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1. 가야연맹의 발전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1. 건국신화와 시조신화
          • 1) 박혁거세 신화
          • 2) 석탈해 신화
          • 3) 김알지 신화
          • 4) 신라 신화의 특징
        • 2. 성립과 발전
          • 1)≪삼국사기≫초기 기록의 문제점
          • 2) 성립
            • (1) 사로 6촌의 위치와 성격
            • (2) 사로국의 형성
          • 3) 발전
            • (1) 내부체제의 정비
            • (2) 진한 소국의 복속
            • (3) 복속 소국에 대한 통제의 강화
      • Ⅱ. 신라의 융성
        • 1. 나제동맹의 결성과 정치적 발전
          • 1) 내물왕의 등장과 김씨 세습왕조의 성립
          • 2) 나제동맹의 결성
            • (1) 나제동맹 성립 이전의 대외관계
            • (2) 고구려의 남하와 나제동맹의 성립
          • 3) 마립간시대의 정치적 발전
            • (1) 왕권의 강화
            • (2) 축성사업
        • 2. 정치체제의 정비
          • 1) 배경
            • (1) 철제 농기구의 보급과 생산력의 발전
            • (2) 사회의 변동
          • 2) 부체제
            • (1) 부
            • (2) 6부의 기원과 성립
            • (3) 부의 구조와 기능
            • (4) 부대표자 회의-화백
          • 3) 지증왕대
            • (1) 지증왕의 등장
            • (2) 국호 및 왕호의 개정
            • (3) 지방제도의 정비
          • 4) 법흥왕대
            • (1) 율령의 반포
            • (2) 군사제도의 정비
            • (3) 불교의 공인
        • 3. 영토의 확장과 왕권강화
          • 1) 영토의 확장
            • (1) 한강유역의 확보와 백제·고구려와의 항쟁
            • (2) 가야의 병합
            • (3) 대지방민 정책
          • 2) 왕권의 강화
            • (1) 대왕호의 사용과 연호의 제정
            • (2) 상대등과 관부의 설치
            • (3) 화랑도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1. 중국과의 관계
          • 1) 조공의 의미와 대중국 교섭의 전개
          • 2) 수 이전의 중국과의 관계
          • 3) 당과의 관계
          • 4) 대당사행의 유형
        • 2. 왜국과의 관계
          • 1) 시기 구분
          • 2) 4세기 후반∼5세기 초 왜국과의 관계
          • 3) 5세기 왜국과의 관계
          • 4) 6세기 전반 왜국과의 관계
          • 5) 6세기 후반 왜국과의 관계
          • 6) 대수관계의 개시와 왜국과의 관계
          • 7) 대당관계의 개시와 왜국과의 관계
          • 8) 당과의 군사동맹 강요와 왜국의 동향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1. 중앙통치조직
          • 1) 관등과 관직
          • 2) 행정조직
          • 3) 화백회의
        • 2. 지방·군사제도
          • 1) 지방조직
          • 2) 군사조직
          • 3) 교통로 개척과 성곽시설
        • 3. 경제
          • 1) 농업
            • (1) 철제 농기구와 우경의 보급
            • (2) 수전의 확대
            • (3) 맥류 재배의 확산
          • 2) 수공업
          • 3) 상업
          • 4) 토지제도와 조세·요역제도
            • (1) 토지제도
            • (2) 조세·요역제도
        • 4. 사회구조
          • 1) 신라사회의 대본이 되는 골품제도
          • 2) 골품제도의 형성 배경
            • (1) 왕경 6부의 성립과 그 전개과정
            • (2) 율령의 수용과 신분층의 결정화 과정
          • 3) 골품제도의 계층 구성
            • (1) 골제-성골과 진골-
            • (2) 두품제
            • (3) 불완전한 사회성층의 지표-화랑도
          • 4) 골품제사회의 권력구조
            • (1) 경위제-골품제도와의 대응관계-
            • (2) 외위제―지방촌락사회의 계층구조―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1. 가야사 연구의 개관
          • 1) 가야사 연구의 전통
          • 2) 임나 문제의 제학설
            • (1) 임나일본부설의 성격
            • (2) 임나 문제에 대한 새로운 연구 경향들
          • 3) 가야관계의 제학설
            • (1) 문헌사학 계통의 가야사 연구
            • (2) 고고학 계통의 가야문화 연구
        • 2. 가야사의 범위
          • 1) 가야의 명칭과 6가야
          • 2) 변한 및 임나와의 관계
          • 3) 가야사의 시기 구분
      • Ⅵ. 가야의 성립
        • 1. 가야의 풍토와 지리
        • 2. 가야의 건국 설화
          • 1) 가락국 수로왕 신화
          • 2) 대가야국 이진아시왕 신화
        • 3. 가야 제국의 성립
          • 1) 성립 배경
          • 2) 성립 시기
          • 3) 존재 형태
        • 4. 가야연맹의 형성
          • 1) 가야연맹의 성립
          • 2) 전기 가야연맹의 영역
          • 3) 전기 가야연맹의 해체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1. 가야연맹의 발전
          • 1) 후기 가야연맹의 형성
          • 2) 대가야 세력권의 확립
          • 3) 후기 가야연맹의 영역
        • 2. 가야연맹의 약화
          • 1) 탁기탄국의 신라 투항
          • 2) 백제의 안라 걸탁성 진주
          • 3) 남가라국(금관국)의 신라 투항
          • 4) 백제의 구례모라성 축성과 안라 경영
        • 3. 가야의 멸망
          • 1) 대가야·안라 이원체제로의 분열
          • 2) 가야연맹의 자구노력과 백제 부용화
          • 3) 가야연맹의 신라 복속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1. 백제·야마토왜의 접근과 중개외교
          • 1) 4세기의 대신라관계
          • 2) 대백제관계의 시작
          • 3) 대야마토왜관계의 시작
          • 4) 대백제관계의 진전
        • 2. 대백제관계의 심화와 부용외교
          • 1) 신라·고구려의 침입과 대백제관계의 심화
          • 2) 야마토왜에 대한 군사기지 제공
          • 3) 백제군의 주둔
        • 3. 백제·신라의 각축과 분열외교
          • 1) 신라의 진출
          • 2) 백제의 직접지배 시도
          • 3) 가야의 멸망
      • Ⅸ. 가야인의 생활
        • 1. 산업의 발달
          • 1) 전기 가야의 산업
          • 2) 후기 가야시기
        • 2. 종교와 풍속
          • 1) 문헌에 보이는 가야의 종교
            • (1) 불교
            • (2) 유교
            • (3) 도교
          • 2) 가야의 신앙과 풍속
            • (1) 소도신앙
            • (2) 태양신앙
            • (3) 산악신앙
          • 3) 유물자료에 보이는 신앙과 풍속
            • (1) 장례 풍속
            • (2) 점복풍속
            • (3) 기타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후기 가야연맹의 영역

