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Ⅰ. 불교1. 불교사상의 전개4)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개혁운동과 천태종의 창립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1. 불교사상의 전개
          • 1) 나말려초의 교종과 선종
            • (1) 왕건의 선대 세력과 선종
            • (2) 왕건과 승려의 결합
            • (3) 4무외사와 그들의 선사상
            • (4) 나말려초의 화엄결사
          • 2) 광종대의 불교통합운동과 천태학의 연구
            • (1) 광종대의 불교통합운동
            • (2) 천태학의 연구
          • 3) 현종대 이후 화엄종·법상종의 대두와 불교계의 모순
            • (1) 귀족불교의 융성
            • (2) 불교계의 모순
          • 4)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개혁운동과 천태종의 창립
            • (1) 당시의 동아시아 불교
            • (2) 고려 불교계의 동향
            • (3) 의천의 행적과 연학
            • (4) 불교개혁운동과 천태종 개창
          • 5) 승관조직과 승과제도
            • (1) 승관조직
            • (2) 승과제도
        • 2. 대장경의 조판
          • 1) 초조대장경의 조판
            • (1) 조판의 동기 및 착수시기
            • (2) 조판의 경위 및 규모
            • (3) 초조본의 특성
          • 2) 속장의 조판
            • (1) 조판의 동기
            • (2) 장소 수집 및 조판 경위
            • (3) 전래본
            • (4) 속장의 특성
        • 3. 불교행사의 성행
          • 1) 불교행사의 유형과 전개
            • (1) 불교행사 성행의 시대적 배경
            • (2) 불교행사의 유형
            • (3) 불교행사의 전개와 의례적 구조
          • 2) 항례적인 불교행사
            • (1) 연등회
            • (2) 팔관회
            • (3) 인왕백고좌도량
            • (4) 장경도량
            • (5) 보살계도량
            • (6) 축수도량 및 기신도량
            • (7) 담선법회
          • 3) 각종의 도량
            • (1) 화엄경도량
            • (2) 반야경도량
            • (3) 법화도량
            • (4) 금광명경도량
            • (5) 약사도량
            • (6) 제석도량
            • (7) 신중도량
            • (8) 공덕천도량
            • (9) 소재도량
            • (10) 문두루도량
            • (11) 불정도량
            • (12) 마리지천도량
            • (13) 관정도량
            • (14) 기우도량
          • 4) 반승과 재회
          • 5) 향도조직
            • (1) 향도의 기원
            • (2) 고려 전기 향도의 조직과 활동양상
            • (3) 고려 후기 향도의 변화
        • 4. 사원의 경제 활동
          • 1) 사원경제의 배경
            • (1) 정치적 배경
            • (2) 종교적 배경
          • 2) 사원전의 확대와 경영
          • 3) 사원의 수공업
          • 4) 사원의 상행위
      • Ⅱ. 유학
        • 1. 유학사상의 정립
        • 2. 유학사상의 발전
        • 3. 유학사상의 실천적 전개
          • 1) 오행설과 천인합일설
            • (1) 오행설과 정치
            • (2) 유교정치이념과 월령
            • (3) 천문관과 유교사상
          • 2) 효와 예
            • (1) 5륜과 5교
            • (2) 윤리와 법
            • (3) 유교의 실천윤리
            • (4) 5례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 도교사상
          • 1) 고려 도교의 수용과 전개
            • (1) 고려 초기의 도교
            • (2) 북송 도교의 수용과 복원궁 건립
            • (3) 과의도교의 체계화와 도교의례
            • (4) 도관 건립의 증가
          • 2) 도교사상의 전개
            • (1) 도교사상의 확산
            • (2) 재초청사의 도교이념
            • (3) 도교신앙과 그 사상
        • 2. 풍수지리·도참사상
          • 1) 풍수지리설과 도선
            • (1) 풍수지리설의 정의와 기원
            • (2) 도선과 도선식 풍수사상의 특징
          • 2) 풍수지리·도참사상의 추이
            • (1) 고려시대 풍수사상의 특성
            • (2) 서경천도운동
        • 3. 민속종교
          • 1) 고려시대 민속종교 이해의 문제점
          • 2) 민속종교의 신 관념
            • (1) 천신
            • (2) 산신
            • (3) 성황신
            • (4) 수신
            • (5) 기타
          • 3) 민속종교의 의례
            • (1) 치병
            • (2) 기우제
            • (3) 점복
            • (4) 기복제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4) 대각국사 의천의 불교개혁운동과 천태종의 창립

(1) 당시의 동아시아 불교

 大覺國師 義天은 고려 불교사에서 뿐 아니라 당시의 동아시아 불교사에서도 국제적 위치가 뚜렷이 부각된다. 그는 신라의 원효처럼 많은 저작을 남기지도 않았고 고려 후기의 뛰어난 선사들처럼 깊은 종교적 경지에 몰입했다는 기록도 보이지 않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의천이 불교관계 서적을 통해 송·요·일본과 교류했다는 점은 특기할 만한 일이다.

