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Ⅱ. 신석기문화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1) 생업(1) 수렵·어로·채취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1. 구석기시대
          • 1)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구석기시대의 개념
            • (2) 구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2) 구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제4기의 지질과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화석인골과 편년
            • (1) 편년별 화석인골
            • (2) 화석인골의 몇 가지 특징
        • 2. 구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구석기유적의 분포
            • (1) 남한의 구석기유적
            • (2) 북한의 구석기유적
            • (3) 집자리 복원
          • 2) 구석기시대의 유물
            • (1) 유물의 분류
            • (2) 전기 구석기
            • (3) 중기 구석기
            • (4) 후기 구석기
        • 3. 구석기시대의 생활
          • 1) 생업과 의식주생활
            • (1) 생계경제
            • (2) 구석기시대의 주거지
            • (3) 구석기의 도구제작
            • (4) 구석기시대의 사회생활
          • 2) 의식과 예술
            • (1) 예술작품
            • (2) 의식
        • 4. 주변지역 구석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시기별 구석기문화
            • (2) 비교와 문제점
          • 2) 일본
            • (1) 한반도와 일본의 자연환경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3) 시베리아
            • (1) 구석기유적의 발견
            • (2) 전기 구석기시대
            • (3) 중기 구석기시대
            • (4) 후기 구석기시대
            • (5) 한국과의 비교
      • Ⅱ. 신석기문화
        • 1. 신석기시대
          • 1) 신석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시대설정
            • (2) 연구사 개관
            • (3) 시기구분
          • 2) 신석기시대의 자연환경
            • (1) 후빙기의 자연환경
            • (2) 식물상과 동물상
          • 3) 인골의 출토
            • (1) 인골의 인류학적 연구
            • (2) 인골의 해부학상 형태 비교
        • 2. 신석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신석기유적의 분포
            • (1) 유적분포의 특성
            • (2) 주요 신석기유적
          • 2) 신석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조개더미
            • (3) 무덤
          • 3) 신석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와 뼈연모
            • (3) 예술품
        • 3. 신석기시대의 생업과 사회
          • 1) 생업
            • (1) 수렵·어로·채취
            • (2) 농경과 목축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교역
            • (3) 의식·신앙 및 예술
            • (4) 의식주
        • 4. 주변지역 신석기문화와의 비교
          • 1) 한반도 신석기문화의 영역구분과 지역성
          • 2) 동아시아 신석기문화의 이동
            • (1) 신석기문화의 이동
            • (2) 남해안계와 규슈지역의 신석기문화
          • 3) 서북한·동북한지역과 요동반도의 신석기문화
            • (1) 미송리 하층과 후와 하층
            • (2) 서포항 Ⅰ∼Ⅲ기층 당산유적과 소주산 중·하층, 오가촌기
            • (3) 쌍학리유적, 서포항 Ⅳ기층과 소주산 상층기
            • (4) 신암리 Ⅰ기층, 농포·호곡동 Ⅰ기층과 우가촌 하층기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수렵·어로·채취
가. 수렵

 구석기시대와는 달리 사냥대상이 중소형 짐승이나 바다짐승, 날짐승으로 바뀌면서 사냥도구도 활과 화살이 중요하게 쓰인다. 활과 화살은 이미 구석기시대 말기부터 나타나기 시작하나 신석기시대에 들어서 형태가 정형화되고 종류와 양도 증가되었다. 화살은 직접 동물에 접근하지 않아도 먼 거리에서 사냥할 수 있으며, 날쌘 짐승과 나는 새도 잡을 수 있어 사냥의 대상을 확대시켰다.

 신석기시대 동굴유적과 패총에서 발견된 동물뼈로 보면 당시에 잡힌 포유류는 20여 종이 알려져 있다.656) 먼저 뭍짐승을 보면 우제목동물로는 사슴·노루·고라니·누렁이 등의 사슴과동물과 멧돼지·사향노루·산양·물소 등이, 식육목동물로는 오소리·산달·수달·곰·늑대·여우·범·표범·삵괭이 등이 있으며, 이 밖에 토끼와 각종 쥐가 있다. 물론 이러한 동물들이 모두 식료로 이용되었다는 증거는 없다. 산달·수달·오소리 등의 족제비과동물은 털과 가죽을 얻기 위해 잡았을 가능성도 있으며 쥐과는 사냥과 관계없이 유적에 매몰되었을 수도 있다.

