하는 구구단입니다.

“9단부터 2단까지 연속적으로 표기를 하되 단별로 구분해서 구분선을 넣은 다음에 표기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단의 중복된 숫자 즉, 9X9=81, 9·9, 8·8 뒷글자(숫자)는 중복 부호를 사용해서 생략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각 단의 시작하는 글자는 가장 오른쪽에 배치해서 9단부터 2단까지 내려갈수록 좁아지는 직각삼각형의 형태를 띠게 기재하고 있습니다.” 정훈진 팀장 / 한국문화재재단 문화재조사연구단

직각 삼각형의 특이한 형태를 띠게 된 이유는 구구단의 독특한 배치 모양 때문이기도 하지만, 손에 잡기 쉽기 때문이기도 한데요.

모서리를 자세히 보면 손에 잡기 쉽게 다듬어졌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마도 백제의 하급 관리들이 정확하게 숫자를 계산하기 위해 구구단 목간을 손에 들고 다니며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인천 계양산성에서도 목간이 출토됐는데요. 이 목간은 5개의 면에 모두 글자가 기록되어 있는데 바로 공자의 ‘논어’입니다.

이 ‘논어 목간’은 통일신라시대의 것으로 추정되고 있는데요. 독서삼품과 등 시험과목에 논어가 있었던 만큼 신라시대 관리들이 논어를 공부할 때 사용했던 것으로 보입니다.

화려한 신라 궁궐 유적인 동궁과 월지
연못 월지 안에서도 목간이 출토됐습니다. 월지 목간에서는 신라의 궁정 문화를 그대로 엿볼 수 있는데요. 그 중 한 목간을 살펴볼까요.

사슴으로 만든 젓갈을 뜻하는 ‘녹갑’과 항아리를 뜻하는 ‘옹’자가 보입니다. 사슴젓갈을 담은 항아리라는 뜻이죠. 앞에는 어느 달의 3일에 만들었다는 글자도 보이는데요. 신라시대에도 염장요리가 있었고 젓갈의 종류와 담근 시기를 목간에 기록해 잘 관리했다는 걸 알 수 있죠.

또 다른 목간에는 의약처방전이 기록돼 있었는데요. 대황, 감초 등 약재의 이름과 무게가 쓰여 있습니다.

이외에도 얼굴을 그리거나 글씨를 연습하던 연습용 목간 등이 발굴되었습니다. 이처럼 우리 조상들의 삶을 고스란히 담고 있는 목간, 최근 역사가들이 더욱 주목하고 있는데요.

“목간이라고 하는 것은 과거 사람들의 일상적이고 평범한 모습을 알려주는 소중한 자료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서 역사책이 전하지 않는 과거 사람들의 문자 문화로서 최근에 중요한 자료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재환 교수 / 중앙대학교 역사학과

우리의 평범한 삶 곳곳에서 기록되는 문자들.
어쩌면 먼 미래 세대에게는 이 일상의 메모들이 마치 목간처럼 신비한 타임캡슐로 다가오지 않을까요?

[에필로그]
우리가 꼭 알아야할 한국사 속 문화예술 상식

1. 목간은 정보 전달 등을 목적으로 나뭇조각문자를 기록한 것이다.
2. 목간은 종이가 희귀하던 시기에 중요한 필기재료로 사용되었다.
3. 목간은 당대의 생활상을 알 수 있는 중요한 단서가 기록되어 있다.

해설

1. 목간이란 무엇인가

목간(木簡)은 공사(公私)의 의지 혹은 정보 전달 등을 목적으로 나뭇조각[木片]에 문자를 기록한 것이다. 고대 동아시아지역에서 서사(書寫) 재료로서 나무를 이용하는 방법은 중국에서 기원하였다. 중국에서는 죽간(竹簡)·목간을 비롯한 붓과 먹 등의 문방구류가 전국시대의 유적에서 확인되고 있으며, 진한(秦漢)시대에 이르러 국가행정의 전반에 걸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다가 이후 종이의 개량과 보급에 따라 점차 서사 재료로서의 주도적 지위를 잃게 되었다.