 의천이 살았던 시기는 고려 초기부터 끊임없이 북방 변방민족의 침략에 시달리던 질곡에서 벗어나 평화정책을 쓰고 있던 고려 문종 이후가 된다. 이 시기의 고려는 서쪽에 송, 서북쪽에 요, 동북쪽으로 여진, 남쪽에는 일본 등 여러 나라와 인접해 있었다. 고려는 이 국가들과 정치·경제·문화에 걸친 교류를 통해 평화를 구가하는 시기에 접어들고 있었다. 따라서 외세에 의해 국력을 소모하지 않은 위정자들은 내치에 힘을 기울여 국가의 부흥과 건설을 이룩함으로써 문화의 황금시대를 구가할 수 있었다.115) 고려는 송·요와 등거리 외교정책을 추진하여 한족 일변도에서 벗어나 다채로운 외래문화를 수용하였다. 중국불교사에서 5호16국이라는 변방 이민족의 불교문화가 한족의 강남불교보다 반드시 열등하지 않았듯이 요의 불교활동도 남쪽의 송에 버금갔다. 의천은 불경과 원효의 저술을 요나라에 기증하고, 요나라의 불교관계 연구서들을 고려로 받아들이는 역할을 담당했다. 중국대륙 북방에 버티고 있던 요의 역대 황제는 불교보호정책을 폈기 때문에 불교문화는 상당한 수준에 달했다. 요의 불교가 가장 극성한 때는 聖宗(983∼1030), 興宗(1031∼1054), 道宗(1055∼1100) 3대인데, 이 때가 요나라문화의 전성기라고 할 수 있다. 특히 도종은 華嚴과 梵語(Sanskrit)에 통달한 왕이었다. 요에는 각지에 탑과 사원이 건립되고 제왕이 참석한 불교행사가 행하여졌으며 승려에 대한 예우가 극진했다. 따라서 명예와 영달을 위해 승려가 되는 사람들이 급증해 갔다. 요나라는 契丹大藏經을 조조하였는데 모두 5,048권을 흥종 때에 완성하였다. 현재는 전하지 않지만 요나라 불교문화의 가치를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116)

 요의 불교는 많은 고승과 학자를 배출하였고, 화엄사상을 중심으로 밀교와 율이 성행하여 융합불교적 성격을 강하게 지녔다. 요에서 불교가 성행하였음을 알려주는 예로서 민간인 재속신자와 승려의 신행단체라고 할 수 있는 결사성격의 千人邑會같은 것도 있었다.117)

 한편 송은 唐末 五代에 걸친 혼란을 수습하고 後周의 무장이 세운 나라이다. 북방 요나라와 대치하였다가 여진족 금과 함께 요를 멸망시켰지만 결국 금의 침략을 받았다. 그 결과 강남으로 옮겨가서 남송을 건립하고 원에 의해 멸망될 때까지 전후 320여 년간 존속하였는데, 우리나라 고려 광종 11년(960)부터 인종 4년(1126)까지가 북송이고 그 후 충렬왕(1279)까지가 남송이다.

