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총설01권 한국사의 전개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5. 근현대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한국사의 전개를 보는 시각
        • Ⅱ. 원시공동체의 사회
        • Ⅲ. 귀족의 탄생과 왕권의 강화
        • Ⅳ. 지배세력의 기반 확대
        • Ⅴ. 민족 구성원 전체의 사회참여
        • Ⅵ. 새로운 시각의 효과
      • Ⅰ. 자연환경
        • 1. 생태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위치와 지형
            • (1) 위치
            • (2) 지형
          • 2) 한반도의 기후
            • (1) 기후 특성
            • (2) 기온
            • (3) 강수량
            • (4) 한반도의 기후구분
          • 3) 식생
            • (1) 한반도의 자연식생과 잠재자연식생
            • (2) 삼림식생분포
            • (3) 식생분포와 기후
          • 4) 동물
            • (1) 동물분포
          • 5) 생태계
            • (1) 삼림생태계
            • (2) 하천생태계
            • (3) 간석지생태계
          • 6) 생물상
            • (1) 식물상
            • (2) 동물상
        • 2. 지리학적 특성
          • 1) 한반도의 지리적 위치
          • 2) 지질
          • 3) 지형
            • (1) 산지
            • (2) 하천과 평야
            • (3) 해안과 해양
          • 4) 기후
            • (1) 기온
            • (2) 강수
            • (3) 계절
          • 5) 요약 및 소결
        • 3. 인류학적 특성
          • 1) 한국인의 계통과 신체적 형질
          • 2) 자연환경과 지역성
          • 3) 농민의 육지생태계와 어민의 해양생태계 특성
          • 4) 산촌과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1) 산촌 주민의 생태적 특성
            • (2) 낙도 주민의 생태적 특성
          • 5) 도시인의 주거지역과 생태적 특성
            • (1) 중간층의 서민 주거지역
            • (2) 상층의 고급주택ㆍ아파트 주거지역
            • (3) 하층의 빈민 주거지역
      • Ⅱ. 한민족의 기원
        • 1. 고고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문화계통의 다원론적 입장-
          • 1) 연구방법론 선행조건
          • 2) 편년
          • 3) 문화계통
            • (1) 구석기시대
            • (2) 신석기시대
            • (3) 청동기시대
            • (4) 철기시대
          • 4) 한국문화의 다원론
        • 2. 민족학적으로 본 문화계통
          • 1) 한민족·한국문화 기원론의 흐름
            • (1) 한민족 형성과정에 대한 세 개의 입장 -혼혈론·주민 교체설·단혈성론-
            • (2) 퉁구스족과 예·맥·한족의 관계
          • 2) 고대 한민족의 문화적 여러 양상과 그 계통
            • (1) 민족지로서의≪삼국지≫위서 동이전과 문화권의 문제
            • (2) 생업기반과 사회조직
            • (3) 농경의례와 사회습속
            • (4) 샤머니즘의 세계관
          • 3) 맺는말
        • 3. 문헌에 보이는 한민족문화의 원류
          • 1) 곰과 호랑이 토테미즘
          • 2) 태양신앙·새 토템과 난생설화
          • 3) 산악신앙과 신수신앙
          • 4) ‘기자조선’과 은주문명
          • 5) 조선·한·예·맥의 공간
          • 6) 맺음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1. 선사
          • 1) 역사의 서장-구석기문화
          • 2) 정착생활의 신석기문화
          • 3) 청동기문화
          • 4) 원삼국문화
          • 5) 한국 농경문화의 기원-쌀문화의 원류를 찾아서
        • 2. 고대
          • 1) 국가의 성립과 발전
            • (1) 고조선의 형성
            • (2) 삼국의 성립과 발전
          • 2) 통일 신라의 수취제도
            • (1) 계연과 9등호제
            • (2) 녹읍제의 성격
          • 3) 발해인과 발해국
        • 3. 고려
          • 1) 정치적 특성
            • (1) 중앙의 정치체제와 그 성격
