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주메뉴 바로가기하단 바로가기
  • 사이트 소개
소개
중·고등학교 국사 교과서에는 우리 문화와 예술에 관련된 수많은 주제들이 언급되고 있으나 대부분 시대별로 간략히 서술되어 그 개념과 변천 과정, 성격 등을 파악하기 어렵습니다.
<영상 문화·예술이야기>는 한국사 속 문화·예술 분야의 주요 주제별로 그 흐름과 변천 과정, 특징과 성격 등을 전문가의 해설을 기반으로 동영상 자료로 제작하여 서비스하고 있습니다.
DB 구축 참여자
주제명 기획 자료해설 자문 연출 시나리오 구성 기획 제작 구축연도
석탑 김소남
박남수
박경식 김형우
이혁로
이연식
안현진 (주)아리랑TV미디어 2016
무덤 김재홍
토우와 토용 김현희
토기 권오영
기와 이병호
조선시대 회화 조규희
한국의 성 서정석
불사 이기선
음악 송지원
도성과 왕궁 박순발
고려청자 전미희
김소남
조은정 윤종원 김미현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7
분청사기 박경자
백자 박정민
복식 이은주
사찰건축 이종수 최광석 배수영
고려불화 김정희
서예 손환일
지도 양보경
동종 김소남
임천환
원보현 윤종원 배수영 (주)투와이드 컴퍼니 2018
서원 조재모
세종대 천문기기와 역법 정성희
제지술과 인쇄술 이재정
통신사행렬도 정은주 최광석 김미현
한글소설 유춘동
화폐 정수환
석빙고 임천환
서일수
김지영 김기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19
최형국
화약무기 김해인 문현성 한정옥
김병륜
김치 김혜숙 윤종원 나누리
인삼 김성수
담배 임성수 신정화 윤옥희
구황작물 구열회
온돌 임천환
이홍구
경석현 윤종원 김자경 스토리라인 2020
농기구 염정섭
바둑 남치형 김기원 김자경
문방사우 김지나
화장 이민주 신정화 한정옥
관례 김지영
목간 이경섭 문현성 이나경
봉수 김경태
판소리 신재호
이홍구
최혜진 문현성 곽기연 스토리라인 2021
궁중음식 박은혜
의궤 신병주 김기원 나누리
갓과 모자 장경희 김기원, 윤종원
종묘 조재모 윤종원 정은주
종묘제례악 송지원
감염병과 방역 김호 신정화 한정옥
풍속화 유재빈
궁궐 신재호
이홍구
조재모 김기원 한정옥 스토리라인 2022
전통정원 소현수
조선왕조실록 강문식
칠공예 최영숙 신정화 김자경
염직 백영미
탈놀이 허용호 윤종원, 유환수 임승연
궁중무용 손선숙 문현성
민화 유미나 문현성 나누리
어보 성인근
읍성 신재호
이주호
이일갑 지해
김성진
하원기 스튜디오바카 2023
혼례 김연수
질그릇 한혜선 지해
손희창
홍종화
탱화 유경희
농악 양옥경
해녀 오상학 지해
김정동
사이트소개 창 닫기
시나리오

우리에게 친숙한 설화를 기반으로 창작된 처용무. 팥죽색 탈을 쓰고 긴 한삼을 뿌리며 액운을 쫓고 좋은 기운을 맞이하는 의미를 담은 이 춤은, 1,100여 년의 역사를 가진 가장 오래된 궁중무용입니다.
단순한 소리와 몸짓의 향연이 아닌 천지(天地)의 조화와 질서를 표현했던 궁중무용, 지금 만나봅니다.

예(禮)를 춤으로 표현하다 – 연향의식의 꽃, 궁중무용

궁중에서 전해 내려오는 춤에는 제례에서 추던 ‘일무’와 연례에서 추던 ‘정재’가 있습니다. ‘정재’는 궁중무용을 일컫는 말로 국가 왕실의 안녕과 태평성세의 기원을 노래 가사에 담아내고 우주 즉 자연의 순리적인 운행은 음악으로, 하늘과 땅의 조화는 춤으로 표현한 종합예술무대라고 할 수 있는데요.

이러한 궁중무용의 여러 춤사위 중 하나가 회무로 하늘의 운행을 상징합니다. 또한 정재는 우리나라의 고유 음악인 향악에 맞춰 공연되는 향악정재와 고려시대 송나라의 교방악에서 유래된 당악정재로 나뉩니다.

