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5권 조선 후기의 문화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2. 실학의 발전2) 실학사상의 전개(2) 정치개혁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1. 성리학
          • 2) 인물성논쟁의 쟁점과 전개
          • 3) 경학의 심화
          • 4) 의리론의 전개
          • 5) 유기론과 유리론의 대두와 쟁점
        • 2. 양명학
          • 1) 양명학의 이해
        • 3. 천주교의 수용과 전파
          • 1) 천주학과 보유론적 천주신앙
          • 2) 천주신앙 실천과 초기교회의 발전
          • 3) 천주교박해와 지하교회로의 발전
          • 4) 역사적 변인으로서의 조선천주교
        • 4. 불교계의 동향
          • 1) 승단내의 수학경향
          • 5) 국가적 활동
        • 5. 민간신앙
          • 1) 도교·도참신앙
          • 2) 기타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1. 학술의 진흥
          • 3) 규장각의 학술활동
            • (1) 설치와 조직
            • (2) 학술활동
        • 2. 실학의 발전
          • 1) 실학사상의 성립
            • (1) 실학개념의 정립
            • (2) 실학사상의 형성 배경
          • 2) 실학사상의 전개
            • (2) 정치개혁론
            • (3) 대외인식과 역사관의 변화
            • (4) 경제·사회사상의 특성
          • 3) 실학의 연구과정과 성격
            • (1) 연구의 전개과정에 대한 검토
        • 3. 국학의 발달
          • 1) 국어학
          • 2) 언어학
            • (3) 근대국어의 변화
          • 3) 지리학
            • (1) 지리학 발달의 배경
            • (2) 공간관의 변화와 지도학의 발달
            • (3) 지역연구와 계통지리학의 발달
            • (4) 자연지리학의 발달과 환경에 대한 인식
          • 4) 역사학의 발달
          • 5) 백과전서학의 발달
        • 4. 과학과 기술
          • 1) 조선 후기의 전통 과학기술
          • 2) 실제 과학기술의 발달상태
          • 3) 근대 과학기술의 수용-실학과 과학기술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1. 문학
          • 1) 국문시가와 한시
            • (1) 시조
            • (2) 가사
          • 2) 서사문학
            • (1) 한문소설
            • (2) 국문소설
        • 2. 미술
          • 1) 회화
            • (2) 새로운 화법의 수용과 전개
          • 2) 서예
          • 3) 조각
            • (1) 홍성기의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목칠공예
          • 5) 건축
        • 3. 음악
          • 1) 궁중음악의 변천과 새 경향
          • 2) 민속악과 민간풍류의 새로운 전통
            • (1) 성악의 발전
            • (2) 기악의 발전
          • 3) 악조와 음악양식 및 기보법
            • (3) 악보와 기보법의 변천
        • 4. 무용·체육 및 연극
          • 1) 무용
            • (1) 궁중무
            • (3) 민속무
          • 2) 체육
            • (1) 편사
          • 3) 연극
            • (1) 산대나희
            • (4) 민속극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정치개혁론
가. 권력구조 개편론

 조선 후기 실학에서는 성리학적 왕도정치론에 의해 조선왕조를 유지하려 했던 성리학적 지도이념에 대항하여 삼대의 왕도정치론적 경세론이 상대적으로 더 중요함을 주장했다. 그들은 원초유학적 왕도정치론을 부연하는 차원에서 부국강병론적 정치개혁론을 전개해 나갔다. 그리고 왕권을 사회의 중심축으로 삼아 개혁의 주도권을 왕실 혹은 중앙정부에서 장악해야 함을 주장하던 쪽이었다. 그들은 지방의 사족이나 벌열이 아니라 왕권에서 사회개혁의 추진력을 구하고자 했다. 그러므로 실학사상은 근본적으로 왕실중심론 내지 왕권강화론의 성격을 나타내고 있었다.439)

 그들의 정치개혁론은 중세사회 해체기 왕권의 약화를 꾀하는 시도가 집요하게 전개되던 상황에서 제시된 것이었다.440) 그러므로 실학자들이 제기한 왕권의 주도적 역할을 전제로 한 개혁론이나 왕권강화에 관한 직접적 주장은 당시의 정치현실에 대한 비판을 함축하고 있었다. 그러나 실학자들은 새로운 사회세력의 발흥을 예견하거나 파악하지 못했고, 이 왕조의 현실을 개혁하기 위해서 기존 체제의 일부인 왕권에서 그 추진력을 구하려 했다. 이것은 실학자들의 발상이 지닌 한계를 보여주는 것이었다. 그리고 이로 인해서 실학사상이 근대적 정치사상으로 작용하는 데에는 문제점을 갖게 되었다.441)

 실학자들이 왕정을 실현할 추진력으로 군주의 위치를 강조한 예는 유형원에게서 확인된다.

仁主가 뜻을 세우지 않으면 만사는 본래 말할 것이 없다. 과연 人主가 학문이 밝고 뜻을 정했다면…스스로 실효를 거두게 될 것이다(柳馨遠,≪磻溪隨錄≫권 10, 敎選之制 하 貢擧事目).

