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특수훈련반(미 OSS)의 훈련을 마치고 공작임무를 수행하러 적 후방을 향하여 떠나던날 대장 이범석장군을 모시고

처음으로

English

1920년대 사회상 사진아카이브

1920년대 사회상 - 관공서와 신사

1920년대 조선총독부는 식민통치를 위한 기반 시설들을 신축하였다. 조선총독부로 대표되는 각종 관공서와 조선신궁으로 대표되는 각지의 신사가 그것이다. 조선총독부는 1910년 대한제국 강점 직후부터 조선총독부 신청사 건설과 조선신궁 조영을 하나의 계획으로 검토해 추진하였다. 이는 그만큼 관공서와 신사가 행정과 종교의 측면에서 일제의 핵심적인 식민통치시설이었음을 의미한다. 
        또한 관공서와 신사의 신축으로 조선의 경관도 변하였다. 일제는 초기에는 대한제국기의 시설을 관공서 청사로 그대로 사용했는데, 1920~30년대에 이르러 대개 웅장한 서양식 건물로 신축하였다. 반면 신사는 식민지 조선에 일본색을 더했다. 그 결과 식민지 조선에는 고유한 한국식 건축에 서양식, 일본식 건축이 병존하였는데, 신사로 대표되는 일본식 건축은 해방 이후 대부분 배제되었다.

관공서

신사

관공서

관공서는 통치자의 여러 시책과 각종 법령이 행사되는 공간이다. 이 때문에 제국주의는 식민지에 관공서를 지을 때 지배자의 우위성을 드러내고 피지배자를 위압할 수 있는 위치와 양식을 의식적으로 선택하였다.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1920년대에는 서울에 조선총독부(1926)와 재판소, 각지에 도청사, 부청사 등 다수의 관공서가 서양식으로 신축되었다. 이중 조선총독부 신청사는 조선의 궁궐인 경복궁의 전면에 위치하여 일본이 한반도의 새로운 통치자임을 여실히 드러내었다. 또한 일부 도청사는 도청 소재지가 이전됨에 따라 신축되었는데, 이는 식민통치상 중요한 도시를 중심으로 지역 구도를 재편하는 것이었다.

조선총독부

설명 보기

지방도청

설명 보기

경성재판소

설명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