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총설01권 한국사의 전개Ⅳ. 한국문화의 특성5. 미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1. 생태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위치와 지형
          • 2) 한반도의 기후
          • 3) 식생
          • 4) 동물
          • 5) 생태계
          • 6) 생물상
        • 2. 지리학적 특성
          • 3) 지형
            • (2) 하천과 평야
            • (3) 해안과 해양
          • 4) 기후
        • 3. 인류학적 특성
          • 4) 산촌과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5) 도시인의 주거지역과 생태적 특성
      • Ⅱ. 한민족의 기원
        • 1. 고고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문화계통의 다원론적 입장-
          • 3) 문화계통
        • 2. 민족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 1) 한민족·한국문화 기원론의 흐름
          • 2) 고대 한민족의 문화적 여러 양상과 그 계통
        • 3.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1. 선사
        • 2. 고대
          • 1) 국가의 성립과 발전
          • 2) 통일 신라의 수취제도
        • 3. 고려
          • 1) 정치적 특성
          • 2) 경제적 특성
          • 3) 사회적 특성
          • 4) 사상적 특성
        • 4. 조선
        • 5. 근현대
          • 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7)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전개
          • 2) 일제의 한반도 강점과 독립운동
            •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 (4)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 3) 해방정국과 현대사의 전개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1. 언어
        • 2. 문학
        • 3. 종교와 사상
          • 5) 한국 종교사의 전개
        • 4. 과학기술 -한국 과학기술사의 시기별 특징-
          • 1) 전통과학시대
          • 2) 근대과학시대
          • 3) 현대과학시대-한국전쟁 이후
        • 5. 미술
          •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
          •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
        • 6. 음악
          • 2) 한국음악사의 전개양상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5) 조선시대 미술의 특성

 조선왕조시대는 현대를 사는 우리와 시대적으로 가장 가깝고 또 미술 작품도 제일 많이 남아 있어서 어느 시대 보다도 중요시된다. 이 시대의 미술은 억불숭유정책의 영향 하에 형성된 유교적(혹은 성리학적) 미의식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전대인 고려시대에는 앞에서도 살펴보았듯이 불교를 토대로 한 푸른색의 청자가 시종 지배적이었던 데 반하여 조선시대에는 깔끔한 흰 색의 백자가 도가기의 주류를 이루었던 점도 그 단적인 예일 것이다. 비단 도자기의 색깔만이 아니라 유교의 영향은 다양하게 나타났다. 화려함은 피하고 검소함을 미덕으로 여긴 점, 과장과 장식성을 피하고 자연스러움을 존중한 점, 불교회화와 단청과 민화 등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요란하거나 짙은 원색을 피했던 점 등이 모두 그러한 사실을 뒷받침한다. 회화 분야에서 濃彩畫가 아닌 수묵화가 시종하여 대종을 이루었던 사실, 자연환경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인공을 최소화한 造苑예술, 재료가 지닌 木理나 문양을 앞세우고 장식을 최소화한 목공예, 구불구불한 목재조차도 선용한 목조건축 등은 그 구체적인 예들이다.

 유교 이외에도 산수화가 가장 발달했던 사실에서 보듯이 도교의 영향과 불교미술이 입증하듯이 불교의 영향도 조선왕조시대의 미술과 불가분의 관계를 지니고 있었음이 사실이나 역시 유교의 영향이 가장 컸음을 부인하기 어렵다. 조선시대의 미술에서 흔히 간취되는 節制의 미도 유교미학과 합치되는 것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물론 이상 언급한 것들을 모두 유교(혹은 성리학)만의 영향으로 단정하는 것은 부적절할 수도 있다. 그것 이외에도 우리 민족이 가지고 있던 미의식이나 기호가 그에 못지 않은 역할을 했다고 볼 여지도 없지 않다. 그러나 전대인 고려시대의 미술과 연관시켜서 생각해 보면 역시 유교의 영향이 조선시대 미술의 특성을 형성하는데 제일 큰 역할을 했다고 보지 않을 수 없을 듯하다.

 유교적 영향보다도 우리 민족의 성향과 보다 연관이 깊다고 생각되는 특성들도 적지 않다. ‘開闊性’을 중시하는 확대지향적인 공간개념,587) 즉흥성과 대범성, 익살과 해학 등이 그 대표적 예들이다.

 확트인 공간을 지향하는 개활성은 조선 초기 안견의 작품으로 전칭되는<四時八景圖>나 필자미상의<瀟湘八景圖>를 비롯한 안견파의 산수화들과 조선 후기의 청화백자에 그려진 소상8경도 계통의 산수문 등에서 전형적으로 엿보인다.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필자미상의<소상8경도>중에서 ‘遠浦歸帆’을 일례로 보면 원경이, 망망대해에 작은 배 3척만이 떠 있을 뿐 전혀 막힘이 없이 무한히 확 트여 있어서 감상자의 속을 시원하게 해 준다.588) 이러한 경향은 다소를 막론하고 안견파 산수화들에서 일관되게 엿보인다.

