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고려 시대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Ⅱ. 대외관계1.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고려의 북진정책1)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2) 북방민족의 흥기와 송의 동향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1. 신분제도
          • 1) 신분제도의 형성과 구조
            • (1) 신분과 신분제도
            • (2) 신분구조의 구성
            • (3) 신분계층의 편성 단위와 기준
          • 2) 관인계층
            • (1) 관인층의 특성
            • (2) 음서제와 과거제
            • (3) 공음전과 한인전
            • (4) 문반·무반과 남반
            • (5) 귀족의 계층구성
          • 3) 향리
            • (1) 임무
            • (2) 향역의 세습과 종사
            • (3) 향리의 신분
          • 4) 군인
            • (1) 군역
            • (2) 군역의 세습
            • (3) 군인의 신분
          • 5) 잡류
            • (1) 이직으로서의 잡류
            • (2) 이족으로서의 잡류
          • 6) 양인농민
            • (1) 공과·공역의 부담
            • (2) 생산계층
            • (3) 세업으로서의 농업생산
          • 7) 공장
            • (1) 공장의 유형
            • (2) 공장의 신분
          • 8) 향·소·부곡인
            • (1) 사회·경제적 지위
            • (2) 신분상 지위
            • (3) 신분상 제약의 의미
          • 9) 진척·역민
          • 10) 양수척 (화척·재인)
          • 11) 노비
            • (1) 신분상 특성
            • (2) 사회·경제적 지위
          • 12) 신분제도의 성격
        • 2. 가족제도
          • 1) 가족과 혼인
            • (1) 가족
            • (2) 혼인
          • 2) 재산의 상속
          • 3) 친족조직
            • (1) 성씨와 계보관념
            • (2) 부변·모변과 양측적 계보관계
            • (3) 촌수와「나」를 기준으로 한 친속
            • (4) 양측적 친속의 특성과 기능상태
          • 4) 향촌사회의 친족관계망
            • (1) 생활권과 친족관계망
            • (2) 계급내혼에 의한 구성
        • 3. 사회정책과 사회시설
          • 1) 사회정책
            • (1) 진휼정책
            • (2) 의료정책
          • 2) 사회시설
            • (1) 의창
            • (2) 상평창
            • (3) 제위보
            • (4) 동서대비원
            • (5) 혜민국·기타 기구
            • (6) 지방의 의료기구
            • (7) 민간의 의료사업
        • 4. 형률제도
          • 1) 율령의 내용
            • (1)≪고려사≫형법지에 대한 검토
            • (2) 고려율의 내용
          • 2) 사법제도
            • (1) 고려율의 적용문제
            • (2) 고려물의 형벌체계
            • (3) 고려물의 행형체계
            • (4) 행형의 실태
      • Ⅱ. 대외관계
        • 1.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와 고려의 북진정책
          • 1) 10∼12세기 동아시아 정세
            • (1) 당송변혁기 중국의 정치적 동향
            • (2) 북방민족의 흥기와 송의 동향
            • (3) 일본의 정치동향
          • 2) 고려의 북진정책
            • (1) 국초 북진정책과 발해유민 대책
            • (2) 국초 여진문제의 발생
        • 2. 5대 및 송과의 관계
          • 1) 5대와의 관계
            • (1) 태조대의 대중국관계
            • (2) 혜종·정종대의 대중국관계
            • (3) 광종대의 대중국관계
          • 2) 송과의 관계
            • (1) 정치적 관계
            • (2) 문화적 관계
            • (3) 여송 교통로
            • (4) 경제적 관계
        • 3. 북방민족과의 관계
          • 1) 거란 및 여진과의 전쟁
            • (1) 거란의 침입과 그 항쟁
            • (2) 여진정벌과 9성
          • 2) 거란 및 금과의 통교
            • (1) 거란과의 통교
            • (2) 금과의 통교
        • 4. 일본 및 아라비아와의 관계
          • 1) 일본과의 관계
            • (1) 사절의 내왕
            • (2) 표류민의 송환
          • 2) 아라비아 및 남양 여러 나라와의 관계
            • (1) 고려와 아라비아와의 관계
            • (2) 남양 여러 나라와의 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다. 금과 남송의 화전

 정강의 변 직후, 금에 끌려가는 것을 모면한 휘종의 아들 康王을 중심으로 송의 각지에서는 義勇勤王軍이 모여 송의 재건에 노력하였다. 이에 강왕은 南京 應天府에서 즉위하니 이가 바로 高宗이다. 그 후 다시 금군의 추격을 받자 양자강 남쪽 杭州로 옮겨 그곳을 臨安府로 고쳐 수도로 정하고 기강을 바로하니 이것이 바로 南宋의 시작이다.