2. 한국 목간의 기원

고대 한국에 중국의 간독 문화가 본격적으로 유입된 계기는 전한(前漢) 무제(武帝)가 고조선을 멸망시키고 한반도 서북부에 군현을 설치한 이후라고 생각된다. 이러한 양상은 평양의 채협총 출토 목간과 정백동 364호분 출토 낙랑군 호구부(戶口簿) 목독·『논어』 편철 죽간, 낙랑 유적에서 출토한 봉니(封泥)와 인장(印章), 문방구류 등의 출토에서 알 수 있다. 낙랑군의 간독과 문자 유물의 존재는 고대 한국에 중국의 간독 문화가 그대로 수용되었음을 의미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한국의 목간과 중국의 간독은 형태나 내용적인 측면에서도 많은 차이를 보인다.

3. 고대 한국의 목간 문화

고대 삼국 가운데 고구려는 중국 군현과의 관계 속에서 정치체로 성장하였기 때문에 언어와 문자를 통한 교류가 이른 시기부터 진행되었다. 고구려는 한 군현 세력과의 교류 속에서 한자를 사용하는 초보적인 문서 행정을 경험하였을 것이다. 초기의 문서 행정은 사람이나 물품의 이름과 그 수량 및 날짜 정도를 표기할 수만 있어도 가능하다. 『위서』 동이전 고구려조에 제가(諸加)들이 가신처럼 임명한 사자(使者) 등의 이름을 모두 왕에게 보고하였다는 것도 초기 문서 행정의 양상이었다고 생각되며, 이 과정에서 서사 재료는 목간이 사용되었음은 분명하다.

이와 같은 흐름은 중국 군현이나 고구려와의 관계 속에서 성장해가던 백제 및 신라에서도 비슷한 모습으로 전개되었다. 백제의 경우 한성(漢城) 시대인 근초고왕(近肖古王) 대에 서기(書記)의 제도를 갖추어 나가기 시작했으며, 개로왕(蓋鹵王) 대에 북위에 보낸 국서나 도미(都彌)와 같은 편호소민(編戶小民)의 존재에서 한성백제 후반기에는 이미 꽤 높은 수준의 문자 문화를 향유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신라 또한 마립간기를 경과하면서 문자에 의한 지배를 구축해 갔으며, 5~6세기 경주지역을 벗어나 새로운 지배영역을 확장하는 과정에서 문자에 의한 지배가 더욱 공고화되어 갔다.

이 과정에서 일반적인 서사 재료는 ‘목간’이 사용되었다. 현재 알려진 백제와 신라의 목간 중 가장 이른 시기의 것은 6세기의 능산리목간(백제), 월성해자·성산산성목간(신라) 등인데, 죽간은 전혀 확인되지 않는다. 고대 삼국의 국가적 성장 추세나 단편적인 문자문화 관련 자료들을 염두에 둔다면 6세기 이전에도 서사 재료로 목간이 사용되었음은 분명하다. 그러나 초기 국가의 정치 사회적인 성숙도 측면에서 중국의 간독 문화는 그대로 수용되기 어려운 환경이었다. 더구나 중국 군현이 진출했던 한반도 서북부 지역은 죽간의 재료인 대나무의 생장이 제한적이었기 때문에 이 지역의 고구려와 같은 초기 정치체들은 목간을 이용한 초보적인 문자 생활을 시작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처음 중국의 간독 문화가 유입된 한반도 서북부의 자연 환경적 요인과 고대사회가 정치 사회적으로 미성숙했던 환경은 죽간이 배제된 ‘목간’의 문화를 수용할 수밖에 없었으며, 이러한 현상은 한국 고대 목간 문화의 기원적 특징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중국의 간독 문화에서 죽간 문화가 배제된 목간 문화의 수용은 이후 고대 한국 목간 문화의 흐름에서 중요한 의미가 있으며, 나아가 일본 목간 문화의 기원과 전개에도 결정적인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4. 백제·신라의 목간과 일본의 목간