 5∼6세기 후기가야의 영역을 살펴보기 위한 고고학 자료로는 해당 시기 영남지방의 수혈식 석곽묘를 위주로 한 고분 유적 자료가 있다.

 토광목곽묘 문화 말기 이래로 영남지방의 고분 유적·유물의 계통은 크게 2개의 문화권으로 양분되기 시작하며, 그러한 현상은 그에 중복되면서 이어지는 석곽묘 유적에까지 계속된다. 이러한 문화권 양분은 곧 신라·가야 세력권의 분리와 관계가 없지 않을 것이며, 이는 고구려의 배경 아래 경주세력의 주도로 일어나는 신라의 영역 팽창과 가야연맹권의 축소에 따른 결과로 파악된다. 그 시기는 문헌사료에서 신라가 고구려의 강한 영향 아래 있었다고 생각되는 신라 奈勿·實聖·訥祗麻立干代 즉 4세기 중엽에서 5세기 초에 걸치는 시기였으리라고 추정된다. 특히 전기 가야연맹의 일국이었던 瀆盧國의 유적으로 추정되는 동래지방이나 6가야와 관련하여 그 연맹권에 포함되었을 것으로 거론되는 창녕·성주지방의 고분군에서 5세기 이후로 신라 계통 일색의 유물들이 출토되는 것은 가야연맹권의 축소를 반영하는 것이 아닐까 한다.