            • (2) 지방의 통치조직과 그 성격
            • (3) 대외적 시련과 극복
          • 2) 경제적 특성
            • (1) 민전과 공전·사전
            • (2) 전시과제도와 농장
            • (3) 상공업의 실태
          • 3) 사회적 특성
            • (1) 신분구조와 그 성격
            • (2) 가족·친족과 여성
          • 4) 사상적 특성
            • (1) 불교와 유교
            • (2) 도교와 풍수지리·도참사상
          • 5) 맺음말
        • 4. 조선
          • 1) 조선왕조사의 특징과 시기구분
          • 2) 조선 초기의 사회와 문화
          • 3)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4) 조선 후기의 사회와 문화
        • 5. 근현대
          • 1) 근대적 사회변동과 자주 개혁의 시련
            • (1) 근대의 초기적 특징
            • (2) 개항의 역사성과 사상계의 동향
            • (3) 개혁·반개혁과 열강의 각축
            •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 전후의 사회 문화
            • (5) 대한제국의 성립과 독립협회, 시민운동의 대두
            • (6) 영·미의 책략과 일본 제국주의
            • (7) 반제국주의 민족운동의 전개
            • (8) 자주개혁의 좌절과 대한제국의 멸망
          • 2) 일제의 한반도 강점과 독립운동
            • (1) 일제의 강점과 식민통치의 기조
            • (2) 식민통치의 시기별 특징
            • (3) 한(조선)민족 독립운동의 전개와 의의
            • (4) 독립운동의 시기별 특징
            • (5) 일제 강점기의 생활
          • 3) 해방정국과 현대사의 전개
            • (1) 해방과 분단과 혼돈
            • (2)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 (3) 4·19혁명과 민주화운동
            • (4) 산업화와 사회 문화의 발전
            • (5) 민주주의 개혁과 통일운동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1. 언어
          • 1) 한국어의 구조적 특징
          • 2) 문자화의 긴 도정
          • 3) 분열과 통합의 역사
          • 4) 한국어의 계통
          • 5) 결언
        • 2. 문학
          • 1) 전반적 양상
          • 2) 문학사의 전개
          • 3) 미의식
        • 3. 종교와 사상
          • 1) 종교와 역사
          • 2) 한국 종교사의 범위
          • 3) 종교란 용어의 출현
          • 4) 고유종교의 문제
          • 5) 한국 종교사의 전개
            • (1) 원시시대
            • (2) 고대
            • (3) 고려시대
            • (4) 조선시대
          • 6) 한국 종교사의 특성
        • 4. 과학기술 -한국 과학기술사의 시기별 특징-
          • 1) 전통과학시대
            • (1) 한국 과학전통의 평가와 반성
            • (2) 전통과학의 관 주도적 특성
          • 2) 근대과학시대
            • (1) 근대 과학기술의 수준-실학 시기
            • (2) 근대과학기술의 수용-개화기
            • (3) 식민지 조선의 과학기술 전개
          • 3) 현대과학시대-한국전쟁 이후
            • (1) ‘원자력 과학’에서 ‘월남전 기술’로
            • (2) 자생단계의 한국 과학기술
        • 5. 미술
          • 1) 선사시대 미술의 특성
            • (1) 신석기시대
            • (2) 청동기시대
          • 2) 삼국시대 미술의 특성
            • (1) 고구려
            • (2) 백제
            • (3) 신라
          • 3) 통일신라시대 미술의 특성
          • 4) 고려시대 미술의 특성
          • 5) 조선시대 미술의 특성
          • 6) 맺음말
        • 6. 음악
          • 1) 한국음악사의 시대구분을 위하여
          • 2) 한국음악사의 전개양상
            • (1) 고대음악사의 형성과 발전
            • (2) 중세음악사의 큰 흐름
            • (3) 근대음악사의 큰 흐름
            • (4) 현대음악사의 현황과 당면과제
          • 3) 현대 남한음악계의 양상과 전망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4) 동학농민전쟁과 갑오경장 전후의 사회 문화