공연의 형식에도 다소 차이가 있는데요. 당악정재의 경우, 무용수 외에 대나무로 만든 의물인 죽간자를 든 이들이 있고 춤이 시작되기 전과 후에 송축의 뜻을 담은 노래를 부릅니다.

“원소의 좋은 연회에 봄 경치를 즐기니 당나라 낙양의 상양궁 생각나네. 요 임금 이마가 기쁘게 북극 바라보고 순 임금 옷 드리우고 깊은 궁전에 팔짱 끼고 계시도다. 환성은 호탕하여 소곡에 뒤따르고 화기는 어리어서 어향을 띠었세라. 장관의 태평에 어떻게 보답하랴. 반도 한 떨기로 천 가지 상서 바치리” - 치어

놀 빛 〈신선〉 옷자락 여미고 잠시 물러나 구름길 지향하여 돌아가려 하도다. 섬돌 앞에 두 번 절하고 서로 이끌고 떠나가리다” - 퇴구호

“(이렇듯) 당악정재는 한시의 구호와 4, 6체의 치어(왕을 송축하는 말)를 춤의 앞 뒤에 노래로 부르고 죽간자를 든 2인이 춤추는 사람을 인도하여 무대로 나가며 무용수는 의장대가 늘어선 가운데서 춤을 추는데, 이러한 모습을 향악정재에서는 찾을 수 없고 그 형식이 매우 자연스럽고 간단합니다.” 손선숙 이수자 / 국가지정무형문화재 40호

형식을 간단히 하되 표현의 자율성을 넓혀 주제와 형태가 다양하게 창작된 향악정재. 그중 하나인 무고는 가장 긴 역사를 지녔을 뿐만 아니라 지방에서 탄생해 고려의 궁중으로 수용되기까지 한, 인기가 많았던 정재였습니다.

“시중 이혼이 좌천되어 영해에서 벼슬살이를 할 때 바닷가에서 물에 뜬 뗏목을 얻어 무고를 만들었는데 그 소리가 굉장하였다” - [고려사] 악지

충렬왕 때 시중 이혼이 벼슬살이를 하며 바닷가에서 얻은 뗏목으로 만든 큰 북을 두드리며 춤춘 데서 기원한 이 춤은 꽃봉오리 위에 하늘거리는 한 쌍의 나비, 그리고 여의주를 빼앗으려고 다투는 두 마리 용의 모습을 잘 표현해낸 것이 특징입니다.

“춤의 진행절차가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는 고려사 악지, 악학궤범, 정재무도홀기 등 여러 옛 무보들이 있었기에 거의 단절되지 않고 그 시대에서 행해졌던 그대로 복원되어 지금까지 공연될 수 있는 거고 그렇게 전해지고 있는 궁중무용만 총 56종이 됩니다.” 손선숙 이수자 / 국가지정무형문화재 40호

예(禮)와 자연적 순리를 표현한 춤과 노래, 음악이 함께 어우러진 융합무대예술, 궁중무용. 질서와 조화를 강조했던 그 본질과 아름다움은 고스란히 전승되어 독립적인 예술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가무악(歌舞樂)의 종합예술, 궁중무용 제작에 왕이 직접 참여했다?

궁중에서 연향의 자리를 빌려 왕권 강화와 같은 정치적 의도를 가지고 연희됐던 궁중무용. 그 중 하나가 봉래의인데요. 놀랍게도 세종대왕이 용비어천가를 노랫말로 직접 작곡한 음악에 맞춰 제작한 춤입니다.

“용비어천가라는 악장을 올려 부를 수 있는 음악 또는 악무를 봉래의라는 명칭으로 만들어서 그걸 무대 위에 올려서 많은 백성들과 신하들이 늘 보고 즐기면서 조선 왕조 건국이나 영속의 당위성과 필연성을 늘 마음에 담도록 한 것입니다.” 조규익 교수 /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이러한 봉래의는 악학궤범의 무보와 세종실록악보에 악보가 기록돼 있어서 2013년에 복원, 현재 조선 전기 모습 그대로 공연되고 있습니다. 그리고 궁중무용은 조선왕조의 틀이 잡히면서 제도적으로 체계가 마련됐고, 조선후기에 꽃을 피웠는데요.

