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3. 광작과 지주제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1960년대 본격화된 資本主義 萌芽論(이하 맹아론)은 日帝 植民史觀의 他律性論과 停滯性論에 대한 비판에서 출발했다. 그것을 달리 표현하면 한국사의 발전논리가 단순히 밖으로부터 이식되었다는 外因論 중심의 파악방식에 대해 한국 고유의 내적 발전논리가 당연히 모색되어야 한다는 內因論이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맹아론은 한국사의 고유한 내재적 발전논리를 점검하고 나아가 제국주의 침략에 대한 대응방략을 모색하는 가운데 민족국가를 건설하는 데 목표가 있었다.

 이같은 맹아론 연구는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는 一國史의 내적 발전의 논리이며 세계 자본주의와의 결합에 있어 무엇보다 중요한 민족사의 내적 역량이다. 따라서 한국사의 내적 발전논리를 검토하는 방법으로서 제시된 타율성론과 정체성론에 대한 비판은 한국사의 주체적 발전과 내적 발전 과정을 밝히는 것이어야 했다.0230)

 한편 맹아론에 대한 연구사적 반성이 있었는데 이것은「浮彫的 수법」으로 제시된 것에 대한 문제 제기에 한정되어야지, 일국사의 내적 발전논리를 부정하는 것이어서는 안된다. 바꿔 말하면 내적 발전논리를 지나치게 강조하여 실증할 수 있는 선을 넘어 그것을 도식적으로 강조하는 것도 비판되어야 하지만, 맹아론이 갖는 역사적 의미를 고려하지 않은 채 그것을 부정하는 것도 마찬가지로 비판될 수 있다.

 전자는 주로 도식적인 이론에 맞추어 봉건제로부터 자본제로의 이행과정에서 당연히「부르주아 혁명」을 거쳐야 하며 그러한 밑바탕으로서 부르주아층을 도출해 내고자 하는 좌편향적인 맹아론 연구에서 나온 것이었다.0231) 반면 후자는 서구 자본주의 발전과정에서 도출된 맹아론을 한국의 발전과정 속에서는 검출할 수 없으며 그것을 부각시키는 것은 부조적 수법 내지 민족주의적 열망이라고 주장하는 우편향적인 견해이다.0232)

 전자의 연구는 주로 도식적인 유물론자에게서 찾아지며, 후자의 연구는 대체로 미국·일본 또는 국내의 일부 연구자에게서 나타난다. 전자의 경향성은 이미 1970년대까지 마무리된 데 대해, 후자의 경우는 1990년대에 들어와서도 여전히 주장되고 있다. 이같은 편향성은 향후 실증적인 역사 연구를 통해 극복될 수 있는 부분도 있지만 다분히 역사인식 태도의 차이에서 기인하기 때문에 서로 상대방을 설득시키지 못할 가능성이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일본이나 미국의 한국 연구는 한국사의 고유한 발전논리에 대한 연구보다 제3자가 보는 한국사 연구에 머물 가능성이 많다.0233) 그러한 특수성 논리는 유럽 및 일본의 봉건제를 중심으로 아시아를 설명하려는 방식으로 경사한다. 이후의 자본주의에 대한 연구도 그 연장선에 있다.

 특히 아시아적 특질을 내세우며 세계사적 보편성을 부정하는 논리의 뒷 편에는 일본 중심의 세계관이 도사리고 있고 그러한 논리가 곧 한국사의 보편적 발전을 부정하는 특수한 발전논리로 포장되어 나타나는 것을 경계해야 한다.0234) 그것은 일제 식민사관에서도 이론화되었던 정체성과 타율성 논리의 연장선에 있다. 그러한 이론의 근거로 내세워지는 것은 봉건국가의 專制的 성격과 그러한 권력을 상징하는 王土思想이다. 이 때 주의할 것은 일본의 봉건적 토지소유와 한국의 그것은 전혀 다른데도 불구하고 똑같은 이론을 적용시키려고 한다는 점에 있다. 예컨대 일본에서의 토지소유·보유관계를 將軍-大名·給人-農民이라는 지주-소작관계로 보고 조선의 토지소유·보유관계인 국왕-궁방·양반지주-소작농을 일본의 그것과 기본적으로 서로 유사한 것이라고 하는 방식이다.0235)