 한편 금 태종은 금에 볼모로 잡혀와 있는 張邦昌을 내세워 초국을 대신 다스리게 하고 거란이 다스리던 華北지방은 한족을 통치한 경험이 있는 한인과 거란인 관리로 하여금 직접 다스리게 하였다. 그러나 금 태종이 만주로 들어가자 황제 장방창은 퇴위되어 초국은 없어지고 말았다. 초국의 폐지와 남송 건국 소식을 들은 태종은 다시 군사를 몰아 고종을 쫓아 수도 임안을 함락시키고 깊숙히 明州까지 쳐들어갔다. 하지만 뒤이어 후원병이 이르지 않아 곤경에 처하게 되니 금군은 군대를 철수하였으며 남송의 고종도 다시 수도 임안으로 돌아오니 양측의 전쟁은 소강상태에 들어가게 되었다.

 이렇게 초국의 송 세력을 일소한 금 태종은 다시 齊國을 세워 한족 관리인 劉豫를 황제로 임명하였다. 유예는 변경에서 송의 옛 관료들을 등용하여 관제 를 세우고, 과거제를 실시하며 징병제와 주화 交鈔를 발행하는 등 독립국가로 서의 체제를 갖추었지만 여러 차례 금군에 협력하여 남송의 침입을 꾀하는 등 괴뢰국가로서의 역할을 하였다. 하지만 이 유예의 제국을 둘러싸고 금 황실내부에서 권력싸움이 일어나 결국 제국폐지론이 우세해져 제나라는 건국된 지 8년만인 천회 15년(1137)에 사라지고 말았다. 이렇게 제국의 존속기간은 얼마 되지 않지만 금과 남송의 완충국으로서의 위치는 금으로 하여금 帝國으로서의 내정을 다지며 또 점령지에 대한 통치방법에 대해 귀중한 체험을 하도록 하였다.453)

 한편 남송은 고종을 중심으로 뭉쳐 민족의식을 고취하였으며, 岳飛·韓世忠과 같은 실전에 강한 장군들을 등용하여 금에 대한 반격을 개시할 정도가 되었다. 그런데 마침 이 무렵 금에서는 태종이 죽고 熙宗이 즉위하였는데 그는 태종과 달리 영토확장보다는 내치에 주력하고자 했으므로 양극 사이에는 화평의 분위기가 조성될 수 있게 되었다. 이 때 송에서는 금의 인질로 잡혀가 있던 秦檜가 귀국하여 금 조정에서 사귀어 둔 인맥을 통해 금과의 화평책을 적극적으로 주도해 갔다. 특히「정강의 변」으로 만주땅에 잡혀가 있던 휘종 및 흠종 두 황제와 생모 偉氏가 무사히 귀국하기를 바라는 고종의 염원에 의해 진회는 요직에 등용되어 금과의 화평교섭을 전담하게 되었다. 진회의 이러한 화친정책에 대하여 한세충·악비 등 주전파들의 반대가 만만치 않았는데 진회는 이들을 과감히 제거하고 금과의 강화를 매듭지었다. 그 조약의 내용은 ① 두 나라의 국경선은 淮水에서 서북의 陝西大散關까지로 할 것 ② 매년 송에서는 은 25만 냥·견 25만 필을 금에 세폐로 바칠 것 ③ 송 고종은 금 의종에 대하여「신하의 예」를 갖추며, 금의 책봉을 받아 황제가 된다는 것(희종 황통 원년;1141)으로 매우 굴욕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이 화의에 따라 이미 적지에서 죽은 휘 종의 관과 모친 위씨가 송으로 귀국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두 나라는 거의 20년간 전쟁의 소모없이 각기 내치에 힘쓸 시간적 여유를 갖게 되었다. 특히 이 화평기간은 남송으로 하여금 어느 때보다 내실을 기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 양자강 유역의 개발에 따른 수리시설의 확충은 쌀·사탕수수·차 등의 농업생산력을 증가시켰으며, 남아 도는 노동력으로 각지에서는 분업적 수공업이 발달하게 되었다. 그 예가 바로 越州·安 州·汝州 등의 도자기산업을 비롯하여 東絹·蜀錦·北絹·越羅 등의 견직물 산업의 발전이다. 또 제지업도 발전하여 관용의 소비뿐 아니라 인쇄·출판업 의 발달을 촉진시켰으며 이들 상품 교환경제의 활성화는 동전뿐 아니라 운반 이 쉽고 위험성이 적은 지폐사용을 자극하였다. 양자강 등 큰 강과 호수를 끼고 있는 입지조건은 해상교통의 발전을 가져와 먼 지역까지 대량화물을 운반하는 일이 가능해졌다. 이러한 경제의 변화는 그 규모에 있어 북송 때의 수준 을 훨씬 능가한 것이었으며 나아가 송의 비단·서적 등이 고려·일본 및 동남아 여러 지역까지 전파되어 각국의 무역의 폭을 넓혔다.454)

