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Ⅱ. 신석기문화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2) 신석기시대의 유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화석인골의 몇 가지 특징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1) 생계경제
            • (2) 구석기시대의 주거지
            • (3) 구석기의 도구제작
            • (4) 구석기시대의 사회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비교와 문제점
          • 2) 일본
            • (1) 한반도와 일본의 자연환경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3) 시베리아
            • (1) 구석기유적의 발견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 (2) 연구사 개관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1) 인골의 인류학적 연구
            • (2) 인골의 해부학상 형태 비교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조개더미
            • (3) 무덤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예술품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교역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1)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영역구분과 지역성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1) 신석기문화의 이동
            •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 (2) 서포항 Ⅰ∼Ⅲ기층 당산유적과 소주산 중·하층, 오가촌기
            • (3) 쌍학리유적, 서포항 Ⅳ기층과 소주산 상층기
            • (4) 신암리 Ⅰ기층, 농포·호곡동 Ⅰ기층과 우가촌 하층기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조개더미

 조개더미유적은 수렵·어로·채집에 의하여 생계를 유지해 오던 선사시대의 주민들이 식량으로서 채집한 조개류를 먹고 버린 조가비가 쌓여 이루어진 퇴적층유적이다. 조개더미유적내에는 많은 종류의 조개류가 확인되고 있으나 그 중에서도 큰 굴껍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굴이 신석기인들의 주된 식량으로 이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외에도 선사인들이 잡아 먹은 동물이나 물고기의 뼈 등과 함께 실생활에서 사용하다 못쓰게 되어 버린 토기와 석기를 비롯하여 뼈·뿔연모들이 섞여 있어 당시의 쓰레기장으로 보기도 한다.

 한편 조개더미유적의 주변에서는 집자리와 매장유구가 대규모로 조사되고 있어 선사시대의 문화와 자연환경 등을 종합적으로 연구하는데 있어 가장 중요한 유적이 된다.

 한반도에서는 주로 함경북도 동해안과 남해안 및 서해안가와 그 주변의 도서지방에 분포되어 있는데 유적별로 살펴보면 다음 표와 같다.

조개더미유적 일람표

유 적 명 참 고 문 헌 비 고
慶興 造山洞 藤田亮策,≪朝鮮古跡及遺物≫(1924)  
海山九味 八木奘三郞,≪朝鮮咸鏡北道石器考≫(1938)  
羅津 羅津洞 藤田亮策, 앞의 글(1924)  
雄基 西浦項洞 김용간·서국태,<서포항 원시유적 발굴보고>(≪고고민속론문집≫ 4, 1972) 집터유적·무덤유적
松坪洞 藤田亮策,<櫛目文樣土器の分布に就きて>(≪靑丘學叢≫, 1930)  
龍水洞 황기덕,<함경북도지방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1)>(≪문화유산≫ 1957-1) 14구의 인골출토
富寧 梨津洞 藤田亮策,≪朝鮮考古學≫(1942)  
茂山 城山 利田雄治,<朝鮮の先史時代に就いて>(≪考古學雜誌≫ 4-5, 1914)  
淸津 農圃洞 橫山將三郞,<油坂貝塚に就いて>(≪小田先生頌壽記念朝鮮論集≫, 1934)  
鏡城 元帥臺 렴주태,<함경북도에서 새로 알려진 유적과 유물>(≪고고민속≫ 1965-2)  
鶴城 雙浦洞 藤田亮策, 앞의 글(1924)  
城津 幸町 有光敎一,≪朝鮮櫛目文樣土器の硏究≫(1962)  

1. 동북지방

유 적 명 참 고 문 헌 비 고
定州 大山里 차달만,<당산 조개무지유적 발굴보고>(≪조선고고연구≫ 1992-4)  
龍岡 弓山里 도유호·황기덕,<궁산 원시유적 발굴보고>(≪유적발굴보고≫ 2, 1957) 집터유적(5기발견)
龍磻里 鳥居龍藏,<平安南道·黃海道古蹟調査報告書> (≪大正五年度古蹟調査報告≫, 1917)  
延白 鶴月里 리원근,<황해도 북부지방 유적답사보고>(≪문화유산≫ 1961-6)  
長淵 夢金浦里 朝鮮總督府,≪大正五年度古蹟調査報告≫(1917)  
海州 龍塘洞 리원근,<해주 용당포 조개무지유적 조사보고>(≪고고민속≫ 1963-1)  
甕津 白翎島 崔夢龍 外,<白翎·延坪島의 櫛文土器遺蹟>(≪韓國文化≫ 3, 1982)  
延坪島 崔夢龍 外, 위의 글