“[19세기 전반은] 소수 가문이 모든 권력을 독점하던 세도정치기였고 당시 대리청정을 하던 순조의 장남 효명세자가 그 기간 동안 다양한 궁중무용을 제작했고 많은 연향을 열었으며 새로운 궁중무용과 시를 만들어 선보이며 왕실의 위엄을 드러내고자 했습니다.” 조규익 교수 / 숭실대 국어국문학과

효명세자가 악장을 지은 ‘예제’ 정재만 20종이며 대리청정을 하던 시기에 등장한 새로운 춤만 23종이 됩니다. 그는 효(孝)를 내세워 아버지인 순조, 즉 왕실의 권위를 신하들에게 자주 각인시키는 의도로써 잔치를 자주 열어 그 자리에서 새로운 궁중무용을 많이 선보였는데요.

그중 춘앵전은 효명세자가 모친 순원왕후의 40세 탄신을 축하하기 위해 지은 것으로 이른 봄날 아침에 나뭇가지에서 노래하는 꾀꼬리의 자태를 무용화한 춤입니다.

특히 회춘, 장수의 의미를 담고 있는 봄날의 버드나무, 이를 상징하는 화문석 위에서 선보이는 ‘독무’라는 점이 눈길을 끄는데요. 2인 이상의 무용수가 좌우로 짝을 지어 대열(隊列)을 지으며 ‘조화와 질서’를 표현한 것이 기존 궁중무용의 양식인데, 효명세자에 의해 ‘독무’로 추는 새로운 양식의 정재가 제작됐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큽니다.

직접 궁중 연향을 기획하며 연향에 쓰이는 정재무를 대대적으로 정비했던 효명세자. 짧은 생애에도 그가 남긴 찬란한 자취는 지금까지 우리 문화와 예술 분야에 큰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엄격한 형식 안에서 무용수 개인의 개성이나 감정 표현은 억제되었던 것에 반해 음악과 몸짓으로 다양한 메시지를 담아낸 연향 의식의 꽃, 궁중무용.

여러 문헌 자료들을 토대로 원형과 가깝게 재현하는데 그치지 않고 그 정통성에 새로운 멋을 더해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며 계속 지켜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입니다.

[에필로그]
우리가 꼭 알아야할 한국사 속 문화예술 상식

1. 궁궐에서 연회나 의식 때 추던 춤으로 민속무용과 상대되는 것이 궁중무용이다.
2. 궁중무용은 노래와 춤, 음악이 조화롭게 융합된 종합무대예술이다.
3. 춘앵전과 무산향은 조선시대 효명세자에 의해 제작된 독무이다.

해설

궁중무용은 옛 한국왕실이 존재하였던 군주 국가시대에서 추어진 춤으로, 천 년 한국의 역사를 품은 국가의 춤이다. 국가 존속이라는 분명한 목적을 가지고 그 의미를 상징적으로 표출시킨 춤으로, 왕권정치 체제가 성립된 이후부터 출발하였다. 궁중에서의 연향은 왕실을 굳건히 하는 사회 통합의 기능으로서 차별적 질서를 강조하는 ‘예(禮)’의 성격과 조화로움을 강조하는 ‘악(樂)’의 성격이 함께 어우러지는 자리로, 궁중 연회는 단순한 잔치가 아니라 왕 중심의 질서를 강화하고 왕의 위상을 높이려는 정치적인 의식이었다. 이러한 궁중잔치를 통해 충(忠)과 효(孝)를 내세워 왕의 위엄과 권위를 세우고, 군신 간의 질서를 다시 한 번 확인하고자 한 연향의 중심에는 늘 정재가 있었다.

궁중에서 전해 내려오는 춤에는 제사 때 추는 일무[보태평·정대업]와 연례 의식에서 추는 궁중무용으로 나뉜다. 궁중무용은 왕조의 경사스런 의식들, 예컨대 왕·왕비·대비·원자(元子)의 탄신·회갑 등의 특별한 날이나 왕의 등극과 왕세자의 책봉, 왕과 왕세자의 혼례, 외국 사신을 맞이하는 등 국가적인 경사가 있을 때 예를 갖추어 축하하는 자리에서 추었다. 궁중무용은 임금 혹은 왕세자의 명을 받아 제작하였는데, 임금의 명으로 제작한 어제(御製)와 왕세자가 제작한 예제(睿製)로 구분되어 있다. 궁중무용은 다른 말로 ‘궁중정재’ 혹은 ‘정재(呈才)’라고 부르는데, ‘고귀한 분께 여러 가지 재주를 올린다’는 뜻으로, 춤뿐만 아니라 줄타기·땅재주·음악·재담 등 모든 재예(才藝)를 보여준다는 의미를 포함한다.

