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2. 신간회운동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1. 1920년대 국내 민족주의 세력의 동향
          • 1) 1920년대 전반의 ‘문화운동’
            • (1) 신문화건설, 실력양성론의 대두
            • (2) 청년회 운동
            • (3) 학교설립운동
            • (4) 물산장려운동
          • 2) 1920년대 중후반 자치운동의 전개와 민족주의 세력의 분화
            • (1) 자치운동론 대두의 배경
            • (2) 자치운동의 전개
            • (3) 자치론과 반자치론
        • 2. 조선공산당의 성립과 활동
          • 1) 사회주의사상의 도입
            • (1) 사회주의사상의 국내 도입과 수용
            • (2) 국외 전위정당의 결성과 활동
          • 2) 국내 무산계급 운동의 성장
            • (1) 사회주의 분파의 형성
            • (2) 꼬르뷰로 국내부와 화요파의 성립
            • (3) 오르그뷰로와 ‘13인회’
            • (4) 화요파와 민중운동자대회
          • 3) 조선공산당의 창건
            • (1) 조선공산당 1차당대회
            • (2) 조선공산당의 활동과 코민테른의<1925년 9월 15일 결정>
            • (3) ‘1·2차 조선공산당사건’과 조선공산당 2차당대회
            • (4) 조선공산당 3차당대회와 정치노선
          • 4) 조선공산당의 해체와 당재건운동
            • (1) 조선공산당의 해체와<12월테제>·<9월테제>
            • (2) 1920년대 말 당재건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1. 6·10만세운동
          • 1) 융희황제의 승하와 6·10만세운동의 태동
          • 2) 해외의 6·10만세운동 계획과 추진
          • 3) 국내의 6·10만세운동 추진과 발각
          • 4) 학생들의 만세시위 추진
          • 5) 만세시위의 전개와 성격
            • (1) 서울의 만세운동
            • (2) 지방의 움직임과 만세시위
          • 6) 6·10만세운동의 이념
          • 7) 6·10만세운동과 그 영향
        • 2. 신간회운동
          • 1) 창립 배경
          • 2) 신간회의 창립
            • (1) 사회주의자들의 신간회운동론
          • 3) 복대표대회와 신간회의 정비
            • (1) 복대표대회 개최와 규약 개정
            • (2) 복대표대회 선출 간부진의 성격
          • 4) 지회의 설립과 활동
            • (1) 지회의 설립
            • (2) 지회의 성격과 활동
          • 5) 신간회의 해소
            • (1) 신간회 해소론
            • (2) 신간회지회의 해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1. 농민운동
          • 1) 일제시기 농민운동의 성격
          • 2) 일제의 농업정책과 한국 농민의 처지
          • 3) 농민운동 조직의 발전
          • 4) 농민운동의 전개
            • (1) 1920년대 전반기
            • (2)1920년대 후반기
          • 5) 1920년대 농민운동의 특징
        • 2. 노동운동
          • 1) 노동운동 전개의 배경
            • (1) 노동자계급의 상태
            • (2) 사회주의의 보급
          • 2) 노동조합의 조직
            • (1) 전국적 노동조합
            • (2) 지방 노동조합의 조직
            • (3) 산업별 노동조합의 조직
          • 3) 노동조합의 조직 내 사업과 공장 내 활동
          • 4) 노동조합의 후생복지 사업 및 소비자운동
          • 5) 노동조합의 작업부와 생산조합의 조직
          • 6) 노동조합의 문화활동
            • (1) 노동자 교육활동
            • (2) 언론·출판 활동
            • (3) 연예·체육 활동
            • (4) 봉건적 사회제도·문화 타파운동
          • 7) 노동조합의 국내적·국제적 연대
            • (1) 국내에서의 민족·민중 연대
            • (2) 세계 노동자계급과의 동지적 연대
          • 8) 노동자들의 파업투쟁
            • (1) 1920년대 전반기 파업투쟁
            • (2) 1920년대 후반기 파업투쟁
            • (3) 1929년의 원산총파업
        • 3. 여성운동
          • 1) 국내외 항일여성운동
            • (1) 국내 항일여성운동
            • (2) 해외 항일여성운동