 이들 뭍짐승 가운데 각종 사슴과동물과 멧돼지가 차지하는 비중이 압도적이며 거의 모든 유적에서 고루 출토되고 있는 반면, 나머지 동물들은 전체 동물수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도 되지 않은 경우가 많아 식량감으로는 별 관심을 끌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노루는 동북지방에서 많이 잡히는데 서포항유적에서는 뼈수 40%, 최소 마리수 30%, 농포유적에서는 뼈수 42.5%, 최소 마리수 33.3%로 가장 많이 잡힌 짐승이며, 서해안의 궁산, 남해안의 구평리유적에서도 발견되나 소량이다. 복작노루라고도 불리는 고라니는 서부와 남부의 구릉성 저지대에서 주로 잡힌다. 궁산유적657)에서는 뼈수에서는 25.2%로 두번째, 최소 마리수에서는 41.6%로 가장 많이 잡힌 짐승이며, 동삼동유적에서도 뭍짐승 가운데서는 사슴 다음으로 많이 잡혔다. 사슴은 북부 내륙의 고지대를 제외한 전국에 분포하고 있다. 특히 궁산유적에서는 턱뼈만도 100여 점이 출토되면서 뼈수 47.3%, 최소 마리수 29.9%로 가장 많은 고기를 공급하고 있으며,658) 상노대도·수가리·구평리·연대도 등의 남해안유적에서도 그러하다. 누렁이는 북부와 동북부에서만 발견되고 있는데 서포항유적에서는 뼈수 25.9%, 최소 마리수 18.3%, 농포유적에서는 뼈수 32.2%, 최소 마리수 16.7%로 노루 다음으로 많이 잡힌 짐승이다.

 멧돼지도 전국적으로 분포하고 있는데, 특히 동북 내륙지방인 호곡동유적에서는 뼈수 38.6%, 최소 마리수 19.9%를 차지하고 있으며, 다른 유적들에서도 주된 사냥감이다. 멧돼지는 사슴과짐승에 비해 사냥이 힘드나 고기무게가 많이 나가고 고기질도 좋아 당시 신석기인들에게는 귀중한 식량자원이었다. 사슴과와 멧돼지 외에 호곡동유적에서 사향노루가 최소 마리수 18.5%, 곰이 최소 마리수 14.81%를 차지하여 주목되나, 다른 유적에서는 거의 출토되지 않는다.

 신석기인들은 바다짐승에도 눈을 돌려 동·남해안의 패총유적에서는 바다표범·물개·바다사자·돌고래·고래 등의 기각목과 고래목의 바다짐승뼈가 상당량 검출되고 있다. 서포항유적에서는 바다짐승이 차지하는 비중이 마리수에서 10%가 넘으며 특히 바다사자·바다표범·물개가 많이 출토되고 있다. 동삼동유적에서는 고래와 바다사자가 사슴 등의 뭍짐승보다도 많이 잡히고 있으며, 상노대도유적에서도 고래·바다사자·물개가 차지하는 비중이 크다. 이들 바다짐승, 특히 고래와 돌고래는 해변으로 떠밀려 온 것을 잡았을 것으로 보고 있으나, 바다짐승뼈가 전체 짐승뼈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 바다짐승을 잡을 수 있는 대형 작살의 존재, 한일간의 교류에서 추론되는 배의 존재 등으로 미루어 일부는 외해에서 잡았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날짐승도 중요한 사냥대상이었으며 특히 꿩이나 오리가 많이 발견된다. 그러나 새뼈는 뭍짐승이나 바다짐승에 비해 보존이 어렵고 분석된 유적 또한 극히 드물다. 동삼동에서는 까마귀·매·솔개·황오리·검은머리 휜죽지·검둥오리·가마우지·슴새·농병아리·바다쇠오리·꿩 등 14종의 새가 확인되었으나 이 가운데 검둥오리·가마우지·농병아리만이 출토빈도가 높다. 이것들은 대부분 우리 나라에서 월동하는 철새로 바위터에 군집하고 있어 새알을 채집하기도 용이하다.