 이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하여 지금까지 발굴된 유적을 중심으로 해당 시기의 영남지방 석곽묘관계 유적·유물을 묘제와 토기를 중심으로 구분해보면 다음과 같다.724)

 신라문화의 특징은 묘제의 측면에서 積石木槨墳·橫口式 石槨墓·橫穴式 石室墓·竪穴式 石槨墓(짧은 장방형 평면)가 다양하게 나타나고, 토기양식은 二段交列透窓有蓋高杯와 臺附長頸壺를 기본으로 한다. 이는 진변한 공동 문화기반에서 일단의 변화를 일으킨 것이라고 보인다. 그러한 문화를 공통적으로 보유한 신라 영역은 대체로 낙동강 동안의 경상좌도지역이며, 세부적으로는 경주를 중심으로 하여 의성·안동·경산·대구·칠곡·성주·선산 등의 신라 북부지역과 창녕·울산·양산·부산 등의 신라 남부지역으로 구분된다.

 가야문화의 특징은 묘제의 측면에서 좁고 긴 장방형 평면의 수혈식 석곽묘가 보편적으로 나타나고, 토기양식은 이단직렬투창유개고배와 有蓋長頸壺·器臺를 기본으로 한다. 이는 후기 가야문화가 前代 이래 진변한 공동의 문화전통을 거의 그대로 계승 발전한 측면을 보여 준다. 그러한 문화를 공통적으로 보유한 가야 영역은 대체로 낙동강 서안의 경상우도지역이며, 세부적으로는 고령을 중심으로 하여 합천·거창·함양 및 남원 동부 등의 가야 북부지역과 함안·고성·사천·진주·산청·하동·김해·창원 등의 가야 남부지역으로 구분된다.

 그러므로 후기 가야 문화권을 전기 가야 시기와 비교해 볼 때 문화 성격은 그리 변하지 않았으나, 문화 중심은 김해를 비롯한 경남 해안지대에서 고령을 비롯한 경상 내륙 산간지방으로 옮겨 왔으며, 문화권은 고령 이남의 낙동강 서안지방으로 축소되어, 전기 가야연맹에 속해 있다고 거론되던 지역 중에서 동래·창녕·성주·개령 등이 제외되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문화 중심의 이동과 영역의 축소 현상은 전기 가야연맹의 해체를 전후한 4세기 후반부터 5세기 전반 사이에 일어난 것이었다고 하겠다.

 위에서 고고학자료에 의하여 구분된 5∼6세기 가야문화권의 범위는 문헌사료를 통하여 추정되는 후기 가야의 세력범위와 어떤 관계에 있는지 살펴 보자. 당시 가야의 세력범위를 알 수 있는 문헌자료로는≪일본서기≫가 있다.≪일본서기≫欽明紀 23년(562)조에「任那 10國」즉 加羅國·安羅國·斯二岐國·多羅國·卒麻國·古嵯國·子他國·散半下國·乞飡國·稔禮國이 나오고, 同 2년(541) 4월조에는 530년대에 이미 멸망한 㖨己呑·南加羅·卓淳의 3국이 나온다. 그러므로 한동안 가야지역에 속하였다가 6세기 초에 백제에게 빼앗긴 상·하기문국(남원·임실 등)을 제외하더라도 6세기 전반의 가야지역에는 13소국이 존재하였으며, 이를 지명 비정하면 아래의<표 5>와 같다.

번호 국 명 위 치 근 거
1 加羅國 고령군

고령읍
古名 大加耶國, 高靈郡 高靈邑 池山里·古衙里·本館里·快賓里·中和里·錦山, 雲水面 月山里, 雙林面 高谷里·龍里, 德谷面 後岩里 고분군, 谷面 桃津里 고분군, 陜川郡 冶爐面 金坪里 고분군
2 安羅國 함안군

가야읍
古名 阿尸良國, 咸安郡 伽倻邑 末山里·道項里·沙內里·新音里 고분군, 郡北面 院北里·沙道里 고분군, 宜寧郡 宜寧邑 西洞·中里·上里, 嘉面 鳳頭里 고분군
3 斯二岐國 의령군

