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대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Ⅱ. 철기문화1. 철기시대3) 철기시대의 유적(4) 방어시설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1. 청동기시대
          • 1)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청동기시대의 개념
            • (2) 청동기시대의 시기구분
          • 2) 인골 및 편년
          • 3) 청동유물의 분포와 사회
            • (1) 각 청동유물의 형식과 그 분포
            • (2) 청동유물의 지역적 특성
            • (3) 청동기문화와 고조선
        • 2. 청동기시대의 유적과 유물
          • 1) 청동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호남·호서지방의 유적
            • (3) 영동·영서지방의 유적
            • (4) 영남지방의 유적
          • 2) 청동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무덤
          • 3) 청동기시대의 유물
            • (1) 토기
            • (2) 석기
            • (3) 청동기
            • (4) 뼈연모
          • 4) 야금술의 발달과 청동유물의 특징
            • (1) 청동기의 제작 기술
            • (2) 청동유물의 성분분석
          • 5) 토기의 과학적 분석
        • 3. 청동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4. 주변지역 청동기문화의 비교
          • 1) 시베리아 및 극동지역
          • 2) 중국
            • (1) 청동거울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2) 청동유물의 동물문양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청동기의 성분분석을 통해 본 중국과의 관계
          • 3) 일본
            • (1) 일본 청동기문화의 성격
            • (2) 한·일 청동기문화의 교류관계
      • Ⅱ. 철기문화
        • 1. 철기시대
          • 1)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1) 철기시대의 개념
            • (2) 철기시대의 시기구분
            • (3) 문헌자료와 철기시대
          • 2) 철기시대 유적의 분포
            • (1) 유적 분포의 특성
            • (2) 주요 철기유적
          • 3) 철기시대의 유적
            • (1) 집터
            • (2) 패총
            • (3) 무덤
            • (4) 방어시설
          • 4) 철기시대의 유물
            • (1) 철기 생산기술
            • (2) 철기유물
            • (3) 토기
            • (4) 토기의 과학적 분석
            • (5) 유리공예
        • 2. 철기시대의 사회와 경제
          • 1) 생업경제
            • (1) 생업
            • (2) 교역
          • 2) 사회
            • (1) 사회구성
            • (2) 의식과 신앙·예술
            • (3) 의식주생활
        • 3. 주변지역 철기문화와의 비교
          • 1) 중국
            • (1) 여명기(은·서주시대)
            • (2) 초보적 형성기(춘추∼전국 조기)
            • (3) 형성·보급기(전국 중∼만기)
            • (4) 발전기(전한 이후)
          • 2) 일본
            • (1) 초기 철기문화의 시기별 추이
            • (2) 한·일 초기 철기문화의 교류관계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가. 환호

가) 청동기시대

(가) 검단리유적

 경상남도 울산시 울주구 웅촌면 검단리 산 62번지 일대에 위치한다. 1990년 2월 3일부터 80일간에 걸쳐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발굴된 지역은 구릉의 정상부와 그 주변의 경사면으로 해발 104∼123m이고, 평지로부터의 비고는 14∼33m였다. 환호 유적은 정상부인 해발 112∼121m에 걸쳐 확인되었다.

 호의 평면 형태는 장타원형의 一重壕였으며 규모는 장경 118m, 단경 70m이고 길이는 298m, 내부면적은 5,974㎡였다. 호의 폭은 50∼200㎝, 깊이는 20∼110㎝, 단면은 대부분 U字形이지만 일부는 V자형으로 되어 있었다. 출입구는 남북 각 1개소씩 2곳에 설치되었는데, 이 부분은 구덩이(溝)를 파지않고 원 지면을 남겨두어 안팎을 다리처럼 연결하는 陸橋를 만들었다. 남쪽 출입구는 300㎝, 북쪽 출입구는 275㎝였다. 구덩이 내부에서는 다량의 토기류와 약간의 석기류가 출토되었는데, 출토 유물로 보면 사용기간은 그다지 길지 않았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한편 환호 안팎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93동이 발굴되었다.0810) 이 유적의 시기는 무문토기 전기 말경(기원전 7∼ 6세기)으로 보고 있다.