          • 2) 한국여성운동의 확대와 발전
            • (1) 서울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2) 지방의 여성계몽교육운동
            • (3) 기독교 여성의 여성운동:조선여자기독교청년회와 조선여자
          • 3) 여성 경제의식 성장과 경제자립운동
            • (1) 부녀들의 조선물산장려운동
            • (2) 여성의 경제적 자립활동
          • 4)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대두와 확대
            • (1) 조선여성동우회의 조직과 활동
            • (2)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분파적 확대
            • (3) 사회주의 여성운동의 지방 확대
          • 5) 근우회의 조직과 활동
            • (1) 근우회 조직의 배경
            • (2) 근우회의 창립과 이념
            • (3) 근우회 활동과 그 성격
            • (4) 근우회의 해소
        • 4. 형평운동
          • 1) 형평사의 창립배경
          • 2) 형평사의 창립
            • (1) 형평사의 창립 과정
            • (2) 형평사 창립에 대한 사회의 반응
          • 3) 형평사의 분열과 그 극복
            • (1) 형평혁신동맹의 창립
            • (2) 조선형평사중앙총본부로의 합동
          • 4) 형평사의 조직
            • (1) 중앙본부의 조직
            • (2) 지분사의 조직
            • (3) 형평사 조직의 확대
            • (4) 하위단체의 조직과 활동
          • 5) 형평사의 활동
            • (1) 차별철폐와 인권신장운동
            • (2) 생활생존권 수호운동
            • (3) 형평사원의 교육과 계몽활동
            • (4) 지방순회 활동
            • (5) 상호부조활동
          • 6) 형평사의 해소
            • (1) 사회주의운동계의 방향전환론
            • (2) 형평사내 급진·온건파의 갈등
            • (3) 형평사 해소론의 대두
            • (4) 형평청년전위동맹사건과 형평사의 종언
        • 5. 청년운동
          • 1) 청년운동의 발생배경
            • (1) 청년의 역사적 등장
            • (2) 청년단체의 출현
            • (3) 조선청년의 현실
          • 2) 조선청년회연합회와 초기 청년단체의 활동
            • (1) 조선청년회연합회의 결성과 ‘문화운동’
            • (2) 초기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3) 조선청년총동맹과 청년운동의 조직적 진출
            • (1) 전조선청년당대회와 청년운동의 분화
            • (2) 조선청년총동맹의 결성과 ‘무산계급 청년단체’의 확산
            • (3)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4) 청년운동의 방향전환과 민족협동전선
            • (1) 조선청년총동맹의 ‘신운동방침’
            • (2) 청년단체의 주요 활동
          • 5) 고려공산청년회와 사회주의 청년운동
            • (1) 사회주의 청년운동의 출현
            • (2) 고려공산청년회의 결성과 조직 변화
            • (3) 고려공산청년회의 청년운동 방침과 주요 활동
          • 6)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에 대한 대책
            • (1) 조선총독부의 청년단체 지도방침
            • (2) ‘중견청년’의 양성
        • 6. 학생운동
          • 1) 일제하 학생운동의 배경
            • (1) 근대학생운동의 본질
            • (2) 일제하 한국학생운동의 성격
          • 2) 1920년대 이전의 학생운동
            • (1) 개화·애국계몽운동기의 학생운동
            • (2) 2·8학생운동
            • (3) 3·1운동과 3·5학생운동
          • 3) 1920년대 학생운동의 기저
            • (1) 학생단체
            • (2) 동맹휴학
          • 4) 6·10학생운동
            • (1) 6·10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6·10학생운동의 추진
            • (3) 6·10학생운동의 전개
          • 5) 광주학생운동
            • (1) 광주학생운동의 사회적 배경
            • (2) 광주학생운동의 전개
            • (3) 광주학생운동의 전국적 확대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1) 창립 배경