백제와 신라 목간의 형태와 내용을 비교했을 때 문서 목간과 꼬리표 목간에서 백제 목간의 정형화가 먼저 이루어지고 있었던 사실이 확인되는데, 이는 백제의 문자문화가 신라보다 선진적인 양상으로 전개되었던 사실을 암시한다. 이 같은 현상은 백제와 신라의 목간 문화가 국가 간의 문자문화의 기원과 전개 과정에서의 차이와 특징이 반영된 것이라고 여겨진다. 고대 한국이 목간 문화는 중국의 간독 문화의 영향에서 출발하였지만 정치 사회적·자연적 환경의 차이로 말미암아 고대 한국의 목간 문화로 발전하게 되었으며, 그 내부적으로도 여러 가지 요인으로 말미암아 지역적·국가적 차이를 보이면서 전개되었다.

이와 더불어 7세기 후반 이후의 자료들이 알려지고 있는 고대 일본의 목간들과 비교했을 때 역사적으로 의미 있는 사실을 확인하게 된다. 일본 또한 한국과 마찬가지로 죽간은 확인되지 않는데, 이는 곧 고대 한국의 목간 문화가 직접적으로 영향을 주었던 것으로 생각되는 것이다. 나아가 고대 일본의 대표적인 문서목간의 형태는 단책형이라고 불리는 얇은 장방판형 목간인데, 그 형태는 7세기 백제의 문서목간과 매우 유사하다. 꼬리표 목간 또한 백제의 그것과 유사한 점들을 확인할 수 있는 점에서 고대 일본의 목간 문화에 보다 직접적인 영향을 주었던 것은 7세기 이후 백제의 목간 문화였을 것이다.

5. 목간 문화의 변화

고대 한국에서 7세기 중후반 이후 신라가 삼국의 통일을 완수하면서 목간의 시대는 종이의 시대로 점차 변모해 갔던 것으로 생각된다. 목간의 시대에서 종이의 시대로의 전환은 문서 행정의 변화와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데, 통일신라의 관제가 정비기를 거쳐 완성기에 도달하면서 문서 행정상에도 일대 혁신이 이루어졌다. 이 사실은 통일 이후 문무왕(文武王) 15년(675) 백사(百司)와 주군(州郡)에 동인(銅印)을 주조해 나누어 주었던 것에서 알 수 있다. 모든 관부와 지방의 주군에 이르기까지 인장을 나누어 주었다는 사실은 중앙과 지방의 주요 문서에 날인(捺印)하는 정책의 시행을 의미하며, 이는 종이 문서의 전국적인 사용을 의미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러나 모든 장면에서 서사 재료가 종이로 변화했던 것은 아니다. 안압지·황남동 출토의 꼬리표와 기록 목간, 김해 출토 논어 목간, 전인용사지와 창녕 화왕산성 출토 주술(呪術) 목간의 존재는 통일 이후에도 목간이 광범위하게 사용되었음을 알려주기 때문이다. 나아가 신라 하대(下代)인 진성여왕(眞聖女王) 때의 거타지(居陀知) 설화에서도 목간은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사실은 문서 행정의 주요 영역에서는 서사 재료가 목간에서 종이로 변모하였지만, 문자가 요구되는 다양한 장면에서는 각각의 용도에 걸맞은 서사 재료의 특질이 고려되어 선택적으로 사용되었음을 의미한다. 최종적인 종이 문서나 장부를 만들기 위한 중간 집계나 기록들, 물품의 이동·보관 등에서는 문자기록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목간이 이용되었고, 주술이나 의례의 이미지를 형상화할 때에도 목간이 주로 활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결국 목간은 고대 국가 내부적으로 문자의 사용이 시작되면서 주도적인 서사 재료로 사용되다가, 7세기 이후 본격적인 종이의 문서 행정이 전개되면서 서사 재료의 주도적인 지위가 목간에서 종이로 공식화되었던 것이다. 그리고 목간은 나무라고 하는 재질상의 특징을 활용하는 용도로 점차 한정되어 갔던 것이다. 그렇다고 하더라도 목간은 고대국가 전 시기에 걸쳐 문자문화의 중요한 서사 재료로 활용되었으며, 종이의 시대에 이르러서도 그 재질상의 특징에 걸맞게 고대국가 내부적으로 다양한 장면에서 사용되면서 고대의 역사와 문화를 담아내는 역할을 했던 것이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도록

