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7. 어·염업의 발달1) 어업(2) 수산물의 종류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2) 수산물의 종류
가. 도별 수산물

 조선 후기의 수산물의 종류나 수산자원의 분포 상태를 밝히는 데 가장 중요한 자료는≪輿地圖書≫物産條이다.0534) 이 책은 영조대 후반기에 각 읍에서 편집한≪邑誌≫를 종합 편성한 것이므로 이 책에 실린 수산물은 18세기 후반중에 생산되고 있었다. 여기에 실린 수산물을 도별로 정리해 보면<표 1>과 같다. 이 중에는 동일한 것인데도 한자표기가 두 가지 이상인 것도 있고, 명칭 자체가 두 가지 이상인 것도 보인다. 이들에 대하여 당시에 가장 많이 사용된 명칭과 현재의 명칭을 보면 다음과 같다.

鯽魚(鮒魚;붕어), 餘項魚(熱目魚·軟項魚?·淵項魚?;열목이), 鰱魚(連魚), 洪魚(紅魚), 錢魚(鱄魚·鮦魚·箭魚;箭魚는 살치일 수도 있음), 道味魚(刀味魚·道味), 麻魚(磨魚;삼치), 䰶魚(望魚;망둥이), 鰈魚(比目魚·加魚;가자미), 石首魚(石秀魚·石魚;조기), 古刀魚(古道魚;고등어), 鯊魚(魦魚·沙魚·床魚·鮫魚;상어), 魴魚(方魚), 鰒(生鰒·全鰒;전복은 마른 전복), 紅蛤(淡菜), 小螺(螺), 藿(甘藿;미역).

魚 類 貝 類 甲 殼 類 海藻類 기 타

水産動物
기 타


秀魚 白魚 訥魚 葦魚 石首魚

錦鱗魚 洪魚 鱸魚 蘇魚 眞魚

民魚 鯽魚 錢魚 兵魚 黃石首魚

鯉魚 銀口魚 廣魚 麻魚 河豚

錦魚 烏鱗魚
石花 土花 竹

蛤 黃蛤 小螺

蛤 生蛤 大蛤

小蛤

 
蟹 中蝦 靑蟹

紫蝦 大蝦 白

蝦 生蟹 靑蝦

蝦 紫蟹

 
  絡蹄 烏賊魚

好獨魚 海䑋



 
魚鰾




 


秀魚 鯽魚 石首魚 鱸魚 訥魚

錢魚 鯊魚 錦鱗魚 民魚 麻魚

洪魚 靑魚 葦魚 眞魚 銀口魚

白魚 刀魚 大口魚 鯉魚 吹沙魚

密魚 道味魚 川魚 鐵魚 烏鱗魚

細尾魚 黃小魚 冬白魚
石花 蛤 鰒

小螺 紅蛤 江

瑤柱



 
蟹 大蝦 紫蝦

蝦 荒蟹




 
海衣 細毛

黃角 靑角

甘苔



 
鳥賊魚 絡蹄

海蔘 骨獨




 
魚鰾





 


餘項魚, 訥魚 錦鱗魚 銀口魚

大口魚 廣魚 松魚 魴魚 鰱魚

古刀魚 黃魚 鯊魚 秀魚 銀魚

赤魚 鰈魚 麻魚 鯽魚 鱸魚 明

太魚 靑魚 洪魚 錢魚 雙足魚

鳳川小魚
紅蛤 生鰒 鰒

大蛤 回細蛤




 
蟹 紫蟹





 
藿 海衣 早

藿 黃角 細




 
海蔘 文魚 海





 





 


秀魚 錦鱗魚 餘項魚 洪魚 石首

魚 訥魚 鱸魚 鯽魚 民魚 銀口

魚 眞魚 鯊魚 蘇魚 廣魚 鯉魚

葦魚 麻魚 錢魚 頸長魚 鯨長魚

鮎魚 銀魚 細魚 長魚 鰻鱺 軟項

魚 淵項魚 吹沙魚 赤頂魚 中魚

渭魚
石花 蛤 土花

輪花 小螺 小





 
蟹 蝦 白蝦

紫蝦 大蝦 中

蝦 紫蟹




 





 
絡蹄 文魚

烏賊魚





 
魚鰾 魚卵

蝦卵





 


秀魚 鯽魚 訥魚 洪魚 靑魚 石

首魚 民魚 葦魚 鱸魚 錦鱗魚

銀口魚 鯊魚 鯉魚 蘇魚 白魚

蠡魚 眞魚 麻魚 廣魚 魴魚 大

口魚 道味魚 黃石首魚 細魚 河

豚 長頭魚
石花 蛤 竹蛤

鰒 小蛤 紅蛤

小螺 土花



 
蟹 紫蝦 白蝦

大蝦




 
絲藿 藿 黃

角 海衣 海

苔 靑角 牛

毛 細毛


 
絡蹄 海蔘 烏

賊魚




 
魚鰾 魚卵





 


