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2) 한전농업의 생산력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한전농업의 생산력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조선 전기의≪世宗實錄地理志≫에 의하면, 結의 면적으로 보아 논과 밭의 비율은 3:7 정도로 밭이 많았는데, 논이 비옥하여 토지등급이 높았으므로 실제 면적의 비율은 2:8 정도로 밭의 면적이 많았다.0044) 이와 같이 밭이 많았던 상황에서 농민들은 논뿐만 아니라 밭에서 잡곡의 재배에도 열심이었다. 밭에서는 조·보리·콩 등이 주로 재배되었다. 그러나 밭에서 재배하는 곡물의 종류는 시기에 따라 변화하면서 내려왔다. 중국의 8세기 농서인≪濟民要術≫에는 5곡이 주였는데, 12세기의 농서인≪農桑輯要≫에는 9곡종이어서 밭에서 재배하는 곡물의 종류도 변화해왔음을 알 수 있다.

 우리 나라에서도 밭에서 재배하는 곡물이 변화해왔을 것이다. 조선 전기의≪농사직설≫에 9곡종이라 하여, 삼(麻)·벼(稻)·기장과 조(黍粟)·피(稷)·콩(大豆)·팥(小豆)·보리(大麥)·밀(小麥)·참깨(胡麻)·메밀(蕎麥) 등의 재배방법을 기술한 것으로 보아, 조선 전기에는 이 곡물을 중심으로 재배되었을 것이다. 조선 후기에는 농업기술이 발달하면서 잡곡의 품종도 증가하였다. 수전농업이 발달하면서 벼품종이 증가한 것과 마찬가지로 旱田농업이 발달하면서 잡곡의 품종도 증가하였다.

 먼저 기존에 있었던 한전작물의 품종이 증가하였다. 19세기의 농서에 의하면 조선 전기에 비해 품종이 크게 증가하였다. 조는 17종, 보리는 6종, 콩은 6종, 수수는 4종, 팥은 3종, 기장은 2종, 피는 1종, 밀은 1종이 증가하였다.0045) 이 증가한 품종들은 기후와 토양에 알맞으면서도 추위와 가뭄에 강한 우수한 품종들이었다. 이러한 사례는 李圭景의≪五洲衍文長箋散稿≫에도 나타난다.

 또한 조선 후기에 들어오면서 새로운 작물들이 전래되고 보급되면서 한전의 재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 16세기말 이후 煙草가 전래되었고, 이어서 배추·옥수수·호박·토마토·고추 등의 작물이 전래되고 보급되면서 한전농업에 영향을 미쳤고, 나아가 구황작물로서 고구마와 감자까지 전래됨으로써 한전농업의 재배체계에 큰 영향을 미쳤던 것이다.

 연초는 16세기말경에 전래되면서 급속히 보급되었다.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많은 사람들이 담배를 피우게 되었고,0046) 그에 따라 연초의 재배도 급속히 확산되었다. 그리하여 18세기초에는 비옥한 토지에도 연초를 재배하게 되었고, 재배면적도 크게 확대되었다. 18세기말에는 전라도의 鎭安과 長水, 평안도의 三登과 成川 등 주요 재배산지가 각지에 형성될 정도로 확대되었다.0047)

 면화는 16세기 이래 면포가 의류로서 소비되고, 아울러 화폐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사회적 수요가 크게 증가하였고, 그에 따라 재배가 촉진되었다. 그리하여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면화를 전업으로 재배하는 농가가 많이 나타나게 되었다.0048)

 고구마(甘藷)와 감자의 전래도 조선 후기의 농업상에 큰 변화를 유발하였다.0049) 특히 흉년에는 구황작물로서 크게 활용되면서 고구마와 감자가 중시되었다. 고구마는 영조 39년(1763)에 통신사 趙曮이 대마도에서 종자를 부산진으로 보냈고, 돌아오는 길에 다시 씨앗을 가져다가 동래와 제주도에서 시험재배하여 성공함으로써 퍼지게 되었다.0050) 柳重臨은 고구마가 전래되자마자 매우 중요하게 여겨≪증보산림경제≫에서 고구마를 심을 것을 적극 권장하였다.

왜인들은 먼 나라 사람에게 (고구마로) 음식을 준다. 그것을 보니 (왜인들은 고구마를) 아침·저녁의 식량으로 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 귀한 물건을 우리 나라 사람들은 어찌 적극적으로 종자를 구하여 전국에 널리 심지 않으려 하는가. 오직 청인과 왜인들만 그 맛과 이익을 독점하고 있으니,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柳重臨,≪增補山林經濟≫권 2, 治農 甘藷種植法).