<그림 1>검단리유적 환호 평면도

(나) 송국리유적

 충청남도 부여군 초촌면 송국리에 위치하며 국립공주박물관에 의해 1992년과 1993년에 발굴되었다. 後背濕地가 끝나는 표고 16∼20m의 낮은 대지상의 구릉에 형성되어 있다.

 55∼57지구의 호는 황갈색 풍화암반층을 파고 설치되었는데 구지표를 포함한 호의 어깨선 상부가 상당부분 삭평된 듯하였다. 폭은 270∼380㎝ 정도였고, 깊이는 90∼110㎝ 정도이며, 단면은 얇고 넓은 U자형을 띠고 내부 바닥과 벽에는 굴지구에 의해 파여진 굴곡이 심하였다.

 50-A지구의 호는 폭 380∼420㎝, 깊이 30㎝ 내외로 단면은 얇고 넓은 U자형이고, 파인 호의 내부 역시 굴지구에 의한 굴곡이 심하였다. 57지구의 호도 풍화암반층을 파고 구축되었는데 어깨선 상부가 상당 부분 삭평된 것 같다. 호의 폭은 365㎝, 현 깊이는 87㎝였고 단면은 넓은 U자 모양이며, 바닥과 벽면에는 굴지구에 의한 굴곡이 심하였다.0811) 중심 연대는 대략 기원전 5세기경이다.

<그림 2>송국리유적 호상유구(57지구)
① 흑갈색 부식토(표토) ② 회갈색 사질토 ③ 암흑갈색 사질토(점성 강함) ④ 명갈색 사질토 ⑤ 적갈색 사질토 ⑥ 암적갈색 사질토 ⑦ 회갈색 사질토 ⑧ 명갈색 사질토 ⑨ 황갈색 사질토 ⑩ 적갈색 사질토 ⑪ 암적갈색 사질토(견도 굳음) ⑫ 황색 사질토(입자 치밀) ⑬ 명황갈색 사질토 ⑭ 풍화암반

(다) 덕천리유적

 경상남도 창원군 동면 덕천리 168번지 일대에 위치하며 경남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92년 10월부터 7개월에 걸쳐 발굴 조사되었다.

 Ⅱ지구의 구릉과 작은 谷間에서 확인된 덕천리유적의 호 폭은 3m, 깊이는 1∼1.5m였고, 확인된 길이는 150m였으며 단면은 둥근 V자형이었다. 호의 내부 매몰토에서 다수의 무문토기가 출토되었다.0812)

나) 철기시대

(가) 대성동유적

 경상남도 김해시 대성동에 위치하며 1991년 10월부터 5개월간 걸쳐 경성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제3차에 걸친 결과 제1지구의 표고 9m 지점에서 확인되었다.

 호의 폭은 100㎝, 깊이 70㎝ 정도로 단면은 V자형이고 길이는 9m 정도였다. 호가 구축된 시기는 호의 바닥으로부터 출토된 무문토기 고배를 근거로 기원전 1세기 중엽이고, 기능을 상실한 시기는 대체로 3세기 중엽으로 추정된다고 한다.0813)

(나) 봉황대유적

 경상남도 김해시 봉황동에 위치하며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92년 12월 27일부터 96일간에 걸쳐 발굴 조사되었다.

 2차에 걸친 조사로 46호 주거지 아래에서 호가 검출되었는데 그 규모는 폭 250㎝, 깊이 150㎝였고 단면은 U자형이었다. 내부에서는 무문토기 저부, 두형토기, 단면삼각구연점토대토기, 흑색마연토기 등이 출토되었다. 호의 외부에는 직경 50㎝ 정도의 기둥구멍이 5개가 확인되었는데 호의 외부와 100㎝ 정도의 거리를 유지하고 있었다.0814)

(다) 양산 패총유적

 경상남도 양산군 양산읍 다방리 224번지에 위치하며 1967년 10월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발굴되었다.

