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지방 통치조직의 구조
고려의 지방통치조직은 경기지역, 남도지역, 양계지역으로 대별해 볼 수 있다. 중앙 행정력이 어느 정도 지방에 영향을 미치고 있었느냐0393)를 기준으로 할 때, 위의 세 지역으로 나누어 살펴 보는 것이 가장 타당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여기에서는 지면 관계상 경기와 양계지역의 통치구조는 생략하고 남도지역을 중심으로 고려 지방통치 조직의 구조를 보고자 한다. 흔히 남도지역에 대해서는 5도지역으로 보고 있으나, 고려시대의 道가 행정구역이라기보다는 감찰구역으로 보는 것이 타당하다고 생각되기 때문에 外官의 역할을 실질적으로 수행한 영현 중심으로 통치구조를 살펴보고자 한다.
0393) | 河炫綱,<地方行政構造와 社會狀態>(≪韓國中世史硏究≫, 一潮閣, 1987).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