  •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 2017, 『한국의 고대목간』Ⅱ
  • 국립경주박물관, 2002, 『문자로 본 신라­신라인의 기록과 필적­』
  • 국립부여박물관, 2002, 『백제의 문자』
  • 국립부여박물관, 2008, 『백제 목간』
  •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1993, 『함안 성산산성』Ⅰ
  •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4, 『韓國의 古代木簡』
  •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4, 『함안 성산산성』Ⅱ
  •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2006, 『(개정판)韓國의 古代木簡』
  • 국립청주박물관, 2000, 『한국 고대의 문자와 기호유물』
  • 예술의 전당, 1998, 『옛 탁본의 아름다움, 그리고 우리 역사』, 우일출판사

단행본

  • 김현구‧박현숙‧우재병‧이재석, 2003, 『일본서기 한국관계기사 연구』Ⅰ‧Ⅱ‧Ⅲ, 일지사
  • 노용필, 1996, 『신라진흥왕순수비연구』, 일조각
  • 연민수, 1998, 『고대한일관계사』, 혜안
  • 윤선태, 2007, 『목간이 들려주는 백제 이야기』, 주류성
  • 이경섭, 2013, 『신라 목간의 세계』, 경인문화사
  • 이기동, 1984, 『신라골품제사회와 화랑도』, 일조각
  • 이기동, 1997, 『신라사회사연구』, 일조각
  • 이기백, 1974, 『신라정치사회사연구』, 일조각
  • 이병도, 1976, 『한국고대사연구』, 박영사
  • 이용현, 2006, 『한국목간기초연구』, 신서원
  • 전덕재, 1996, 『신라육부체제연구』, 일조각
  • 전덕재, 2006, 『한국고대사회경제사』, 태학사
  • 주보돈, 1998, 『신라 지방통치체제의 정비과정과 촌락』, 신서원
  • 주보돈, 2002, 『금석문과 신라사』, 지식산업사
  • 천혜봉, 1991, 『한국서지학』, 민음사