 신간회의 창립은 민족주의세력과 사회주의세력의 협동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양 세력이 신간회 창립에 나서게 된 계기는 약간의 차이가 있었다. 민족주의세력은 당시 풍미하던 자치론에 대한 적극적 대응책으로 신간회 창립에 나서게 되었고, 사회주의세력은 그들의 운동노선인 민족협동전선을 구축하기 위해서였다.

 신간회 창립을 주도한 민족주의세력은 소위 민족주의 좌파 또는 비타협적 민족주의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었다. 이들은 당시 민족주의 우파 또는 타협적 민족주의세력이 주장하던 자치운동을 극도로 경계하고 있었다

 자치론이 제기되기 시작한 것은 1923년 가을부터였다. 동아일보사와 일부 천도교 간부들이 주동이 된 민족주의 우파진영은 아베 미쓰이에(阿部充家)와 총독부의 정책적 지원을 등에 업고 우익세력단체인 硏政會를 조직하고자 하였다. 이에 앞서 이들은 李光洙로 하여금 이 조직의 이념적 지향이 될<民族的 經綸>이라는 논설을≪동아일보≫에 게재하게 하였다. 그러나 이 논설이 자치운동에 대한 주장이라고 하여 세간에 격렬한 반발을 불러 일으키자, 민족주의 우파측의 연정회 조직계획은 미수에 그치고 말았다.301) 자치론이 재차 시도된 것은 1926년 9월 말이었다. 9월 말 자치운동단체를 조직하기로 결의한 민족주의 우파세력은 10월 초순 조직 준비에 착수하여 朴熙道·金俊淵·趙炳玉·金麗植·崔元淳·韓偉健·沈友燮·崔南善·李光洙·卞榮魯·金鑽永·洪命熹·朴承喆·白寬洙·閔泰瑗·洪秉璇·金弼秀 등과 개별접촉에 나섰다.302) 10월 13일 자치운동자들은 시사간담회라는 준비위원회를 개최하고 발기계획을 발표하려 하였다. 그러나 지금 곧 민족주의단체를 조직해야 할 필요도 없고 경비와 인물도 없으니 이 문제는 당분간 보류하는게 좋겠다는 의견이 제기됨에 따라 논의후 해산하였다.303) 이러한 자치론자들의 동향은 비타협 민족주의자들의 경계심을 유발하였다. 이에 따라 비타협 민족주의자들은 ‘民族黨’ 결성에 박차를 가하게 되었고 그러한 시도의 일환으로 신간회 결성에 임하게 되었다.304)

 사회주의자들의 민족협동전선 시도는 신간회 이전에도 시도된 바가 있었다. 朝鮮共産黨은 1926년 2월 26일 제13회 중앙집행위원회에서 “민족해방의 조선독립과 공산정치의 통일기를 획책하고 민족·사회 양 운동자를 통일하기 위한 國民黨조직의 전제로서 천도교를 기초로 할 것”을 결의하였다.305) 이 결의는 사회주의자들이 행한 최초의 민족협동전선 논의라는 점과 구체적인 조직방법이 거론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이 결의에 따라 당시 조선공산당 책임비서 姜達永은 좌파 민족주의자들을 접촉하였다. 1926년 3월 10일 천도교 간부 權東鎭의 집에서 李鍾麟·申錫雨·安在鴻·權東鎭·朴東完·吳尙俊·兪億兼 등 7인과 회합하고 비타협적 민족운동과 공산주의운동의 공동작전을 펴는 데 대해 논의했다. 그후 1926년 6·10만세운동을 계기로 제2차 조선공산당 당원에 대한 검거로 당이 와해상태가 되자, 조선공산당의 민족협동전선론은 제3차 조선공산당으로 계승되어 나갔다.

 신간회 창립배경과 관련하여 중요한 의미를 갖는 것은<정우회선언>이었다. 이를 주도한 단체는 一月會였다.306) 창립시부터 국내운동의 파쟁을 비판하고 민족협동전선을 표방하였던 일월회의 지도자 安光泉은 河弼源 등과 더불어 1926년 8월 하기 휴가를 맞아 귀국하였다. 귀국후 제1·2차 조선공산당사건으로 국내 사회주의운동세력이 위축된 사실을 알게 된 안광천 등은 곧바로 正友會에 가입하였다. 이를 계기로 정우회의 주도세력은 화요회를 중심으로 한 四團體合同委에서 일월회 계열로 바뀌었다. 정우회를 장악한 안광천·하필원 등은 1926년 9월 28일 정우회 위원을 補選하여 새롭게 진용을 갖추는 한편, 11월 15일<정우회선언>을 발표하였다. 이때 이미 안광천은 金錣洙에 의해 재건된 제3차 조선공산당의 책임비서도 겸하고 있었다. 이 정우회선언은 후일 조선의 사회주의자들이 신간회에 참여하는 이론적 배경이 된 중요한 선언이었다. 정우회선언의 주요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① 과거의 분열에서 벗어나 사상단체를 통일하고 구체적으로 전위적 운동을 행하여야 한다.

② 교육을 통하여 대중을 조직화하고 질적·양적으로 그 영역을 확대하여 그것을 기초로 일상투쟁을 하여야 한다.

③ 종래의 국한되었던 경제적 투쟁에서 계급적·대중적·의식적 정치형태로 전환하여야 한다. 이 과정에서 타협적 민족주의자와 일시적인 공동전선이 필요하다.

④ 이론투쟁으로 운동의 진로를 제시하여야 한다.