 하지만 이러한 남송의 번영은 금으로부터의 침입이 없는 조건에서 가능한 것이었다. 그런데 송과의 화평조약을 맺은 희종이 종제인 海陵王에 의해 시해되자 이러한 상황은 다소 변화하게 되었다. 즉 天德 원년(1149) 중국문화의 애 호자였던 해릉왕은 소박한 여진사회의 습속에서 벗어나 선진의 한문화를 통해 중원의 왕조다운 국가로 키우려는 야심을 가지고 있었다. 이미 거란의 경우에서 보았듯이 중원을 점령한 북방정권의 공통된 과제가 전쟁을 통해 빼앗은 한문화를 포용하되 어느 선까지 국가운영에 채용할 것인가가 문제였다. 금 역시 여진의 고유풍습을 우위에 둘 것인가 아니면 나라 발전을 위해 과감히 구습을 버리고 나라 전체를 漢化할 것인가를 놓고 왕을 비롯한 종실간에 싸움이 끊이지 않았다. 희종이 전자였다면 이러한 희종의 정책에 불만을 갖고 있는 종실의 세력을 업고 쿠데타에 성공한 사람이 바로 해릉왕이었다.

 이러한 계획을 실천에 옮기고자 해릉왕은 스스로 중국의 통일자로 자처하고 대대적인 사민정책과 함께 동북쪽에 치우쳐 있던 수도를 만주의 上京會寧府에서 중경인 燕京으로 옮겨 중원국가로서의 외적인 모습을 갖추었다. 그리고 추밀원 등 직속 관제를 두어 종실의 정치개입을 차단하여 황제권을 강화시키는 한편,455) 밖으로 송에 대한 남침을 개시하였다(正隆 6년;1161).

 하지만 이 남침은 큰 실수였다. 과중한 전쟁비용과 징병은 국민들의 불만 을 고조시켜 도처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이렇게 민의 지지가 없는 데도 해릉 왕은 직접 군대를 이끌고 회수 이남 양자강을 넘으려 하였다. 하지만 이것은 해릉왕 자신의 정치생명을 단축할 뿐이었다. 이 때 요양에 있던 東京留守 烏 祿은 많은 호족들의 지지와 불만 군인들의 호응에 힘입어 해릉왕을 폐하고 새로운 황제에 옹립되었다. 이가 바로「小堯舜」으로 불리는 금나라 최고의 명군주 世宗이다. 즉위후 세종은 해릉왕에 의해 초래된 국내외의 위기를 처리하여 민심을 안정시키고, 이어 반격해 오는 송군을 물리치기 위하여 군대를 진격시키는 한편, 외교적으로 송과의 교섭도 진행시켰다.

 당시 남송에서도 고종이 죽고 孝宗이 새 황제로 즉위하였다. 그는 재상 張浚의 주전론에 따라 금과의 싸움을 계속하였지만 금의 방어군에 대패하여 군인들의 사기가 실추되었다. 이에 양국은 다시 조약을 맺으니, 그 내용은 ① 송에서는 매년 금에 바치던 세폐의 양을 각각 5만씩을 줄여 은 20만 냥·견 20만 필로 할 것 ② 이전 금에 대한「신하의 예」를 고쳐「숙질관계」로 할 것 ③ 외교문서의 격식은「表」에서「國書」로 한다는 것이었다(大定 5년;1165). 이로써 금은 해릉왕의 무모한 전쟁으로 지금까지 누려왔던 경제적 이익과 국제적 권위가 손상되었다.

 그러나 이후 두 나라는 다시 평온을 되찾고 각각 내치에 힘을 기울여 국가 발전에 박차를 가하였다. 한편 대외정책에 있어 금 세종은 고려 무신정권에 대해 우호정책을 견지하였다. 그 결과 고려 역시 적극적인 대금친선정책을 펴게 되니, 고려와 송과의 정치적 관계는 자연히 소원해지게 되었다.456)

453)李龍範, 앞의 글, 248∼249쪽.
454)李範鶴,<宋代의 社會와 經濟>(≪講座 中國史≫3, 지식산업사, 1989), 162∼ 186쪽.
455)河內良弘,<金王朝の成立とその國家構造>(≪岩波講座 世界歷史≫9, 岩波書店, 1970).
456)黃寬重,<高麗與金·宋的關係>(≪아시아문화≫창간호, 한림대, 1986), 168∼174 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