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문화사 제3장 조선 성리학의 정치 이념과 갈등

3. 성리학적 사회 사상의 확산

[필자] 조성산

앞서 『대학연의』의 편찬과 이해 과정이 집권 주체 내부에서 성리학의 경세 사상(經世思想)을 확립하기 위한 과정이었다면, 각종 윤리서(倫理書)의 편찬과 보급은 조선 사회 내부를 근저(根底)에서 변화시키기 위한 사상 방면의 노력이었다. 성리학을 국가 이념으로 확립한 조선 왕조는 정치 운영의 변화와 함께 사회 운영에도 변화를 모색하였다. 불교적인 사회 분위기를 일신하고 원활한 국정을 운영하기 위해서는 윤리관과 인간관의 본질적인 변화가 수반되어야 하였는데, 이는 조선 초기 윤리서 편찬의 중요한 배경이 되었다.

[필자] 조성산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