<그림 3>양산 패총유적 유구 배치도

 해발 120m의 구릉위 정상부에 위치한 이 유적의 호 규모는 상폭 280∼350㎝, 하폭 50∼80㎝, 깊이 130㎝ 내외였다. 단면은 V자형이고 가장 깊은 바닥에 평탄한 부분을 만들었다. 호가 있는 지형은 병목처럼 생겼는데 폭은 12m 정도였다. 호와 근접하여 기둥구멍처럼 생긴 구덩이가 10여 개 발견되었으나 목책이 설치되었던 흔적으로 보기는 어렵다고 한다. 호의 내부를 메운 흙은 하반부는 여러 개의 토층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부분적으로 灰層과 소량의 패각을 포함한 층이 형성되어 있었고, 최하부에는 사질토가 퇴적되어 있었다. 하반부에서는 소량의 토기 파편이 채집되었다. 상반부는 갈색토의 두터운 퇴적층을 이루고 있었으며 유물은 포함되지 않았다.

 남북 트렌치와 D트렌치의 북반부에도 얕은 도랑처럼 생긴 부분이 발견되었는데 이것도 호의 바닥으로 간주할 수 있다고 한다. 폭은 약 80㎝ 정도였다.0815)

다) 삼국시대

(가) 가음정동 패총유적

 경상남도 창원시 가음정동 당산 677번지 일대에 소재한다. 창원문화재연구소에 의해 1991년 11월 11일부터 12월 20일까지 39일간에 걸쳐서 발굴되었다.

<그림 4>가음정동 패총유적 환호 평면 및 단면도
Ⅰ:흑갈색 부식토층(표토), Ⅱ:패각층, Ⅲ:갈색 사질토층, Ⅳ:담갈색 점토층, Ⅴ:적색 사질토층

 해발 73.5m의 소구릉인 당산 가운데 발굴 조사된 지역은 남서쪽에 위치한 Ⅰ지구로서 해발 48∼50m 선상에 위치하였다.

 호는 패총의 1지구 북동쪽 가 3∼가 5pit 내의 패각층 아래에서 확인되었는데 폭 150∼200㎝, 깊이 20∼70㎝, 단면은 U자형이었으며 확인된 길이는 약 10m 정도였다. 이 호는 기원후 3∼4세기경 사이의 어느 시기에 이루어진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0816)

(나) 봉황대유적

 부산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1991년도에 실시된 시굴조사에서 확인되었다. 호는 봉황대 서쪽 사면 해발 17m 선상의 다소 평탄한 곳에 위치하였다. 폭은 350㎝, 깊이 150㎝로 단면은 계단식으로 단이 진 역사다리꼴이었으며 확인된 길이는 약 90m 정도였다. 대략 기원후 4∼5세기의 금관가야 유적으로 추정하고 있다.0817)

<그림 5>봉황대유적 지형도

0810)鄭澄元·安在晧,<蔚山檢丹里遺蹟>(≪考古學硏究≫37-2, 1990), 17∼20쪽.

釜山大 博物館,≪蔚山檢丹里마을遺蹟≫(1995), 211∼226쪽.
0811)國立公州博物館,≪松菊里≫Ⅴ;木柵(1)(1993), 92∼97쪽.
0812)李相吉,<韓國·昌原德川里遺蹟發掘調査槪要>(≪古文化談叢≫32, 1994), 250쪽.
0813)申敬澈,<韓國金海の環濠集落>(≪古代の日本≫5, 角川書店, 1992), 3∼6쪽.
0814)李在賢,<金海 鳳凰臺遺蹟 2차 발굴조사 개요>(≪제36회 전국역사학대회 발표요지≫, 1993), 542∼549쪽.
0815)尹武炳·韓永熙 외,<梁山 多芳里貝塚 發掘調査報告>(≪淸堂洞≫, 국립중앙박물관, 1993), 215∼222쪽.
0816)昌原文化財硏究所,≪昌原加音丁洞遺蹟≫(1994), 141∼193쪽.
0817)釜山大 博物館,<金海鳳凰臺遺蹟 지도위원회자료>(1992년 3월 2일).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