 짐승을 사냥하는데 쓰인 도구로 유적에서 발견되는 것으로는 화살촉과 창끝·찔개살이 있고 바다짐승에는 작살도 사용되었을 것이다. 신석기유적에서 주로 출토되고 있는 사슴과 짐승을 잡기 위해서는 화살이 효율적인 사냥수단이다. 화살촉의 경우 동북지방과 남해안에서는 각혈암과 흑요석을 이용한 타제석촉과 사슴뼈를 다듬은 골촉이 주로 사용되나 서해안에서는 마제석촉이 많이 출토되고 있다. 동북지방의 서포항유적 1기층에서는 멧돼지의 다리뼈에 각혈암으로 만든 타제석촉이 박혀 있어 석촉의 위력을 알 수 있다.659)

 그러나 신석기시대 수렵의 중요성에 비해서 사냥용 도구들이 각 유적에서 출토되는 양이 그리 많지 않기 때문에 민속학적 예를 감안하면 나무창과 올가미·덫·그물·함정 등의 사냥수단도 많이 사용되었을 것이며 사냥감의 종류에 따라 포획방법과 기술도 달랐을 것이다.

 끝으로 짐승을 잡고 해체 분해하는 과정과 방법은 일정한 절차에 따라 기술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이 동물뼈에 남아 있는 자른 자국을 검토한 결과 밝혀졌다.660)

656)김신규,<농포원시유적의 동물유골에 대하여>(≪문화유산≫1962-2,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44∼60쪽.

―――,<무산 범의구석 원시유적에서 나온 짐승뼈에 대하여>(≪고고민속≫1963-4, 고고학 및 민속학연구소), 11∼20쪽.

―――,<우리 나라 원시유적에서 나온 포유동물상>(≪고고민속론문집≫2, 사회과학출판사, 1970), 73∼146쪽.

―――,<선봉 서포항원시유적에서 드러난 짐승뼈에 대하여>(≪조선고고연구≫1990-3, 사회과학출판사), 13∼18쪽.

단국대 중앙박물관,≪사천 구평리유적≫(단국대 중앙박물관, 1993).

도유호,≪궁산 원시유적 발굴보고≫(과학원출판사, 1957).

손보기,≪상노대도의 선사시대살림≫(수서원, 1982).

안덕임,<한국선사시대 식생활-동물성식료>(≪東아시아食生活學會誌≫ 3-2, 1993), 189∼198쪽.

韓永熙·任鶴鍾,<煙臺島조개더미 斷崖部 II>(≪韓國考古學報≫26, 韓國考古學會, 1991), 69∼140쪽.

―――,≪煙臺島≫(國立晉州博物館, 1993).

金子浩昌·牛澤百合子,<水佳里貝塚出土 骨角貝製品 및 動物遺存體>(≪金海水佳里貝塚 I≫, 釜山大 博物館, 1981).

Sample, L. L., Tongsamdong:A Contribution to Korean Neolithic Culture History, Arctic Anthropology 11-2, 1974.

이하 위의 주에 언급된 유적이 다시 인용될 때는 가능한 각주를 생략한다.
657)도유호, 위의 책(37∼38쪽)에서는 영양으로 보고되어 있으나 김신규(위의 글, 1970, 94쪽)에 의해 복작노루로 재감정되었다.
658)김신규, 위의 글, 106쪽.
659)서국태,≪조선의 신석기시대≫(사회과학출판사, 1986), 107∼108쪽.
660)최삼용·한창균,<우리 나라 신석기시대 짐승잡이의 예>(≪博物館紀要≫2, 檀國大 中央博物館, 1986), 15∼36쪽.

최삼용,<상노대도유적의 동물뼈화석에 나타난 자른 자국>(≪孫寶基博士停年退任紀念 考古人類學論叢≫, 知識産業社, 1988), 227∼274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