 그는 군주의 일심을 강조했다. 이익의 경우에도 군주의 일심을 중요시하여 “나라의 治亂은 군주의 一心에 달려 있다”고 하면서 정치의 주체를 군주에 설정했다.442) 이와 같은 발상에서 홍대용은 국왕이란 단순히 군림하거나 상징적인 존재가 아니라 실제로 통치하고 최고의 권력을 행사하는 강력한 존재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했다.443) 정약용은 “仁主의 一心이 바로 잡히면 백관과 만민이 함께 運化하게 된다”고 말했다.444) 정약용의 경우에도 개혁의 가장 기본적 원동력을 왕권에서 구하고자 했다.

 이처럼 실학자들은 권력구조에 있어서 왕권의 중요성을 강조해 왔다. 실학자들이 주장했던 왕도정치론은 왕권을 국가통치의 핵심으로 설정하려던 국왕의 입장에서도 적극적으로 수용할 여지가 있었다. 그런데 영조·정조년간에는 국왕이 모든 신민은 자신의 赤子임을 강조하던 ‘均是赤子論’이 제시되었고, 서민 위에 국왕과 사족을 배치하려는 사족측의 주장에 대항하여 국왕 자신을 우위에 놓고 귀족과 서민을 동렬에 두려던 왕권강화론이 제기되고 있었다. 이러한 정치적 분위기에서 군주의 일심에 기대를 거는 실학자들의 정치사상이 강화될 수 있었다.

 여기에서 우리는 왕도정치론과 밀접한 관계를 맺으며 권력구조 및 관료제 개혁론이 제기되고 있는 사실을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예를 우리는 이익이나 홍대용 그리고 정약용의 경우를 통해서 확인하게 된다. 이들이 제시하고 있는 권력구조 개혁론의 내용을 간략히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다.

 이익은 주자의 왕도론과 달리 새로운 왕도정치론의 전개를 시도하며, 刑政과 같은 외재적 규율을 주요 통치수단으로 하는 覇道까지도 인정하여 이른바 王覇竝用論을 수용하였다. 이것은 계속되는 換局의 결과 정국운영을 독주하였던 노론의 전횡에 따른 폐단을 제거하고 새로운 정치체제를 구축할 의도에서 제기된 것이었다.

 권력구조 개편론은 18세기 홍대용에 의해 다시 제기되었다. 홍대용은 왕조체제의 정당성이나 왕의 존재에 대해 아무런 의문을 가지지 않았고, 왕권의 강화에 찬성하고 있었다. 그는 국왕이 법제적으로 뿐만 아니라 실질적으로 관리에 대한 임면권을 장악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또한 그는 종래 왕권을 견제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었던 諫官制度의 혁파를 강조하였고, 왕권강화를 위해 왕위는 長子相續의 원칙에 따라 계승되어야 한다고 하면서 국왕에 대한 백성의 충성을 특히 강조했다.

 19세기의 대표적 실학자 정약용의 경우에도 그의 一表二書를 통해 군주권의 절대성과 우월성을 내용으로 하는 왕권강화론을 제시했다. 그는 벌열이 권력을 장악하고 정치를 전횡하던 상황에서 국가의 공권력 회복을 위해서 왕권의 절대성을 강조했다. 그러나 그가 주장하는 왕권은 공권력을 대표하는 권위의 상징일 뿐으로 절대왕정과는 거리가 멀었으며, 영·정조대 탕평정책에서 추진되었던 왕권강화책과도 일정한 거리가 있었다. 정약용은 국왕이나 관료가 공적 관료기구를 통한 권력행사를 가장 이상적인 것으로 파악했다.

439)정약용의 초기 저작인<蕩論>·<原牧>을 검토해 보면 民의 정치적 권력을 인정한 측면도 있었다(趙 珖,<丁若鏞의 民權意識硏究>,≪亞細亞硏究≫56, 1976;林熒澤,<茶山의 ‘民’主體 政治思想의 이론적·현실적 근저>,≪茶山의 政治經濟 思想≫, 창작과 비평사, 1990). 정약용에게서 나타난 民에 대한 인식은 그를 전후한 실학자들과 구별되는 면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인식은 초기의 저작들에게서 나타난 것이었고, 후기에 이르러 자신이 대표적 개혁서로 내세우는 一表二書의 단계에서는 보다 현실적인 개혁론을 제시하면서 왕권을 개혁의 주체로 삼고자 하는 노력을 집중적으로 전개했다.
440)국가사회에서 사족의 위치를 상대적으로 강화하려던 구체적 사례는 禮訟의 과정에서도 확인된다. 禮訟에서는 王室喪事를 公家之禮나 私家之禮 중 어느 것으로 해석할 것인가가 주된 문제였다. 이는 국왕과 사족의 禮가 同禮인지 異禮인지에 관한 문제이기도 했다. 왕실의 권위를 지지하는 입장에서는 이를 公家之禮와 異禮로 보고자 했다.
441)金泰永, 앞의 글, 315쪽.
442)李 瀷,≪藿憂錄≫1, 經筵.
443)趙 珖,<洪大容의 政治思想 硏究>(≪民族文化硏究≫14, 1979), 68∼79쪽.,
444)丁若鏞,≪與猶堂全書≫1-16권, 詩文集, 自撰墓地銘.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