任孝宰·李俊貞,<白翎島 新石器時代 貝塚에 대하여>(≪韓國考古學報≫ 31, 1994)
 
長峰島 任孝宰,<韓國西海中部島嶼의 櫛文土器文化>(≪考古學≫ 2, 1969)  

2. 서북지방

유 적 명 참 고 문 헌 비 고
甕津 矢島 韓炳三,≪矢島貝塚≫(1970) 돌무덤 1기 발견
德積島 韓永熙·安承模,<서해도서지방의 지표조사(1)>(≪中島≫ Ⅳ, 1983)  
蘇爺島           〃  
掘業島           〃  
靈興島 池健吉·安承模,<서해도서지방의 지표조사(2)>(≪中島≫ Ⅴ, 1984)  
仙才島           〃  
大阜島           〃  
昇鳳島 金載元·尹武炳,≪韓國西海島嶼≫(1957)  
任孝宰,<韓國西海中部島嶼의 櫛文土器文化>(≪考古學≫ 2, 1969)  
堂島 任孝宰, 위의 글  
毛伊島 任孝宰, 위의 글  
崔夢龍,<소부도 소재 신발견의 피총과 기 출토유물>(≪한국고고≫ 2, 서울大)  
信島 金元龍,≪韓國史前遺蹟遺物地名表≫(1965)  
江華 牛島 손보기,<서해안 우도의 선사문화>(≪博物館紀要≫ 3, 1987)  
東幕洞 任孝宰, 앞의 글  
始興 烏耳島 서울大博物館,≪烏耳島貝塚≫(1988)  
草芝里 金元龍,<草芝里(別望)貝塚發掘調査報告書> (≪韓國考古學報≫ 7, 1979)  
仁川 龍游島 林炳泰 外,≪수도권공항건설지역 문화유적지표조사보고서≫(仁荷大 博物館, 1994)  
小舞衣島 韓永熙·安承模, 앞의 글  
泰安 安眠島 漢陽大博物館,≪安眠島古南里貝塚≫-1次發掘調査報告書(1990)  
―――,≪安眠島古南里貝塚≫-2次發掘調査報告書(1991)  
保寧 元山島里 國立扶餘文化財硏究所,≪西海岸島嶼地域貝塚地表調査Ⅰ≫(學術硏究叢書 9, 1994)  
群山 飛鷹島 群山大博物館,≪群山市의 文化遺蹟≫(群山大 博物館學術叢書 2, 1995)  
노래섬 全北大博物館,≪群長國家工團造成地域地表調査報告書≫(1993)  
駕島 忠南大博物館,≪群山駕島A貝塚發掘調査略報告≫(1994)  
筽篒島 群山大博物館, 앞의 책(1995)  

3. 중서부지방

유 적 명 참 고 문 헌 비 고
新安 大黑山島 金元龍·任孝宰,≪南海島嶼考古學≫(東亞文化硏究所, 1968)  
小黑山島           〃  
下苔島 崔盛洛,<黑山島地域의 先史遺蹟>(≪島嶼文化≫ 6, 목포대 도서문화연구소, 1988)  
荏子島 崔夢龍,<荏子島의 先史遺蹟>(≪古文化≫ 20, 1985).  
智島 崔盛洛,<智島의 先史遺蹟>(≪島嶼文化≫ 5, 1988)  
於義島 崔盛洛,<西南海島嶼地方의 先史文化>(≪島嶼文化≫ 7. 1990)  
押海島 李榮文,<新安押海島의 先史文化>(≪鄕土文化≫ 7, 1982)  
務安 鳥島 崔盛洛,<鳥島의 遺蹟과 遺物>(≪島嶼文化≫ 2, 1984)  
光陽 烏沙里 張明洙,<蟾津江下流의 貝塚文化>(≪古文化≫ 34, 韓國大學博物館協會, 1989)  
沃溝 仙遊島 金元龍,<新石器文化-各地方의 土器·石器·骨角器>(≪한국사≫ 1, 국사편찬위원회, 1973)  
麗川 突山松島 국립광주박물관,≪突山松島≫Ⅰ·Ⅱ(국립광주박물관 학술총서 19·21, 1989·1990)  
安島 趙現鍾 外,<麗川郡 島嶼地表調査報告>(≪突山 世救地遺蹟≫, 國立光州博物館學術叢書 27, 1994)  
蔚州 無龍里 有光敎一,≪朝鮮櫛目文土器の硏究≫(1961)  
蔚山 新岩里 국립중앙박물관,≪新岩里≫Ⅰ·Ⅱ(고적조사보고 20·21, 1988·1989)  
金海 農所里 金龍基,<農所里貝塚發掘調査報告>(≪釜山大論文集≫ 6, 1965)  
良洞里 朴敬源,<慶尙南道史前遺蹟遺物地名表>(≪考古美術≫ 2-4, 1961)  
水佳里 釜山大 博物館,≪金海水佳里貝塚≫Ⅰ(1981)  
竹谷里 鄭澄元,<金海地方의 櫛文土器文化>(≪又軒丁仲煥博士還曆紀念論文集≫, 1974)  
統營 鶴林里 金東鎬,<韓國東南海島嶼の先史土器とその文化>(≪考古學ジャ-ナル≫ 183, 1980)  
牛島 李東注,<南海島嶼地方의 先史文化資料(1)>(≪考古歷史學志≫ 8, 東亞大, 1992)  
蓮花島           〃  
佐沙里島           〃  
國島           〃  
頭尾島           〃  
納島           〃  
葛島           〃  
下老大島           〃  
上老大島

