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2 토기 제작전통의 형성과 발전02. 삼국의 토기생산과 발전고구려고구려 토기의 종류

나팔입항아리

<나팔입항아리>   
몽촌토성, 높이 59㎝[서울대학교 박물관]

고구려 토기의 가장 특징적인 기종으로 나팔처럼 벌어지는 긴 목과 네 개의 띠고리손잡이[帶狀把手]가 특징적이어서 사이장경옹(四耳長頸甕)이라고 불린다. 크기와 형태에 따라 작은 것은 장경호(長頸壺)·사이장경호(四耳長頸壺), 큰 것은 사이옹(四耳甕)· 사이장경옹(四耳長頸甕) 등으로 세분되지만 기본적으로 하나의 기종이다. 몽촌토성 출토품 등 극히 일부를 제외하면 주로 고분에서 출토되며, 부장용이나 의례용기로 제작·사용된 기종이다.

3세기경에 네 개의 띠고리손잡이가 달린 납작한 몸체에 좁고 긴 목이 달린 사이장경호만 사용되다가 4세기가 되면서 다른 형태들이 모두 등장한다. 이 중 가장 특징적인 사이장경옹은 동체와 목이 점차 좁고 가는 형태로 변화 발전되며, 발해시기까지 계속 사용된다

[필자] 최종택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