 문호개방과 더불어 사회변동이 급격하게 진행되었는데 그것은 자체변동과 제국주의 침략으로 말미암은 변동이 중첩해서 진행되어 복잡하게 나타났다. 그런데 1882년 임오군란부터 갑신정변·동학농민전쟁·갑오경장·청일전쟁·을미사변, 그리고 1896년의 아관파천에 이르는 가운데 정치는 주체를 상실하고 있었다. 그런데도 사회 문화의 변화는 자율성을 확보한 경우가 적지 않았다. 사회 문화의 변화는 동학농민전쟁의 폐정개혁안의 제기나 갑오경장 때 군국기무처의 개혁안처럼 자율화과정을 통하여 토착한 경우가 많았다. 어떤 경우는 일본제국주의의 관여와 방해로 토착화가 차단되거나 정치 경제는 타율성으로 끝난 경우가 많은데 비하면, 사회 문화는 자체적으로 자율화과정을 밟은 경우가 많았다. 식민지 안에서 민족문화가 존재했던 것도 거기에 이유가 있다. 그렇다면 구한말의 가장 큰 개혁이었다고 할 수 있는 동학농민전쟁의 폐정개혁안과 갑오경장의 사회 문화 개혁의 요목을 보는 것이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하겠다.

 동학농민전쟁은 동학란·동학농민혁명·동학농민전쟁·동학농민봉기·갑오농민전쟁 등으로 관점에 따라 호칭이 다르다.424) 동학농민전쟁은 전기항전(1894. 양력 2. 10∼6. 11)과 집강소 설치기(1894. 6. 11:음 5. 8∼10. 26:음 9. 18)와 후기독립전쟁기(1894. 10. 26∼12. 30)로 구분해서 이해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거기에서 농민전쟁 이념은 집강소 사회개혁의 성격이기도 한 폐정개혁안으로 나타났다. 폐정개혁안은 12조목으로 구성되었는데 분류해서 보면 네 가지로 나눌 수 있다.

① 탐관오리·부호·유림 양반 등의 지배층 숙정 ② 노비·칠반천인·백정·청춘과부의 해방 ③ 잡세금지·지벌타파·공사채 무효·왜와 간통엄벌의 시폐개혁 ④ 토지 평균분작

 폐정개혁안에서 구조개혁을 위한 제도개혁에 대한 언급이 약한 것은 지도역량의 한계였다. 하지만, 신분제 혁파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것은 구조적 모순과 시대적 모순을 일치시켜 이해한 조처였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개혁안은 일부 갑오경장에 반영되기는 했으나 갑오경장 추진세력과 주체 성격의 차이로 말미암아 그것이 당장의 역사 발전의 빌미가 되지 못했다는 것은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다.

 갑오경장에서 제1차개혁은 1894년 7월 27일부터 12월 17일까지 영의정 김홍집을 중심으로 군국기무처가 주도하여 210건의 사안을 개혁한 것이다. 거기에서 청나라에 대한 독립을 천명하고, 의정부와 궁내부를 양립시키고 6조를 8아문으로 나누고, 과거제도를 폐지하고 신분제를 혁파하고 공사 노비해방하고 과부 재가를 허용한 것 등은 동학농민전쟁의 폐정개혁안과 더불어 1894년에 사회 문화가 크게 변혁되었다는 것을 말해 준다. 신분제 혁파가 혁명적 조처였다는 것은 설명할 필요가 없다. 과거제도만 해도 고려 초에 실시한 1천년의 역사를 폐지한 것이다. 과거제가 유교왕조를 일으키고 또 유지시키는 기초가 됐던가 하면 유교사회와 유교문화를 유지하는 힘이 됐다는 측면에서 생각하면 그의 폐지가 앞으로 사회 문화를 다양하게 일으키는 계기가 될 것을 전망하기 어렵지 않다. 과부 재가를 금지했던 한국 봉건사회의 암적 특질을 해체한 것은 신분제 혁파에 버금가는 일대 전환인 것이다. 그런데 그때에 만든<신식화폐발행장정>에서 일본 화폐의 통용을 허용한 것처럼, 일본의 강요에 의하여 개혁한 타율성의 한계가 있었다. 일본의 강요는 조선을 보호국으로 만들 음모와 함께 추진한 제2차 개혁과 제3차 개혁으로 갈수록 더욱 심화되었다.