(上里)
손보기,≪상노대도의 선사시대 살림≫(1982)  
東亞大博物館,≪上老大島≫(1984)  
上老大島

(山登)
金東鎬·朴九秉,≪山登貝塚≫(釜山水産大博物館, 1989) 무덤유적
煙臺島 韓永熙·任鶴鍾, <煙臺島조개더미 斷崖部 Ⅱ>(≪韓國考古學報≫ 26, 1991) 돌무지무덤유적
국립진주박물관,≪煙臺島≫Ⅰ(1993)  
欲知島 국립진주박물관,≪欲知島≫(1989) 돌무지무덤유적
泗川 舊坪里 단국대 중앙박물관,≪사천 구평리유적≫(1993)  
河東 牧島里 張明洙,<蟾津江下流의 貝塚文化>(≪古文化≫ 34, 1989)  
錢島里           〃  
巨濟 山達島 鄭澄元,<山達島貝塚 遺物에 대한 一考察>(≪釜山大文理大論文集≫ 1, 1978)  
釜山 栗里 金廷鶴·鄭澄元,≪金谷洞 栗里貝塚≫(釜山大 博物館, 1980) 바위그늘집터
朝島 韓炳三·李健茂,≪朝島貝塚≫(1976)  
東三洞 及田民次郞,<南朝鮮牧ノ島東三洞貝塚>(≪考古學≫ 4-5, 1931) 돌무덤유구 발견
橫山將三郞,<釜山絶影島東三洞貝塚報告>(≪史前學雜誌≫ 5-4, 1933)  
Sample, L. L., Tongsamdong:A Contribution to Korean Neolithic Culture History, Arctic Anthropology Ⅺ-2, 1974  
瀛仙洞 有光敎一,≪朝鮮釜山瀛仙洞町の貝塚に就いて≫ 51-2, 1936)  
岩南洞 有光敎一,<釜山岩南洞貝塚>(≪朝鮮學報≫ 36, 1965)  
多大浦 金龍基,<多大浦貝塚發掘調査報告>(≪釜大史學≫2, 1971)  
北亭 釜山水産大博物館,≪北亭貝塚≫(1993)  
凡方 金東鎬, 앞의 글(1980) 토장묘 1기, 화덕자리 1기, 간돌로 만든 둥근 집석유구 7기
河仁秀,<凡方貝塚 發掘調査成果>(≪韓日新石器文化의 諸問題≫, 釜山大 博物館, 1993)

釜山直轄市立博物館,≪凡方貝塚≫Ⅰ(1993)
濟州 北村里 李淸圭,≪北村里≫Ⅰ(濟州大 博物館, 1988)  

4. 남부지방

 서포항과 궁산유적은 집터도 함께 발견되었는데 두 유적 모두 폐기된 집터의 구덩이를 쓰레기장으로 이용한 조개더미가 형성되어 있어 조개더미와 취락의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되고 있다.

 상노대도와 욕지도 및 연대도유적에서는 조가비층에서 인골이 남아 있는 매장유구가 발견되어 지금까지 분명히 밝혀지지 않았던 신석기시대의 매장풍습과 아울러 신석기인들의 형질인류학적 연구에도 실마리를 제공하게 되었다.

 또한 서포항과 동삼동유적은 신석기시대의 전시기에 걸쳐 형성된 대규모의 조개더미유적으로서 각각 한반도의 동북지방과 남해안지방의 신석기문화의 편년을 설정하는데 기준이 되는 자료를 제공해 준 유적으로 중요하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