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Ⅱ. 문화의 발달6. 음악4)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향방(1) 대성아악의 아악기와 악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1. 불교사상의 변화와 동향
          • 1) 무신정권기 불교계의 변화와 조계종의 대두
          • 2) 지눌의 사상
          • 3) 수선사의 성립과 전개
          • 4) 백련사의 성립과 전개
          • 5) 원의 정치간섭과 불교
          • 6) 임제종의 수입과 불교계의 동향
            • (1) 임제종 수입과 그 배경
            • (2) 임제선풍의 전개
          • 7) 대장도감과 고려대장경판
            • (3) 고려대장경의 판각
            • (4) 대장경판의 해인사 전래와 유통
        • 2. 성리학의 전래와 수용
          • 1) 신유학의 전래와 고려 사상계의 동향
          • 2) 주자성리학의 수용과 특징
          • 3) 불교와의 관계
        • 3. 풍수·도참사상 및 민속종교
          • 1) 풍수·도참사상
          • 2) 민속종교
            • (1) 무격의 성격과 역할
      • Ⅱ. 문화의 발달
        • 1. 과학과 기술
          • 1) 천문학
          • 2) 지리학과 지도
          • 3) 인쇄술과 제지기술
          • 4) 무기제조와 조선
          • 5) 그 밖의 산업기술
          • 6) 의약학과 생물학
        • 2. 문자와 언어
        • 3. 문학
        • 4. 역사학
          • 1) 각훈의≪해동고승전≫
          • 2)<동명왕편>의 역사인식
            • (2)<동명왕편>에 나타난 역사의식
          • 3) 일연과≪삼국유사≫
          • 4)≪제왕운기≫의 편찬
          • 5) 민지의≪본조편년강목≫
          • 6) 이제현의≪국사≫
          • 7) 기타 역사서의 편찬
          • 8) 고려 후기 역사서술의 특징
        • 5. 미술
          • 1) 건축
            • (3) 목조건축
          • 2) 석조물과 조각
            • (1) 석조물
            • (2) 조각
          • 3) 서화
            • (1) 회화
          • 4) 공예
            • (1) 도자공예
        • 6. 음악
          • 1) 왕립음악기관의 제도와 활동범위
          • 2) 향악
            • (1) 향악과 향악정재
            • (2) 향악기와 향악활동
          • 3) 당악과 당악정재
            • (1) 송의 교방악사와 당악정재
            • (2) 고려의 당악과 당악기
          • 4) 대성아악의 등장과 그 향방
            • (1) 대성아악의 아악기와 악현
          • 5) 고취악과 기악
            • (2) 기악과 잡기
        • 7. 무용과 연극
          • 1) 산대잡극
        • 8. 체육
        • 9. 민속
          • 1) 세시풍속
            • (1) 봄철의 세시풍속
            • (2) 여름철의 세시풍속
            • (3) 가을철의 세시풍속
            • (4) 겨울철의 세시풍속
          • 2) 민속놀이
            • (1) 예능적 내용
            • (2) 경기적 내용
            • (3) 유희적 내용
            • (4) 오락적 내용
        • 10. 의식주생활
          • 1) 의생활
          • 2) 식생활
            • (1) 곡물의 증산과 병과류의 기술증진
            • (2) 숭불환경과 차·채소음식·조면의 발달
            • (3) 고기음식과 유즙, 기타 찬물류
            • (4) 고려의 대외교류와 식생활
          • 3) 주생활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아악의 악현과 연주절차

 궁중의식을 거행할 때 일정한 규칙에 따라서 악기를 배열하는 것을 樂懸이라고 한다. 댓돌 위에 아악기를 배열하는 것을 등가악현이라고 하고, 댓돌 아래의 뜰에 아악기를 배치하는 것을 헌가악현이라고 부른다. 악현의 규모는 임금이 친히 참석해서 제사를 올릴 때와 그렇지 않을 때가 다르다. 고려시대 국왕이 친히 태묘에서 지내는 제사에 참석했을 때의 등가악현과 헌가악현은 다음의 <표 8> 및<표 9>과 같다.