궁중무용은 당악정재(唐樂呈才)와 향악정재(鄕樂呈才)로 구분되어 춘다. 통일신라이후 고려시대에 걸쳐 당나라와 송나라에서 들어온 외래의 춤 문화를 통틀어 당악정재라 부르고, 고대로부터 전래되는 우리나라 고유의 전통적인 춤을 향악정재라 부름으로써, 외래의 문화와 자국의 문화를 구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용어를 달리 붙여 사용하였다. 당악정재와 향악정재의 구분은 춤을 추는 무용수 구성과 춤 진행에도 뚜렷한 차이를 보이는데, 당악정재는 정재의 앞뒤에 송축의 뜻이 담긴 노래로 불리는 치어와 구호가 있는 반면 향악정재에는 없다. 궁중무용을 추는 무용수를 무동(舞童)과 여령(女令)이라 부르는데, 왕과 왕세자가 베푸는 외진연(外進宴) 연향에서는 무동이 추고, 대비·중전·공주 등이 베푸는 내진연(內進宴) 연향에서는 여령들이 추었다.

궁중무용은 국가 왕실의 안녕과 태평성세의 기원을 노래 가사에 담아내고, 우주의 순리적인 운행은 음악으로, 하늘과 땅의 조화는 춤으로 표현한 가무악 융합예술체이다. 궁중무용은 궁중의 예법(禮法) 구조를 적용하여 하늘과 땅의 조화와 자연의 순조로운 순환 과정을 상징화하여 특정한 형태로 표현하였다. 음양오행 및 동양사상에 바탕 한 것으로 춤의 대형은 사방(四方)·오방(五方)·팔괘(八卦)로 형상화하고, 둥글게 도는 회무(回舞)는 봄·여름·가을·겨울과 같은 사계절의 순조로운 순환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으로, 임금의 덕(德)이 만백성들에게 골고루 미치게 하려는 의도가 함께 담겨져 있다. 또한 궁중의 예법을 춤사위에 도입시켜 표현하였는데, 수법(手法)과 보법(步法)의 내외(內外) 구조가 춤 속에 분명하게 드러나 화려하지만 절제미가 있고, 장중하면서도 격조가 있다.

궁중무용이 제도적으로 기틀이 세워진 것은 조선왕권 정치의 틀이 잡혀지기 시작하면서 부터이다. 조선왕조는 건국 초부터 유교를 국가통치이념으로 내세워 인간중심적인 유교의 현실관에 충실했고, 관료사회로 전환시키고자 하였다. 모든 생활 규범이 예(禮)에 기반을 두고 운영되었고, 왕권에 대한 명분론(名分論)과 왕실의 정치적 권위를 유지하기 위해 수용한 조선왕조의 예악정치는 곧 질서를 고착시키는 수단이었다. 조선시대에는 조선 건국 초부터 궁중에서 행해지는 모든 음악과 무용을 장악원(掌樂院)에서 관장해가면서 예악(禮樂)의 제도와 체제가 점차적으로 발전되어 갔다. 조선시대의 궁중무용은 신라 및 고려 때의 춤을 계승하거나 중국과의 문화교류를 통해 문화예술의 총체적 기틀을 마련하였다. 조선 초기에 창제된 궁중무용은 조선건국의 당위성과 합리성을 부여하기 위한 정책의 일환으로 제작되었는데, 대부분 역대 조종(祖宗)의 공덕과 건국의 대업을 송축하는 것과 선왕 또는 왕가의 융성을 축원하고 왕업의 번영을 축하하는 뜻이 내포되어 있다. 조선후기에는 여러 왕조의 교체와 잦은 전란 등의 사회적 혼란 시기를 여러 차례 거쳐 전승되어오면서도 특히 순조대(純祖代)에 이르러서는 효명세자(孝明世子)에 의해 많은 정재가 창출되어 궁중정재의 황금기로서 기틀을 마련한다.