 이와 같은 확대 지향적인 공간개념, 즉 개활성에 대한 관심은 18세기의 청화백자들의 산수 문양에서도 간취된다. 호암미술관 소장의 떡매병과 청화백자산수인물문 4각연적이나 호림박물관 소장의 청화백자산수문 4각병은 그 전형적인 예들이다. 떡매병의 경우에는 그릇의 표면 전체를 화면으로 삼아 소상8경도의 하나인 洞庭秋月이라고 믿어지는 산수문양을 그려 넣어서 무한의 공간을 시사하고 있다.589) 4각연적에서는 4면의 가장자리를 선으로 구획하고 각 면에는 최소한의 산수나 인물을 표현하고 나머지는 무한히 트여 있는 공간을 나타내었다.590) 이러한 공간 묘사는 호림박물관의 4각병에서도 대동소이하게 나타난다.591) 비슷한 예의 도자기들은 이밖에도 많이 있다.592)

 이처럼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후기에 이르기까지, 산수화는 물론 도자기 문양에까지 확대지향적인 공간개념을 중요하게 다루었던 것이다. 그런데 개활성에 대한 이러한 관심은 무용총의 수렵도나 고려시대 청동은입사포류수금문 정병의 산수문양 등을 통하여 보면,593) 조선시대에 처음 시작된 것이 아니라 이미 삼국시대에 자리를 잡았고 고려시대를 거쳐 조선시대에 더욱 발전하였을 가능성이 높다고 여겨진다. 만약 이를 긍정한다면 개활성에 대한 관심은 우리 민족의 기호나 미의식 중에서 각별히 관심을 가지고 살펴보아야 할 지극히 중요한 특성이라고 보아야 할 듯하다. 현대의 우리에게 있어서도 무엇보다도 강하게 의식 속에 자리잡고 있는 특성이기 때문이다.

 즉흥성과 대범성도 조선시대의 미술에서 빼놓을 수 없는 특성의 하나이다. 즉흥성과 대범성을 제일 잘 드러내는 대표적 예로는 귀얄문 粉靑을 꼽을 수 있을 것이다. 그 중에서도 호암미술관 소장의 분청사기 귀얄문 扁甁은 가장 전형적인 예라 할 수 있다.594) 넓은 귀얄을 백토물에 듬뿍 담구었다가 꺼내서 편병의 표면에 종횡으로 거침없이 솔질하여 시문하였는데 자유분방한 귀얄자국이 역력하다. 16세기의 이 편병처럼 이렇게 즉흥적이고 대담하고 자유분방한 백토 분장은 조선시대를 빼놓고는 어느 나라 어느 시대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 특성이다. 오직 조선시대의 미술에서만 유사한 예들을 찾아볼 수 있을 뿐이다.

 익살과 해학 역시 조선시대의 미술에서 종종 엿보이는 특성이다. 김홍도와 김득신·신윤복 등의 조선 후기 풍속화에서 특히 짙게 나타나지만 조선 중기의 이경윤 전칭 작품인<濯足圖>등의 작품들에서도 익살스러움이 엿보이는 점으로 보면 그 연원은 뿌리가 깊을 것으로 여겨진다.595) 김홍도의 풍속화 중에서 한 점만을 예로 들자면<벼타작>을 꼽을 수 있겠다.596) 타작하는 농부들과 그들을 바라보고 있는 監農人을 X자 구도로 구성하여 표현했는데 활기에 넘치는 농부들 못지 않게 우편 상단에 있는 감농인의 모습이 보는 이에게 웃음을 자아낸다. 다리를 꼬은채 장죽을 물고 비스듬히 누워 있는 감농인의 모습을 보면 갓을 뒤로 재켜 쓰고 있어서 건달끼가 완연하다. 힘들여 일하고 있는 농부들과 달리 이처럼 가장 편하고 여유로운 자세와 건달끼가 넘치는 표정으로 누워 있는 감농인의 모습은 익살과 해학 그 자체라 하겠다. 이러한 익살과 해학은 김홍도의 다른 작품들은 물론 그의 영향을 받은 김득신과 신윤복 등 후대 풍속화가들의 그림들에서도 다소간을 막론하고 흔히 엿보인다. 이상 대강 살펴보았듯이 조선시대의 미술에서는 그 이전의 미술에서 보다도 훨씬 다양하고 색다른 특성들을 확인하게 된다.

587)확대지향적인 공간개념에 관해서는 安輝濬,≪韓國繪畫의 傳統≫, 81∼84쪽 참조.
588)安輝濬·李炳漢,≪安堅과 夢遊桃源圖≫(圖書出版 藝耕, 1993), 14쪽, 圖 18(左下) 참조.
589)鄭良謨,≪朝鮮陶磁 白磁篇≫, 韓國의 美 2(中央日報, 1978), 圖 75 참조.
590)≪湖巖美術館名品圖錄≫Ⅰ(三星文化財團, 1996), 圖 150 참조.
591)≪湖林博物館 名品選集≫Ⅰ(成保文化財團, 1999), 圖 164 참조.
592)방병선,≪조선후기 백자 연구≫(일지사, 2000), 圖 105·107·108·110 참조.
593)秦弘燮,≪工藝≫, 國寶 5, 圖 104 참조.
594)≪湖巖美術館名品圖錄≫Ⅰ, 圖 106 참조.
595)권영필,<해학, 한국미술의 미적 가치>(≪미적 상상력과 미술사학≫, 문예출판사, 2000), 240∼252쪽.

趙要翰,<한국인의 해학미>(≪韓國美의 照明≫, 열화당, 1999), 153∼194쪽 참조.
596)安輝濬,≪風俗畫≫, 韓國의 美 19(中央日報社, 1987), 圖 97.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