鰱魚 松魚 黃魚 古刀魚 靑魚

魴魚 銀魚 大口魚 洪魚 麻魚

鰈魚 秀魚 廣魚 銀口魚 鯽魚

瓜魚 鯊魚 餘項魚 白魚 道味魚

鯉魚 明太魚 無泰魚 錢魚 蠡魚

臨淵水魚 鱸魚 雙魚 河豚 川魚

筆魚 羅魚 繡魚 鼠赤魚
紅蛤 蛤 鰒

石花 白蛤 江

瑤柱 大蛤 小

螺 沙蛤



 
蟹 紫蝦 川蟹






 
藿 塔士麻

昆布 古里

麻 海藿




 
海蔘 文魚 海






 





 


銀口魚 大口魚 鯽魚 赤魚 洪魚

鱸魚 黃魚 鯊魚 石首魚 廣魚

秀魚 魴魚 錢魚 古刀魚 鯉魚

松魚 鰱魚 葦魚 占察魚 白條魚

道味魚 蘇魚 白魚 眞魚 矢魚

烏鱗魚 三申魚 道也味
鰒 紅蛤 石花

蛤 白蛤 土蛤

黃蛤 小螺 江

瑤柱


 
蟹 紫蝦 紫蟹





 
藿 海衣 靑

角 牛毛 烏

海藻 絲藿

細毛 昆布

塔士麻 加

士里
海蔘 文魚 絡

蹄 烏賊魚 海




 





 


秀魚 銀口魚 鯽魚 石首魚 眞魚

民魚 鱸魚 葦魚 白魚 鯊魚 刀

魚 古刀魚 麻魚 靑魚 生魚 洪

魚 蘇魚 廣魚 兵魚 行魚 䰳魚

錦鱗魚 銀魚 道味魚 玉頭魚 加

不魚 錢魚 河豚
石花 鰒 甘蛤

紅蛤 蛤 竹蛤

黃蛤 小螺 大

蛤 土花 小蛤

海螺 鸚鵡螺

蟹 大蝦 蝦

白蝦 中蝦 紫




 
藿 甘苔 黃

角 海衣 莓

山 牛毛 黃



 
絡締 烏賊魚

文魚 海蔘




 
魚鰾 魚膠 蠙

珠 玳瑁




 

<표 1>≪輿地圖書≫物産條의 수산물

*비고:대체로 빈도수 순으로 나열하였으나 각 부류의 말미 부분은 대개 1번으로 빈도수가 같다.

 수산물의 종류는 조선 초기에 비해 추가된 것이 많다. 그 가운데 현재의 이름을 알 수 있는 것은 담수어로서는 吹沙魚(모래무지)·密魚·鐵魚·頸(鯨)長魚·長魚(鰻鱺)·矢魚(사루기)·白條魚·蠡魚(가물치) 등이 있고 鹹水魚로서는 鮐魚·河豚(복, 하돈은 황복일 것임), 長頭魚(짱뚱어) 등이 있고, 연체 동물로서 好獨魚(꼴뚜기)가 있다.

 현재의 이름을 알기 어려운 것은 烏鱗魚·錦魚·川魚·鳳川小魚·冬白魚·赤頂魚·中魚·渭魚·筆魚(피리, 즉 피라미?)·羅魚·繡魚·鼠赤魚·三申魚·道也味·䰳魚 등이다. 이들은 대부분 기재된 빈도수가 적다. 특정 지방 어류의 방언을 기재한 것도 있을 것이다.

 특기할 만한 것은 함경도와 강원도의 물산에 明太魚가 들어 있는 점이다. 조선 후기에 이르러「명태」라는 명칭이 널리 통용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영조 17년(1714)의 貢人市民 등의 弊瘼에 대한 비변사의 啓辭에도 명태라는 명칭이 보인다.0535)

 어류 이외의 수산물의 종류는 조선 전기와 대동소이하다. 해조류에 塔士麻라는 것이 보이는데, 이는 조선 초기의 多絲亇와 같은 것으로, 昆布 즉 다시마를 가리킨다. 丁若鏞은≪經世遺表≫에서 北道의 곤포는 천하에 진기한 것인데 곤포의 작은 것을 방언으로 多士麻라고 하고, 이것은 오직 咸興바다에서만 생산된다고 하였다.0536) 그런데 앞의 표에서 경상도에서도 탑사마가 산출되는 것으로 되어 있는 것은 이해하기 어렵다. 다시마는 경상도에서는 자생하지 않았다. 경상도의 탑사마는 곤피가 아니면 다른 해조류를 가리키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19세기초에 저술된 丁若銓의≪玆山魚譜≫, 金鑢의≪牛海異魚譜≫, 徐有榘의≪蘭湖漁牧志≫魚名攷 등에도 각종 수산물이 실려 있다.≪여지도서≫에는 보이지 않으나 오늘날 많이 잡히고 있는 것으로≪자산어보≫에는 멸치와 정어리가,≪우해이어보≫에는 멸치·정어리·삼치가,≪난호어목지≫에는 쥐치가 실려 있다.

0534)≪輿地圖書≫(國史編纂委員會, 1979).
0535)≪備邊司謄錄≫109책, 영조 17년 11월 18일.
0536) 丁若鏞,≪經世遺表≫권 14, 均役事目追議 1, 海稅.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