 朴齊家도≪北學議≫에서 “고구마는 흉년을 구하는 데 으뜸이다. 마땅히 屯田官으로 하여금 특별히 살곶이(箭串)나 밤섬(栗島)에 심게 하면 많이 심을 수 있다”0051)라고 고구마의 재배를 권장하였다. 그 후 고구마의 식량으로서의 중요성이 크게 높아져서 고구마의 재배방법과 저장방법 및 요리방법 등을 적은 농서들이 많이 나오게 되었다.0052) 정부에서도 고구마의 식량으로서의 중요성을 인정하여 정조 22년(1798)에 고구마 재배를 적극적으로 권장하였고 이에 따라 고구마의 재배는 점차 확대되었다.0053)

 감자는 1820년대에 청으로부터 도입되었다. 茂山郡守 李亨在가 감자를 구해서 전파하였다고 하며, 감자는 전래된 지 얼마되지 않아 여러 지역에서 재배될 정도로 보급이 고구마보다 빨랐다. 헌종 13년(1847)에 경기도 陽州와 강원도 原州 및 鐵原 등지에서 구황작물로서 재배되었으며, 심지어 함경도 鏡城에서는 50∼60호의 농가가 감자만을 재배하여 생계를 유지해갈 정도로 감자의 재배가 확대되었다.0054)

 고추도 조선 후기에 전래되어 재배뿐만 아니라 생활상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배추는 이전부터 재배해왔던 종자가 있었지만, 18세기에 중국으로부터 포기가 큰 배추가 전래되면서 보급이 급속히 이루어졌다. 그리하여 이전에는 김치가 무우를 소금에 절인 것이 주종을 이루었지만, 품종이 좋은 배추와 고추가 전래되면서 소금에 절인 배추를 고추에 버무린 형태로 바뀌게 되었다.

 옥수수가 처음 농서에 등장하는 것은 유중림의≪증보산림경제≫이다. “옥수수는 5가지 색깔이 있으며, 봄에 비옥한 땅에 심고 서로 거리를 1尺으로 하며 1科를 심는다. 쪄서 먹을 수 있으며, 죽을 만들어서 먹으면 더욱 좋으며 율무보다 낫다”0055)라고 기록하였다. 옥수수는 17세기 이후에 우리 나라에 전래되었다고 여겨지며, 전래된 이후에 완만히 보급되면서 재배되었다. 그 외에도 호박과 토마토 등의 채소가 전래되었고, 그것은 농업경영에 큰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

 이와 같이 조선 후기에는 원래부터 재배되었던 한전작물의 품종이 증가하였을 뿐만 아니라 연초·고구마·감자 등의 작물과 옥수수·호박·토마토 등의 새로운 작물이 전래되면서 한전작물의 재배에 큰 영향을 미쳤다.

0044) 李鎬澈, 앞의 책, 258∼273쪽.
0045)≪衿陽雜錄≫에 조가 15종, 보리는 4종, 콩은 8종, 수수는 3종, 팥은 7종, 기장은 4종, 피는 5종, 밀은 2종이 기록되어 있는데,≪林園經濟志≫에는 위의 품종을 적고 당시에 심던 새 품종을 추가하여 기록하였다.
0046) 하멜,≪하멜漂流記≫朝鮮國記(李丙燾譯註, 一潮閣, 1993), 92쪽.
0047) 李永鶴,≪韓國近代 煙草業에 대한 硏究≫(서울大 博士學位論文, 1990).
0048) 申 洬,≪農家集成≫.
0049) 고구마에 관한 논문으로는 다음의 글이 있다.

孫晉泰,<甘藷傳播考>(≪震檀學報≫13, 1941).

篠田統,<‘種藷譜’と朝鮮の甘藷>(≪朝鮮學報≫44, 1967).
0050)≪海槎日記≫영조 40년 6월 18일.
0051) 朴齊家,≪北學議≫進北學議 種藷.
0052)≪海東農書≫(1799),≪金氏甘藷譜≫(1813),≪種藷方≫(1813),≪圓薯方≫(1832),≪種藷譜≫(1834) 등의 농서에 고구마에 관한 기록이 나온다(李盛雨,≪韓國食經大典≫, 鄕文社, 1981, 424∼450쪽).
0053)≪正祖實錄≫권 41, 정조 18년 12월 무인 및 권 50, 정조 22년 11월 기축.
0054) 李圭景,≪五洲衍文長箋散稿≫北藷辨證說.
0055) 柳重臨,≪增補山林經濟≫권 2, 玉薥黍.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