 제2차 개혁은 1894년 12월 17일부터 1895년 7월 7일까지 213건의 개혁안이 실시되었는데 역시 김홍집내각의 박영효가 주도하고 일본공사 이노우에의 조종을 받았다. 거기서<홍범14조>를 선포하고425) 내각을 7부로 나누고 전국을 23부 337군으로 구획했다. 그때 관세사와 징세사, 그리고 재판소와 경찰청을 독립시키고,<敎育立國詔勅>이 발포되어 성균관과 향교외에 한성사범학교를 선두로 국공립 각급학교를 설립하게 되었다. 그에 따라 새로 교과서가 편찬되고 역사편찬도 새롭게 일어났다.426)<소학교령>이 나와 오늘날의 교동·재동·매동초등학교의 모체가 세워진 것이다. 제3차개혁은 제3차 김홍집내각이 을미사변을 일으킨 일본공사 미우라 코로의 조종을 받으며 140여 건의 개혁을 실시했는데 양력사용과 단발령 강행이 대표적 사안이었다. 그것이 강한 저항에 부딪쳤는데 1백년이 지난 이제는 모두 단발하고 양력을 사용하고 있다. 앞에서 말한 바와 같이 이것은 타율성의 자율화과정의 여러 유형중의 하나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이와 같이 오늘날의 사회 문화는 어떤 것은 고대부터, 어떤 것은 조선시대부터, 어떤 것은 갑오경장부터 유래하였다. 어떤 것은 식민지시기에, 또 어떤 것은 민주화운동에서 유래한 것도 있다. 언제부터의 것이냐에 따라 역사적 성격을 달리 한다. 그런데 갑오경장에서 조선시대의 기본 윤리인 삼강오륜이나 관혼상제에 대한 검토는 수행되지 않았다. 개혁의 기준도 명확하지 않았다. 그러므로 법률상의 규범은 고사하고 윤리적 통제력도 발휘할 수 없었다. 그러니까 사회기강이 설 수가 없었고, 각종 종교가 난무해도 조정기능을 발휘하지 못한 문화 무정부 상태가 연출되고 있었다. 무정부상태가 자율성에 의한 결과라면 걱정할 것이 아니지만 타율성에 의한 현상이므로 역사 발전의 동력이 될 수 없었다. 오히려 침략에 도움을 준 경우가 많았다. 다시 강조하지만 모든 역사적 생산물은 자율성 여부와 타율성의 자율화과정을 검토하면서 살펴야 한다. 아울러 주의할 것은 자율성에서 출발한 것이라고 하더라도 자만하거나 자기우상에 빠지면 그때는 당초의 발생가치의 우월성에도 불구하고 역사를 해치고 만다는 점이다.

424)東學亂이라고 반란으로 이해하던 것을 혁명성으로 이해해야 한다고 주장한 최초의 논문은 黃義敦,<民衆的 叫呼의 第一聲인 甲午의 革新運動>(≪開闢≫1922년 4·5월호)이었다.
425)‘洪範’이란 중국의 夏나라 우왕이 발표했다는 ‘洪範九疇’에서 유래한 말로 국가의 기본규범을 일컫는 말이니 ‘헌법’이란 뜻과 같다.<홍범14조>는 한국사에서 첫 번째의 헌법과 같은 규범이 된다. 開國紀元도 여기서 비롯되었다.
426)趙東杰,<근대교육과 역사교과서>(≪現代 韓國史學史≫, 나남출판, 1998), 73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