 불교가 외래사상으로 중국에 정착하는 과정에서 외래 변방민족의 역할을 과소평가할 수 없으나, 수·당 이래 한민족에 의하여 불교문화의 황금시대를 이루었다. 그러나 당 말의 혼란을 틈타 다시 변방민족이 득세하면서 불교계도 많은 변혁을 초래하게 되었다. 당 말과 5대라는 역사적 전환기를 거치면서 세워진 송의 불교는, 당나라 때 불교 여러 종파가 발전하였던 것과 달리 선종이 불교의 주류를 이루었다. 그 이유는 당 말엽의 會昌法難으로 많은 불교서적들이 사라지고 산속의 선종만이 탄압에서 벗어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선종은 5대에 이르러 臨濟宗·潙仰宗·曹洞宗·雲門宗·法眼宗의 5家로 나뉘어 발전하였다. 그러나 송대에 위앙종은 일찍이 그 맥이 끊어지고 법안종의 法眼 文益(885∼958)은 남당에 초빙되어 淸凉寺에서 법문을 널리 펴면서 활약하였다. 한편 雲門 文偃(964∼949)은 南漢의 운문산에서 운문종을 열어 크게 선풍을 진작하였다. 5대 때에는 이 두 사람의 활약이 두드러지는데, 문익의 제자인 天台 德韶(891∼972)와 그의 제자인 永明 延壽(904∼975)는 이 시대의 대표적 인물들이다. 연수가 종풍은 드날렸으나 그 이후의 법안종은 별로 활발하지 못하였다. 그 후 선종의 이름으로 활약한 것은 운문과 임제(?∼867)의 두 계통뿐이었다. 임제종계통에서 다시 두 파가 갈리게 되므로 흔히 선종을「5家 7宗」이라 한다. 이 선종과 대등할 수 있었던 것은 오직 天台宗뿐이었다. 천태종도 당나라 때에는 쇠미하였다가 교세를 가다듬어 부흥하게 되는데 고려의 諦觀법사가 천태관계 경론을 가지고 吳越에 간 것이 인연이 되었다. 화엄종도 교종이었으므로 교세가 쇠미하였는데, 의천이 많은 화엄관계 서적들을 가지고 가 당 말 이후 법난과 전란으로 산일되었던 경론이 갖추어짐으로써 화엄교학이 융성하게 되었다.

 의천이 송나라에 간 때는, 5대의 오월 왕가의 불교보호정책으로 義寂에 의해 천태교적이 수집되어 천태종이 부흥된 후였다. 이 번영은 전술한대로 제관법사에 의해 천태교적이 중국에 역수출된 역사적 사실에 연유한다. 의적의 제자에는 고려 출신으로 제관 이외에도 義通, 智宗 등이 있었는데, 의통(927∼988) 문하에서 遵式(963∼1032)과 知禮(960∼1028)가 배출되었다. 의적의 동문에 志因이 있고 그 제자에 晤恩(?∼986)으로부터 源淸(?∼996), 智圓(976∼1022)의 차례로 계승되었다. 이들은 송대 천태종의 대표적 인물로서 천태종을 부흥시켰으나, 山家·山外 양파로 나뉘어 논쟁을 계속하였다. 흔히 의통과 지례의 일문을 산가파라 하고 지원의 일파를 산외파라 일컬었다. 산가파는 實相論, 산외파는 唯心論의 입장에서 대립·논쟁을 계속하면서 천태교학의 정밀함을 더하였다. 산외파는<大乘起信論>의 사상을 수용하였는데, 산가파의 지례계통이 번영하였으므로 이 계통이 정통이 되었다. 이 지례 문하로는 尙賢, 本如, 梵臻의 四明3家가 유명하고118) 범진 문하에서 慈辯 從諫이 배출되었다. 의천이 송에 갔을 때 이 자변 종간에게 天台敎觀에 대하여 배우고 귀국했다. 의천은 천태종의 정통이라고 할 수 있는 산가파에서 교·관을 전수한 것이 된다.

 의천은 일본에서도 불교관계 서적을 구한 적이 있다. 당시의 일본은 最澄과 空海가 804년에 입당했다가 귀국하면서 법등을 전한 이후, 天台宗과 眞言宗이 각각 독자적인 종파로 공인받고 있었던 平安시대이다. 奈良시대 이후 6宗과 대등한 위치에서 이 두 종파는 국가의 지원을 받으며 번영하였다. 특히 일본의 천태종은 圓敎와 密·禪·戒의 네 기본요건을 지니고 발전하였다. 천태의 교관에다 밀교와 계(圓頓戒)를 더한 것이다. 이와 같이 의천은 중국대륙과 바다 건너 일본에까지 관심의 시야를 넓혀 불교의 세계성을 지향해 갔다.

115)李丙燾,≪韓國史―中世篇―≫(震檀學會, 1961), 208쪽.
116)道端良秀,≪中國佛敎史≫(法藏館, 1965), 197∼199쪽.
117)李龍範,<契丹佛敎와 千人邑會의 활동>(≪白性郁博士頌壽紀念論文集≫, 東國大, 1957), 751∼773쪽.
118)島地大等,≪天台敎學史≫(中山書房, 1976).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