부림면
古名 辛爾縣, 宜寧郡 富林面 新反里·景山里 고분군, 正谷面 竹田里, 芝正面 柳谷里 고분군
4 多羅國 합천군

합천읍
古名 大良州郡, 陜川郡 陜川邑 陜川里·盈倉里, 龍洲面 城山里·高品里·龍旨里, 栗谷面 文林里, 大陽面 正陽里 고분군, 大幷面 倉里, 鳳山面 苧浦里·鳳溪里·界山里·松林里 고분군
5 卒麻國 함양군

함양읍
문헌고증 불능, 咸陽郡 咸陽邑 白川里, 水東面 院坪里·上栢里 고분군, 南原郡 阿英面 月山里·淸溪里, 東面 乾芝里 고분군
6 古嵯國 고성군

고성읍
古名 古自郡, 固城郡 固城邑 松鶴洞·栗垈里 고분군, 下一面 悟芳里 고분군, 泗川郡 正東面 禮樹里, 龍見面 松旨里 고분군, 固城郡 東海面 內山里·陽村里, 統營郡 光道面 黃里 고분군
7 子他國 진주시 문헌고증 불능, 晉州市 水精洞·玉峯洞·中安洞·新安洞·加佐洞 고분군, 晋陽郡 大谷面 臥龍里, 晋城面 中村里 고분군, 陜川郡 三嘉面 良田里·一部里·소오리 고분군
8 散半下國

합천군

초계면
古名 草八兮縣, 陜川郡 雙冊面 城山里·多羅里·上浦里·烏西里 고분군
9 乞飡國 산청군

단성면
古名 闕支郡, 山淸郡 新安面 中村里 고분군, 新等面 丹溪里 고분군, 車黃面 長位里 고분군, 生草面 於西里 고분군
10 稔禮國 의령군

의령읍
古名 獐含縣, 宜寧郡 宜寧邑 中洞里·上里·中里·下里·서동리·정암리·무전리 고분군
11 卓淳國 창원시 낙동강 이남, 新羅와 安羅 사이, 久斯牟羅 부근, 昌原市 加音丁洞·道溪洞 고분군, 馬山市 구암동·玆山洞 고분군, 鎭海市 熊川1洞 고분군, 義昌郡 東面 茶戶里, 北面 花川里·東田里, 鎭北面 新村里·大坪里, 鎭田面 임곡리, 龜山面 內浦里·龜伏里 고분군
12 㖨己呑國 창녕군

영산면

(+밀양?)
加羅(高靈)와 新羅(慶州) 사이, 卓淳國의 北境, 昌寧郡 靈山面 竹紗里·城內里·東里, 桂城面 舍里·桂城里, 都泉面 友江里 고분군, 密陽市 府北面 月山里 고분군
13 南加羅國 김해시 古名 金官國(駕洛國), 金海市 大成洞·龜山洞·七山洞 고분군, 大東面 禮安里 고분군, 酒村面 良洞里 고분군, 釜山市 江西區 生谷洞 고분군

<표 5>후기 가야 13국의 위치비정표

 위의<표 5>에서 대다수의 안정적인 지명 비정에 이어 약간 불확실한 임례국·졸마국을 추가하여 보면,≪일본서기≫에 나타나는 6세기 전반의 이른바 「임나 13국」 즉 후기 가야 13국의 위치는 고령·함안·부림·합천·함양·고성·진주·초계·단성·의령·창원·영산·김해 등지에 비정되어, 크게 보아 고령 이남의 낙동강 서안지방으로 한정할 수 있다. 이는 앞에서 본 5∼6세기 무렵의 고고학적 유물·유적에 의한 가야문화권 범위와 그대로 일치하는 것이며, 임나와 관련하여 가야영역을 과대평가하였던 기존설에 비해 어느 정도 그 범위의 축소조정이 이루어진 결과라고 하겠다(<도면 2>참조).

<도면 2>후기 가야 13국 위치비정도

<金泰植>

724)金泰植,<가야사연구의 시간적·공간적 범위>(≪韓國古代史論叢≫2, 韓國古代社會硏究所, 1991), 49∼75쪽 참조.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