 이러한 이론에 따르면 한국 봉건사회의 기본구조는 비록 소유의 복합적·중층적 내지는 상호의존적 관계가 확인되지만, 궁극적으로는 최고의 정치지배자인 국왕의 단일한 토지소유(국가적 토지소유)로 수렴된다. 또한 국가적 상품경제는 지주적·농민적 상품경제를 압도하면서 변혁주체로서 국가적 수탈기구에 기생한 중간계층을 상정하여 한국사의 특질을 거론하고 있다. 이같은 논의는 자생적인 내적 발전의 논리를 부정하는 결과를 가져오며 따라서 맹아론을 부조적 수법으로 비판하면서도 스스로 그것을 탈피할 방법을 찾는 데 실패하게 된다. 이같은 견해는 소위 重層的 토지소유를 주장하는 논자에게서 공통적으로 찾아진다.0236)

 봉건사회 결여론의 가장 핵심적인 부분인 봉건적 토지소유에 대한 이같은 오해는 향후 상부구조인 국가의 성립과정을 통해 밝혀지겠지만, 아울러 장기적으로 사적 토지소유의 발전이 봉건사회 최말기까지 어떻게 나타났는가를 함께 살펴보는 가운데 해결될 수 있을 것이다. 봉건적 토지소유가 해체하고 근대적 토지소유가 탄생하는 과정은 곧 사적 토지소유에 대한 국가의 법인을 통해 이루어지기까지의 전 과정을 의미하기 때문이다.0237)

 내재적 발전론의 핵심은 단순한 자본주의 맹아가 아니다. 그 이면에는 봉건적 토지소유와 그것의 해체를 통해 전망될 수 있는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을 시야에 넣고 전 구조적으로 한국사의 내적 발전논리를 찾는 데 있다. 세계사의 보편적 발전논리는 서양의 발전논리에서만 도출된 것이어서는 안된다. 아시아의 특수한 발전논리가 결합된 보편적 발전법칙이어야 한다. 따라서 세계사의 발전법칙에 대한 연구는 서양에서 시작되었다 하더라도 아시아의 역사 경험이 결합되어야 한다는 점에서 아직 완성된 것이 아니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한국의 특수한 발전논리가 결합되어야만 세계 자본주의를 이해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0230) 金容燮,<日帝 官學者들의 韓國史觀-日本人은 韓國史를 어떻게 보아왔는가->(≪思想界≫1963년 2월호).
0231) 이같은 경향에 대한 비판은 다음의 글에 소개되어 있다.

吳 星,<資本主義 萌芽論의 硏究史的 檢討-初期의 硏究를 중심으로->(≪韓國史市民講座≫9, 一潮閣, 1991).
0232) 이같은 경향에 대한 비판은 다음의 글에 잘 소개되어 있다.

청아 편집부,<內在的 發展論의 전진을 위한 方法論的 고찰-일본의 韓國史硏究 수용과 관련하여>(≪封建社會 解體期의 社會經濟構造≫, 청아출판사, 1982).

金仁杰,<1960, 1970년대 ‘內在的 發展論’과 韓國史學>(≪金容燮敎授停年退職紀念 韓國史學論叢≫, 1997).
0233) 최근 일본이나 미국의 한국사 연구와 관련하여 다음의 글이 참고된다.

竝木眞人,<戰後日本にぉける朝鮮近代史硏究の現段階-‘內在的發展論’再考-> (≪歷史評論≫482, 1990).

존 던칸(John Duncan),<미국대학 한국사 교육의 동향과 문제점>(≪歷史敎育≫58, 1995).
0234) 이세영,<‘내재적 발전론’을 가장한 또 하나의 식민주의 역사인식>(≪역사와 현실≫7, 한국역사연구회, 1992).
0235) 安秉珆,≪朝鮮近代經濟史硏究≫(日本評論社, 1975), 第1章 謬說の批判的檢討.
0236) 이영훈,<조선후기 ‘자본주의 맹아성립론’ 비판>(≪대학≫창간호, 1985).

―――,<한국자본주의의 맹아문제에 대하여>(≪한국의 사회경제사≫, 한길사, 1986).
0237) 한국역사연구회 근대사분과 토지대장연구반,≪대한제국의 토지조사사업≫(민음사, 1995).

崔允晤, 앞의 글(1996).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