논문

  • 권태원, 1988, 「백제의 목간과 陶硯에 대하여」, 『蕉雨黃壽永博士古稀紀念 美術史學論叢』
  • 김기섭, 2005, 「5세기 무렵 백제 渡倭人의 활동과 문화 전파」, 『한일관계사연구논집』 2, 경인문화사
  • 김낙중, 1998, 「신라 月城의 성격과 변천」, 『한국상고사학보』 27
  • 김병준, 2008, 「낙랑군 초기의 編戶過程과 ‘胡漢稍別’ -「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多少□□」목간을 단서로-」, 『목간과 문자』 1
  • 김영심, 2005, 「백제 5方制 하의 수취체제」, 『역사학보』185
  • 김창석, 2001, 「皇南洞 376유적 출토 木簡의 내용과 용도」, 『신라문화』 제19집
  • 김창호, 1992, 「이성산성 출토의 목간 연대 문제」, 『한국상고사학보』 10
  • 김창호, 1995, 「고신라의 都城制 문제」, 『신라문화제학술발표회논문집』 16
  • 김창호, 1998,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에 대하여」, 『함안 성산산성』,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남풍현, 1981, 「한자·한문의 수용과 借字表記法의 발달」, 『한국고대문화와 인접문화와의 관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 박방룡, 1985, 「도성·성지」, 『한국사론』 15, 국사편찬위원회
  • 박방룡, 1998, 「신라 도성 연구」, 동아대학교 사학과 박사학위논문
  • 박석순, 2004, 「告知札과 牓示를 통해 본 고대일본의 문서행정과 民」, 『동방학지』 126
  • 박종익, 2000, 「함안 성산산성 발굴조사와 목간」, 『한국고대사연구』 19
  • 박석순, 2004, 「告知札과 牓示를 통해 본 고대일본의 문서행정과 民」, 『동방학지』 126
  • 박종익, 2002, 「함안 성산산성 출토목간의 성격 검토」, 『한국고고학보』 48
  • 박태우·정해준·윤지희, 2008, 「부여 쌍북리 280-5번지 출토 목간 보고」, 『목간과 문자』 2
  • 박현숙, 1996, 「宮南池 출토 백제 목간과 왕도 5부제」, 『한국사연구』 92
  • 손환일, 2008, 「백제 목간 『佐官貸食記』의 분류체계와 서체」, 『한국사상과 문화』 43
  • 송기호, 2002, 「고대의 문자생활」, 『강좌 한국고대사』 5
  • 양기석, 1986, 「『삼국사기』 都彌列傳 小考」, 『李元淳敎授華甲紀念 史學論叢』
  • 양기석, 1987, 「百濟의 稅制」, 『백제연구』 18
  • 양정석, 2004, 「신라 公式令의 왕명문서양식 고찰」, 『한국고대사연구』 15
  • 여호규, 2003, 「국가의례를 통해 본 신라 중대 도성의 공간구조」, 『한국의 도성-도성 조영의 전통-』, 서울시립대학교 서울학연구소
  • 연민수, 2005, 「고대일본의 한반도계 씨족과 역할」, 『한일관계사연구논집』3, 경인문화사
  • 윤선태, 1997, 「正倉院 所藏 「佐波理加盤附屬文書」의 新考察」, 『국사관논총』 74
  • 선태, 1999, 「함안 성산산성 출토 신라 목간의 용도」, 『진단학보』 88
  • 윤선태, 2000, 『신라 통일기 왕실의 촌락지배―신라 고문서와 목간의 분석을 중심으로―』,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 윤선태, 2002, 「신라의 문서행정과 목간―牒式文書를 중심으로―」, 『강좌 한국고대사』 제5권
  • 윤선태, 2004, 「부여 능산리 출토 백제 목간의 재검토」, 『동국사학』 40
  • 윤선태, 2004, 「한국고대목간의 출토현황과 전망」, 『한국의 고대목간』,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윤선태, 2005, 「월성해자 출토 신라 문서목간」, 『역사와 현실』 56
  • 윤선태, 2006, 「백제 泗沘都城과 ‘嵎夷’­木簡으로 본 泗沘都城의 안과 밖­」, 『동아고고논단』 2
  • 윤선태, 2006, 「안압지 출토 ‘門號木簡’과 신라 동궁의 경비」, 『한국고대사연구』 44
  • 윤선태, 2007, 「목간 연구의 현황과 과제」, 『한국 고대사 연구의 새 동향』, 한국고대사학회 편, 서경문화사
  • 윤선태, 2007, 「목간으로 본 신라 王京人의 문자생활」, 『신라문화제학술론문집』 28
  • 윤선태, 2007, 「백제의 문서행정」, 『한국고대사연구』 48
  • 윤용구, 2007, 「새로 발견된 樂浪木簡-樂浪郡 初元四年 縣別戶口簿-」, 『한국고대사연구』 46
  • 이건무, 1992, 「茶戶里遺蹟出土 붓(筆)에 대하여」, 『고고학지』 4
  • 이경섭, 2001, 「신라 상대의 稟主와 內省」, 『한국고대사연구』 22
