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특수훈련반(미 OSS)의 훈련을 마치고 공작임무를 수행하러 적 후방을 향하여 떠나던날 대장 이범석장군을 모시고

처음으로

English

1920년대 사회상 사진아카이브

1920년대 사회상 - 산업: 개발과 수탈

1920년대 식민지 조선은 산업, 특히 농업분야에서 '개발'이 이루어지고 주요 항구들이 증축, 개수축되는 등 사회간접자본이 확충되었다. 그 결과는 조선에서의 농업 생산량과 무역량의 증대라는 '경제성장'의 형태로 나타났다. 그러나 성장의 과실이 식민지 하의 한국인에게 돌아간 것은 아니었다. 산미증식계획에서 증산에 필요한 비용은 대개 소작인이었던 농민들이 부담해야 했고, 생산된 미곡은 지주와 정미업자를 통해 상품으로서 일본에 이출되었다. 한국인들은 생산한 쌀을 일본에 이출하고, 만주산 좁쌀을 식량으로 충당해야 했다. 조선총독부는 이러한 '무역'을 원활히 하기 위해서 항구의 설비를 확충하고, 일본 본토에 조선의 특산품을 선전하기 위해 각종 박람회를 개최하였다. 1920년대의 경제성장은 조선의 산업구조를 일본의 요구에 맞추어 농업, 특히 미곡 단작 형태로 재편하고 일본의 세력권 안에서의 무역을 증대시키는 것, 즉 일본에 대한 경제적 예속을 심화하는 속에서 이루어진 것이었다.

산미증시계획

항구의 개수축

조선박람회

항구의 개수축

1920년대 조선총독부는 식민지 조선의 주요 항구를 개수축하였다. 이전부터 수축을 시작해 이 시기에 준공된 항구가 진남포, 인천, 원산, 성진 등이었고, 또한 군산, 목포, 청진, 웅기, 다사도 등 5개 항구의 수축이 진행중이었다. 

                이와 같은 항만 시설의 확충은 무역량의 증대에 기인한 바 크다. 1차 대전의 호경기로 일본의 무역량이 급증함에 따라, 조선의 수이출량도 1919년에 총액 5억 5백만원에 달할 만큼 급증한 것이다. 그러나 1927년 기준 수이출 무역의 90%, 수이입 무역의 70% 이상이 조선-일본 간에 이루어진 데서 알 수 있듯이, 조선의 무역량 증대는 대일 무역의존도 상승의 다른 표현이었다. 또한 일본으로의 주요 이출품이 쌀이었기 때문에 항구에는 쌀 가마니가 산적된 모습을 쉽게 볼 수 있었다. 이에 주요 미곡 이출항은

군산

설명 보기

인천

설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