 (≪조선일보≫, 1926년 11월 17일).

 이 정우회선언에서 문제가 되었던 것은 ③항이다. 여기에는 “경제적 투쟁에서 정치적 투쟁으로 전환해야 한다”는 방향전환의 내용과 민족협동전선론이 포함되어 있다.

 이 정우회선언이 발표되자, 정우회와 조직적 대립관계에 있었던 서울청년회는 정우회선언을 놓고 내부 진통의 결과, 신·구파로 대립하였다. 신파는 정우회선언을 찬성하였으며 구파는 종래 노선을 지지하였다. 이에 따라 구파의 영향하에 있었던 前進會는 1926년 12월 15일 정우회선언에 대한 결의문과 검토문을 발표하였다. 그러나 전진회를 중심으로 한 서울청년회 구파의 정우회선언에 대한<검토문>의 발표에도 불구하고 정우회선언은 국내외 수많은 사상단체 및 노동·청년단체의 지지를 받고 있었다. 이는 사회주의 단체가 민족협동전선에 대해 결성할 준비가 되어 있음을 뜻하는 것이다.

 1926년 초 사회주의세력은 크게 4단체합동위와 전진회 세력으로 양분되어 있었다 이때 4단체합동위는 동 단체를 실질적으로 주도하던 화요회·북풍회의 간부 다수가 조선공산당 제1차 검거사건으로 체포된 까닭에 세력이 약화된 상태에 있었다. 반면 전진회는 1926년에 들어서 민족협동전선을 예비하는 적극적 조처를 취하였다. 그러한 조처로서 전진회는 1926년 2월 20일 조선사회단체중앙협의회를 발의하였다. 전진회의 이러한 움직임은 해외의 민족해방운동과 밀접히 관련되어 있었다. 1926년 3월 전진회는 블라디보스톡에서 결성된 비타협적 민족유일당운동단체인 民族黨籌備會에 참여하였다. 전진회의 주도세력인 서울청년회 세력은 민족당주비회가 국내조직을 구축하려는 것을 기회로 자파 중심의 朝鮮民興會를 발기하였다.

 1926년 7월 8일 朝鮮物産獎勵會館에 모여 발기된 조선민흥회는 서울청년회계의 사회주의자들과 조선물산장려회계의 민족주의자들의 제휴로 이루어진 한정된 규모의 민족협동전선이었다. 조선민흥회의 발기취지는 “조선민족의 공동이익을 위하여 분투 노력함에는 반드시 전 민족적인 각 계급의 역량을 총집중한 조직력의 활동으로서야 가능할 것이므로 조선민족의 중심세력이 될 유일한 조직체를 완성하기 위하여 조선민흥회 발기준비회를 조직한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창립준비위원과 상무위원까지 선출한 조선민흥회는 일제에 의해 발기총회와 창립총회를 모두 금지당하여 구체적인 활동을 전개할 수 없었다. 이에 따라 1927년 2월 11일 조선민흥회는 신간회 대표들과 회동하여 신간회에 무조건 가입하기로 합의하였다.

301)<민족적 경륜>의 핵심적 내용은 “총독부가 허하는 범위 내에서” 민족운동을 전개해야 한다는 것이었다.<민족적 경륜>은 민족주의 진영 내에서 타협주의 세력과 비타협주의 세력의 대립을 표면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박찬승,≪한국근대 정치사상사 연구≫, 역사비평사, 1992).
302) 이때 자치운동에 반대하고 있던 조선일보사의 安在鴻과 金俊淵이 이 사실을 民興會 회원들에게 알려 주었다. 이에 민흥회의 明濟世는 최린을 찾아가 만약 자치운동단체 조직을 강행할 시에는 이를 극력 방해할 것이라고 경고하였다.
303)<民族運動槪觀>(≪齋藤實文書≫, 고려서림 영인본, 1926), 238∼240쪽.
304) 자치론에 관한 자세한 논의는 박찬승, 앞의 책 참조.
305)京城地方法院檢査局,≪第2次朝鮮共産黨事件檢擧ニ關スル報告錣≫(1926)(≪한국공산주의운동사≫2, 1986, 청계연구소, 373∼377쪽 재인용).
306)일월회는 1925년 1월 재일 유학생들을 중심으로 北風會의 재일본조직인 北星會를 해체하고 조직한 사회주의단체였다. 설립 당시 회원수는 많지 않았으나 여타 재일조선인단체의 간부를 겸하는 인물이 많았던 관계로 재일조선인운동에 대해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었다.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