  • 이경섭, 2004, 「7세기 신라의 재정운용」, 『한국고대사연구』 32
  • 이경섭, 2004,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구현황과 과제」, 『신라문화』 23
  • 이경섭, 2005, 「성산산성 출토 荷札木簡의 제작지와 기능」, 『한국고대사연구』 37
  • 이경섭, 2007, 「함안 성산산성 출토 제첨축과 고대 동아시아세계의 문서표지 목간」, 『역사와 현실』 65
  • 이경섭, 2008, 「신라 月城垓子 목간의 출토상황과 월성 주변의 경관 변화」, 『한국고대사연구』 49
  • 이근우, 2004, 「왕인의 『천자문』·『논어』일본전수설 재검토」, 『역사비평』 69
  • 이기동, 1979, 「안압지에서 출토된 신라 목간에 대하여」, 『경북사학』 1
  • 이기동, 2002, 「백제사와 신라사 연구의 새로운 진전」, 『동국사학』 37
  • 이도학, 1993, 「이성산성 출토 목간의 검토」, 『한국상고사학보』 12
  • 이동주, 2007, 「기와로 본 신라 왕경의 변천 연구」, 동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이병호, 2008, 「부여 능산리 출토 목간의 성격」, 『목간과 문자』 창간호
  • 이상준, 1997, 「경주 月城의 변천과정에 대한 소고」, 『영남고고학』 21
  • 이성규, 2003, 「한국 고대 국가의 형성과 한자 수용」, 『한국고대사연구』 32
  • 이성규, 2006, 「중국 군현으로서의 낙랑」, 『낙랑문화연구』, 동북아연구재단
  • 이성시, 2000, 「한국목간연구의 현황과 함안성산산성 출토의 목간」, 『한국고대사연구』 19
  • 이수훈, 2004,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稗石과 負」, 『지역과 역사』 15
  • 이수훈, 2007, 「신라 중고기 행정촌·자연촌 문제의 검토­성산산성 목간과 냉수리비를 중심으로­」, 『한국고대사연구』 48
  • 이영식, 1995, 「육세기 安羅國史 연구」, 『국사관논총』 62
  • 이영호, 2005, 「7세기 신라 왕경의 변화」,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6
  • 이용현, 2000, 「중원고구려비와 신라의 諸碑」, 『고구려연구』 10
  • 이용현, 2001, 「한국고대목간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이용현, 2003, 「함안 성산산성출토목간과 6세기 신라의 지방경영」, 『동원학술론문집』 5
  • 이용현, 2004, 「함안성산산성 출토 목간」 『한국의 고대목간』, 국립창원문화재연구소
  • 이용현, 2005,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간의 성격론­2차 보고분을 중심으로­」, 『고고학지』 14
  • 이용현, 2007, 「목간」 『백제문화사대계 연구총서』12(백제의 문화와 생활), 충청남도 역사문화연구원
  • 이한상, 2005, 「경주 월성 동남쪽 왕궁유적 조사의 성과-‘南宮’의 경관 복원을 위하여-」,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6
  • 장경호, 1984, 「통일신라 시대의 궁전건축」, 『고고미술』 162·163
  • 전덕재, 2005, 「신라 里坊制의 시행과 그 성격」,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6
  • 전덕재, 2006, 「신라 왕궁의 배치양상과 그 변화」, 『신라문화제학술논문집』 27
  • 전덕재, 2007, 「중고기 신라의 지방행정체계와 郡의 성격」, 『한국고대사연구』 48
  • 전덕재, 2007,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내용과 중고기 신라의 수취체계」, 『역사와 현실』 65
  • 전덕재, 2008, 「함안 성산산성 목간의 연구현황과 쟁점」, 『신라문화』 31
  • 정광, 2003, 「한반도에서 한자의 수용과 차자표기의 변천」, 『구결연구』 11
  • 정재영, 2008, 「월성해자 149호 목간에 나타나는 이두에 대하여」, 『목간과 문자』 창간호
  • 조법종, 1999, 「신라 문무왕대 사회정책의 성격검토」, 『신라문화』 16
  • 주보돈, 2008, 「한국의 목간 연구의 현황과 전망」, 『목간과 문자』창간호, 한국목간학회
  • 최맹식·김용민, 1995, 「부여 宮南池內部 發掘調査槪報-백제 목간 출토 의의와 성과-」, 『한국상고사학보』 20
  • 최민희, 2002, 「‘儀鳳四年皆土’ 글씨기와를 통해 본 신라의 통일의식과 통일기년」, 『경주사학』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