<표 8>국왕 태묘제사 참석 때 등가악현 일람표0809)

<표 9>국왕 태묘제사 참석 때 헌가악현0810)

 국왕 대신에 신하가 태묘의 제사에 참석할 때에는 등가악현과 헌가악현이<표 8>과 <표 9>에서 보다 규모가 훨씬 작아진다. 즉 등가악현에서 歌工의 수가 6명에서 2명으로 줄고, 4개의 적이 2개로 감소된다. 헌가악현의 경우에 아홉 틀의 편종과 편경이 세 틀로 줄고, 12명의 가공이 4명으로 줄며, 14개의 슬이 4개로 각각 감소된다.0811)

 원구·사직·태묘·선농·선잠·문선왕묘의 제례의식절차는 대체로 서로 비슷한데, 모두 11가지의 절차로 구성되었다. 첫째 절차는 국왕이 제단에 들어와 손을 씻는 罍洗 또는 盥洗, 둘째는 제사를 받드는 신을 맞이하는 迎神, 셋째는 제단 위에 귀한 폐백을 차리는 奠幣, 넷째는 제물을 제단에 올리는 進饌 또는 進俎, 다섯째는 첫째 술잔을 올리는 初獻, 여섯째는 제사음식을 드리는 飮福, 일곱째는 둘째 술잔을 올리는 亞獻, 여덟째는 셋째 술잔을 올리는 終獻, 아홉째는 제단의 제물을 들어내는 徹籩豆, 열째는 신을 보내는 送神, 열한째는 제문을 불태우는 望燎이다.

 국왕이 직접 참석하는 제향은 원구와 태묘뿐이었고, 그 나머지 제향에는 참석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사직·문선왕묘·선농·선잠의 제례의식에서 첫째 절차인 뇌세 또는 관세가 빠졌다. 헌가악이 연주되는 의식절차는 뇌세·영신·진조·아헌·종헌·송신·망료, 이상 일곱 절차였고, 등가악이 연주되는 의식절차는 전폐·초헌·음복·철변두 이상 네 절차였다.

 제향의 의식절차에 따른 등가악과 헌가악의 연주절차는 원구·사직·태묘·선농·선잠·문선왕묘 모두가 대체로 같았지만, 연주곡명은 서로 달랐다. 태묘의 경우에 뇌세절차에서는 定安之曲이, 영신에서는 興安之曲이, 전폐에서는 順安之曲이, 철변두에서는 恭安之曲이, 송신에서는 永安之曲이 각각 헌가와 등가에서 연주되었다.0812)

절 차 주 악 아악곡명 악곡의 중심음 일 무 비 고
뇌 세

영 신

관 창

진 조

초 헌

음 복

아 헌

종 헌

철변두

송 신
헌 가

헌 가

등 가

헌 가

등 가

등 가

헌 가

헌 가

등 가

헌 가
정안지곡

흥안지곡

순안지곡

풍안지곡

제실지곡

희안지곡

무안지곡

무안지곡

공안지곡

영안지곡
무역궁

황종궁 3성 대려 태주 응종 각 2성

협종궁


무역궁


무역궁

무역궁

협종궁

황종궁
문 무

문 무

교 체

무 무
헌가에서 崇安之曲

<표 10>국왕 태묘 참석 때 연주 아악곡

 윗 <표 10>의 태묘 초헌절차에서 諸室之曲이란 종묘의 각 실에 모신 역대 국왕의 樂章을 의미한다. 각 실의 악장은 한문으로 된 4언절구의 8구로 구성되었는데, 각 악장의 내용은 역대 국왕의 치적을 찬양한 것이다.

 대성아악이 소개되었던 예종 11년에 제정된 태묘악장은 正聲과 中聲이 구별되었지만, 14세기 중엽부터는 정성과 중성의 구별이 없어졌다. 공민왕 12년(1363) 5월에 9실의 신주를 태묘에 다시 모시고 새로 지은 악장의 일부가 태조 제1실의 악장인데, 정성과 중성의 구별이 없다.

0809)≪高麗史≫ 권 70, 志 24, 樂 1, 雅樂 親祠登歌軒架 登歌.
0810)≪高麗史≫ 권 70, 志 24, 樂 1, 雅樂 親祠登歌軒架 軒架.
0811)≪高麗史≫ 권 70, 志 24, 樂 1, 雅樂 有司攝事登歌軒架.
0812)≪高麗史≫ 권 60, 志 14, 禮 2, 吉禮大祀 太廟·권 61, 志 15, 禮 3, 太廟 및 권 70, 志 24, 樂 1, 雅樂 登歌軒架樂迭奏節度.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