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대 국사교과서Ⅱ. 고려 사회4. 몽고 침략에 대한 항쟁과 고려 말의 정치 상황

(3) 고려 말의 정치 상황

공민왕의 개혁 정책과 홍건적의 침입

원은 14세기 후반에 들어와, 각처에서 일어난 반란으로 쇠약해져 갔다. 공민왕은 이 때를 이용하여, 원을 배경으로 왕권을 누르고 있던 기철 등을 숙청하고 정동행성을 폐지하였다. 그리고, 쌍성총관부를 공략하여 영흥 이북의 땅을 다시 찾았고, 나아가서 인당, 최영으로 하여금 요동 지방을 공략하게 하였으며, 원의 간섭으로 바꾸어졌던 관제를 추구하였다.

한편, 원이 쇠약한 틈을 타서 일어난 홍건적이 공민왕 때 서경을 점령하였고, 그 후에 다시 개경을 함락하니, 정세운, 안우 등이 대군을 동원하여 이를 격퇴하였다.

그 뒤, 원은 공민왕을 물러나게 하기 위하여 북서에서 침입해 왔으나, 최영(崔瑩)이 이를 격파하였고, 또 원의 장수 나하추가 북동에서 침입해 오자, 이성계가 이를 격퇴하였다.

한편, 공민왕은 요동 땅을 회복하고자 지용수와 이성계로 하여금 북서, 북동 양면에서 북진하게 하였다. 그리하여, 이성계는 황초령을 넘고 압록강을 건너 요양(랴오양)을 점령하고, 이 땅이 원래 우리 나라 땅임을 선포하였다. 요양 지역은 뒤에 명나라 군대가 점령함에 따라 그들의 지배하에 돌아가고 말았다.

왜구의 침입과 위화도 회군

공민왕 때부터 우왕 때에 걸쳐 왜구의 침략이 극도에 달하여 전국의 해안 지방을 황폐하게 만들고, 살인, 방화, 약탈을 자행하였으며, 강화도에까지 침입하였다.

고려는 처음에, 외교적 교섭으로 왜구의 창궐을 막아 보려 하였으나, 그것에 실패하자 국방력을 강화하여 무력적인 토벌에 나섰다. 토벌 작전은 전국 곳곳에서 이루어져 큰 전과를 거두었는데, 그 중에서 최영과 이성계는 왜구 토벌의 영웅으로서 국민의 두터운 신망을 받았다.

이 때, 최무선은 중국 상인에게서 화약 젯법을 배워 화포를 만들어, 서해안에 출몰하는 왜구의 함대를 크게 무찔렀다, 한편, 박위는 왜구의 소굴인 쓰시마 섬을 정벌하여, 왜구의 기세를 꺾는 데 기여하였다.

왜구 토벌이 한창 진행 중이던 우왕 말년에 명과의 영토 분쟁이 일어났다. 명은, 원의 쌍성총관부 관할하에 있던 고려 땅을 그들의 직속령으로 만들겠다고 고려에 통보해 왔다. 이에, 고려의 조야는 명의 조처에 크게 분개하여, 도리어 이 기회에 명이 차지한 요동 지방을 회수하려고 하였다.

그러나, 요동 정벌을 둘러싸고 조정의 의논은 둘로 갈라졌다. 최영을 대표로 하는 일부 무장들은 즉각적인 출병을 주장하였고, 이성계를 대표로 하는 다른 무장들은 국내의 정세로 보아 요동 정벌은 실제로 불가능하다고 판단하여 출병을 반대하였다.

결국, 최영의 주장대로 정벌군이 파견되었으나, 이성계 등은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최영 등의 세력을 제거하였다. 이 사건을 계기로 이성계 등은 정치적 실권을 장악하고, 명과의 관계를 호전시켜 새 왕조를 개창하는 중요한 계기를 잡게 되었다.

위화도 부근도   

여말 정치 세력의 성격

당시 국내에서는 권문 세가들이 나라의 정치를 좌우하는 한편, 원의 세력과 연결하여 많은 토지를 차지하고 수탈을 함부로 하여 민중을 도탄에 빠뜨렸다. 그러나, 신진 유신이나 문인들은 아직 나약하여 권문 세가와 대결할 만한 힘이 없었다.

그리하여, 공민왕이 반원 정치를 수행하기 위해서는, 밖으로는 원의 세력과 싸워야 하고, 안으로는 권문 세가를 누르지 않으면 안 되었다. 그러나, 원의 압력으로 왕권이 강화될 수 있는 기반이 약화되었으므로, 공민왕의 개혁 정치를 추진할 만한 계층이 성립되지 못하여, 헛된 정치적 혼란만 거듭하였다.

창닫기
창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