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고려시대의 당악기
≪三國史記≫ 악지에는 통일신라의 音聲署에서 연주된 당악기가 拍板과 大鼓 둘뿐이었고, 고고학자료로 보면, 당비파·당피리·박 세 가지였다.0788) 통일신라의 이러한 당악기들이 고려 초기의 대악서에 어떻게 전승되었는지는 문헌적 근거가 없어 분명하지 않다. 그러나 광종 때 당악기와 악공을 중국에 구했다는 기록에0789) 따르면, 송나라의 악기들이 10세기 후반에 고려조정에 소개되었음이 분명하다. 문종 27년(1073)에는 포구락 등의 당악정재가 연주되었고,0790) 곧 이어 당악기를 가르친 악사의 녹봉이 규정되었으며0791) 송의 神宗이 박판·적·피리를 고려조정에 보냈다는0792) 사실은 11세기에는 당악기가 널리 연주되었음을 입증한다. 따라서≪고려사≫ 악지에 실려 있는 당악기들은 11세기부터 널리 사용되었다고 보면 무난하다.
즉 방향·장고·교방고·박은 타악기에 들며, 현악기는 (당)비파·아쟁·대쟁 이상 세 종류이고, 퉁소·적·피리는 관악기에 든다. 이 10종의 당악기 중에서 관악기와 타악기는 주로 송의 교방악 곧 당악정재의 반주음악에 사용되었다. 비록≪고려사≫가 조선 초기에 편찬되었지만, 이 10종의 당악기들은 11세기부터 고려의 왕립음악기관에서 수용되었던 악기들로서 당악의 발전에 크게 이바지하였다.
송나라 속악기의 하나였던 방향은 늦어도 문종 30년에 고려조정에 소개되어 당악정재의 반주악기로 사용되었다. 그러나 예종 9년(1114) 철방향 다섯 틀과 석방향 다섯 틀이 安稷崇에 의해서 고려조정에 소개되었는데,0793) 그것은 대성아악에서 연주된 아악기였고 잔치 때 연주되던 당악기가 아니었다. 현행 양악기의 실로폰처럼 나무틀에 두 줄로 16장의 철판을 매달아 놓은 방향은≪악학궤범≫의 방향과0794) 구조적으로 같았다.
타악기의 일종인 장고·교방고·박 중에서 장고와 박은 향악기로도 사용되었던 것은 앞의 항목에서 언급하였다. 여섯 매의 나무판으로 만든 박은 통일신라 때부터 사용된 당악기의 하나였다. 잘룩한 몸통으로 만든 장고는 고려 전기의 향악에서 腰鼓 대신에 연주되었는데0795) 당악의 연주에서도 중요한 타악기로 사용되었다. 교방고는 네 다리로 만든 나무틀에 큰 북을 매달아 놓고서 북의 윗쪽을 두드려서 연주하는 타악기의 일종이었는데,0796) 주로 정재공연 때 사용되었다.
세로 잡고 부는 퉁소는≪악학궤범≫에서도 당악기의 하나로 분류되었는데,0797) 여덟 구멍 중 지공은 여섯 구멍이고 두 구멍은 虛孔이었다. 젓대처럼 가로 잡고 부는 적은≪악학궤범≫에서 당적이라고 했는데,0798) 여덟 구멍 중에 취구가 하나이고 지공이 일곱 개였다.≪악학궤범≫에 당피리로 적힌 피리는 향피리처럼 세로 잡고 부는 관악기인데,0799) 여덟 개의 지공 중 하나는 뒤에 뚫렸고 나머지는 앞에 뚫렸다.
네 줄로 된 비파는≪악학궤범≫의 당비파 도설에0800) 의하면 굽은 목을 지니고 있어서 곧은 목의 향비파와 외관상으로 구별되었는데, 이 당비파는 늦어도 문종 30년에 고려의 왕립음악기관에서 연주되었다. 일곱 줄의 아쟁과 열다섯 줄의 대쟁은 모두 가야금처럼 가로 뉘어놓고 연주하는 현악기인데,≪악학궤범≫의 도설처럼0801) 조선 전기의 아쟁 및 대쟁과 같았다.
≪고려사≫ 악지에 전하는 10종의 당악기 이외,≪고려사≫에 산견되는 당악기로 생·오현금·쌍현금·대고·篪·簫·塤이 있는데, 이 당악기들은 모두 예종 9년(1114) 송의 徽宗이 고려조정에 보낸 새 당악기였다.0802) ≪고려사≫ 食貨志에 笙業師의 녹봉이 규정된 것을 보면, 문종 30년 생은 당악기의 하나로 연주되었음이 분명한데,0803) 고려 후기에 이르러 생은 당악기에서 제외되었다.
0788) | 宋芳松, 앞의 책, 121∼138쪽. |
---|---|
0789) | ≪太宗實錄≫ 권 22, 태종 11년 12월 신축. |
0790) | ≪高麗史≫ 권 71, 志 25, 樂 2, 用俗樂節要. |
0791) | ≪高麗史≫ 권 80, 志 34, 食貨 3, 祿俸 太樂管絃房. |
0792) | ≪高麗史≫ 권 9, 世家 9, 문종 32년 6월 정묘. |
0793) | ≪高麗史≫ 권 70, 志 24, 樂 1. |
0794)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方響. |
0795)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杖鼓. |
0796)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敎坊鼓. |
0797)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洞簫. |
0798)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唐笛. |
0799)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唐觱篥. |
0800)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唐琵琶. |
0801) | ≪樂學軌範≫ 권 7, 唐部樂器圖說 大箏·牙箏. |
0802) | ≪高麗史≫ 권 70, 志 24, 樂 1. |
0803) | ≪高麗史≫ 권 80, 志 34, 食貨 3, 祿俸 太樂管絃房.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