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20년대 사회상

Home
English
검색
  • 회유의 정치
  • 개발과 수탈
  • 관공서와 신사
  • 특별주제
침략 전쟁의 기념물
이전
다음

일제는 1910년 대한 제국을 강점하여 식민지로 삼은 후, 기존의 침략 전쟁을 미화하고 기념함으로써 조선 지배를 정당화하려 하였다. 이를 위하여 임진왜란 참전 장수와 관계된 유적의 사진을 기념 엽서로 만들거나, 각지의 청일 전쟁 및 러일 전쟁 전적지에 기념물을 세웠다. 이로써 일제는 조선이 자신들의 희생을 바탕으로 정당하게 획득한, 그래서 앞으로도 영위해야 할 영토라고 강변했던 것이다.

더보기
닫기
임진왜란
설명 보기
설명 닫기

재조선 일본인들은 일제의 한반도 강점으로 이어지는 침략 전쟁을 기념하는 여러 활동들을 벌였는데, 임진왜란(1592~1598) 역시 그 주요 기념 대상이었다. 임진왜란은 도요토미 히데요시(豊臣秀吉)가 중국 명나라를 치러 갈 길을 빌려 달라는 요청을 거절했다는 구실로 조선을 침략했던 전쟁이다. 한국인에게 7년간의 전쟁은 전 국토가 피폐해지고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포로로 끌려 간 아픈 기억의 역사이다. 그런데 식민지기 일본인들은 한반도의 임진왜란 관련 유적을 방문하고 그 사진을 기념 엽서로 만들어 본국에 있는 사람들에게 보내곤 했던 것이다. 이는 17~19세기 일본 민중들 사이에 임진왜란 참전 장수들의 무공을 소재로 한 설화·야담 ·소설들이 유행하고, 메이지 유신(明治維新) 이후 임진왜란을 '신공 황후의 삼한 정벌을 계승한 쾌거'로 높이 평가하는 국학적 인식이 널리 보급되었던 것을 배경으로 한다. 일본인들은 임진왜란을 '병합'의 전사로 재인식하고 침략을 기념했던 것이다.

  • 경상남도 진주로 추정되는 다테 마사무네(伊達政宗)의 성터경상남도 진주로 추정되는 다테 마사무네(伊達政宗)의 성터
  •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올라서서 조명 연합군의 상태를 살폈다고 전해지는 간도의 산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올라서서 조명 연합군의 상태를 살폈다고 전해지는 간도의 산
  •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휴식을 취했다고 전해지는 육진(六鎭) 종성(鐘城)의 누대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가 휴식을 취했다고 전해지는 육진(六鎭) 종성(鐘城)의 누대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명군(明軍)을 격파한 경기도 고양 벽제관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명군(明軍)을 격파한 경기도 고양 벽제관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군의 군사가 갑옷을 걸고 휴식을 취한 나무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 군의 군사가 갑옷을 걸고 휴식을 취한 나무
  • 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명군(明軍) 이여송(李如松)의 대군을 격파한 벽제관고바야카와 다카카게(小早川隆景)가 명군(明軍) 이여송(李如松)의 대군을 격파한 벽제관
  • 충청남도 공주 산성에 세워진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기념비충청남도 공주 산성에 세워진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의 기념비
청일·러일 전쟁
설명 보기
설명 닫기

일제는 한반도에서 청과 러시아 세력을 축출하고 일본이 독점적 지위를 누리는 직접적 계기가 된 청일 전쟁(1894~1895)과 러일 전쟁(1904~1905)을 기리는 기념물을 한반도 곳곳에 세웠다. 그 중에는 러일 전쟁 중 러시아의 발틱 함대를 물리쳐 판세를 확정한 쓰시마 해전(일본해 해전) 기념비·기념탑처럼 승전을 기념한 것도 있지만, 전사자의 충성을 기리기 위한 위령탑도 상당했다. 그 중 청일 전쟁의 첫 격돌지였던 성환 전투에서 사망한 마쓰자키(松岐) 대위를 기리는 기념비 사진 등은 일본의 국사 교과서에까지 수록되어 일본인들의 충성심을 고취시켰다. 이러한 침략 전쟁의 기념물들은 일본인들에게 조선을 그들의 희생 속에서 획득한 정당한 영토로 각인시키는 역할을 했다. 그러나 이는 동시에 한국인들에게는 식민지화의 기념물에 다름 아니었기에 해방 이후 대부분 파괴되었다.

  • 청일 전쟁 성환 전투의 선봉 마쓰자키(松岐) 대위 전사지에 세워진 기념비청일 전쟁 성환 전투의 선봉 마쓰자키(松岐) 대위 전사지에 세워진 기념비
  • 일본군이 청군의 포대를 돌파한 평양 현무문일본군이 청군의 포대를 돌파한 평양 현무문
  • 청일 러일 전쟁의 전사자를 기리기 위한 충혼비(평북 의주)청일 러일 전쟁의 전사자를 기리기 위한 충혼비(평북 의주)
  • 청일ㆍ러일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는 압록강 전적비(구련성)청일ㆍ러일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는 압록강 전적비(구련성)
  • 청일ㆍ러일 전쟁에 참전한 군함 마쓰시마(松島)와 순난 충혼(殉難忠魂) 기념비청일ㆍ러일 전쟁에 참전한 군함 마쓰시마(松島)와 순난 충혼(殉難忠魂) 기념비
  • 해전 제20주년 기념비해전 제20주년 기념비
  • 해전 제20주년 기념비 준공식해전 제20주년 기념비 준공식
  • 러일 전쟁 기념비(평북 용암포)러일 전쟁 기념비(평북 용암포)
  • 러일 전쟁 때 신포 앞바다에서 폭침된 긴슈마루(金州丸) 충혼 기념비 스케치러일 전쟁 때 신포 앞바다에서 폭침된 긴슈마루(金州丸) 충혼 기념비 스케치
  • 긴슈마루(金州丸) 순난자 충혼 기념비 제막식(1922. 5)긴슈마루(金州丸) 순난자 충혼 기념비 제막식(1922. 5)
  • 긴슈마루(金州丸) 순난자 충혼 기념비긴슈마루(金州丸) 순난자 충혼 기념비
  • 긴슈마루(金州丸) 순난자 충혼 기념비 비문긴슈마루(金州丸) 순난자 충혼 기념비 비문
  • 쓰시마 해전 기념탑(진해만, 1929. 5. 28 제막)쓰시마 해전 기념탑(진해만, 1929. 5. 28 제막)
  • 쓰시마 해전 기념탑을 방문한 일본 황족 간인노미야(閑院宮, 1929. 10)쓰시마 해전 기념탑을 방문한 일본 황족 간인노미야(閑院宮, 1929. 10)
  • 러일 전쟁 전사자를 기념하는 표충비(만주 안동현, 1909)러일 전쟁 전사자를 기념하는 표충비(만주 안동현, 1909)
  • 척후로 투입된 전사자를 기리는 러일 전쟁 기념비(평북 정주)척후로 투입된 전사자를 기리는 러일 전쟁 기념비(평북 정주)
13809 경기도 과천시 교육원로 86 국사편찬위원회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