임금이 직접 궁중무용 제작에 참여하기도 하였는데, 음악에 조예가 깊고 전문적인 소양을 갖고 있던 세종대왕은 자신이 창제한 훈민정음(訓民正音)으로 〈용비어천가(龍飛御天歌)〉 노랫말을 만들고, 이를 토대로 〈봉래의(鳳來儀)〉를 제작하게 한 것은 조선왕조 창업의 정당성과 영속의 당위성을 대외에 천명한 정치적 업적이었다. 그리고 노래 가사를 직접 짓고 궁중무용 제작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한 효명세자는 1827년(순조 27년)부터 1830년(순조 30년)까지 부왕인 순조를 대신하여 대리청정에 임하면서 수많은 새로운 정재를 창제하였다. 특히 기존에 군무(群舞)로 추어지던 궁중무용과는 달리 춘앵전(春鶯囀)과 무산향(舞山香)과 같은 독무를 만들어 문학과 예술 분야에서 뛰어난 업적을 남겼다.

궁중에서 출발하여 일제강점기 이왕직아악부(李王職雅樂部)를 거쳐 현대에 이르기까지 전해지는 궁중무용 종목은 56종이 된다. 이들 궁중무용이 지금까지 전승되어온 가장 큰 이유는, 춤의 진행절차가 세밀하게 기록되어 있는 『고려사(高麗史)』「악지(樂志)」·『악학궤범(樂學軌範)』· 『정재무도홀기』(呈才舞圖笏記) 등 여러 옛 무보들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충(忠)과 효(孝)를 내세워 다양한 메시지를 전달하고 한국 왕조의 역사의 일면을 춤으로 표현한 궁중무용은 후손들이 계속 지켜야 할 소중한 문화유산이다.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

참고자료

고문헌

  • 正祖 乙卯年 『園行乙卯正理儀軌』
  • 純祖 戊子年 『進爵儀軌』
  • 高宗 丁丑年 『進饌儀軌』
  • 高宗 丁亥年 『進饌儀軌』
  • 高宗 壬寅年(11月) 『進宴儀軌』
  • 高宗 壬寅年(4月) 『進宴儀軌』
  • 『時用舞譜全·呈才舞圖笏記』, 1989, 韓國音樂學資料叢書 四, 국립국악원
  • 『樂學軌範』, 1989, 韓國音樂學資料叢書 二十六, 국립국악원
  • 『呈才舞圖笏記』, 1994, 한국정신문화연구원

단행본

  • 김종수, 2001, 『조선시대 궁중연향과 여악연구』, 민속원
  • 박정혜, 2000, 『궁중기록화연구』, 일지사
  • 서인화 외, 2000, 『조선시대 진연 진찬 진하병풍』, 한국음악학자료총서 35권, 국립국악원
  • 성무경 역, 2002, 『교방가요』, 보고사
  • 손선숙, 2017, 『한국궁중무용사』, 보고사
  • 손선숙, 2019, 『조선왕조 의궤 정재도의 무용기록』, 역락
  • 손선숙, 2005, 『궁중정재용어사전』, 민속원
  • 송방송·손선숙, 2009, 『궁중홀기 속의 우리 춤과 음악찾기』, 보고사
  • 李敏弘, 1997, 『韓國 民族樂舞와 禮樂思想』, 集文堂
  • 이혜구, 2000, 『신역악학궤범』, 국립국악원
  • 張師勛, 1979, 『韓國傳統舞踊硏究』, 一志社
  • 조규익, 2005, 『조선조 악장의 문예미학』, 민속원

논문

  • 김수현, 1987, 「궁중정재의 공연예술적 요소」,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 김종수, 1998, 「조선시대 궁중연향의 변천」, 동방학6집
  • 성기숙, 2000, 「조선전기 궁중정재와 예악사상과 형상의식 연구」, 성균관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손선숙, 1998, 「宮中呈才動作用語의 反復性에 대한 硏究: 呈才舞圖笏記를 中心으로」, 『韓國舞踊協會學術論文集』(5), 한국무용협회
  • 손선숙, 2000, 「宮中呈才用語에 대한 硏究Ⅱ: 呈才用語 內容에 나타나는 區分性을 중심으로,」 『韓國音樂史學報』제25집, 韓國音樂史學會
  • 손선숙, 2007, 「정재춤동작의 변화와 계승,」 『정재연구회논문집(1)』, 정재연구회
  • 이현정, 1994, 「궁중무용에 나타난 음양오행사상에 대한 연구」, 이화여대 석사학위논문
  • 허남춘, 2003, 「조선조 예악과 근대수용에 대한 시론」, 반어교문연구,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