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Ⅳ. 학문과 종교6. 역사학2) 고려 이전의 역사에 대한 서술
    • 01권 한국사의 전개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08권 삼국의 문화
    • 09권 통일신라
    • 10권 발해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1. 16세기 사족의 향촌지배
          • 1) 사족지배체제의 형성과 그 의미
          • 2) 재지세력의 변화
          • 3) 사족지배체제와 수령권
          • 4) 향촌기구의 여러 양상
            • (1) 향약의 도입과 정착
            • (2) 유향소의 기능
            • (3) 향교와 사마소
        • 2.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 1) 향촌자치조직의 발달 배경
          • 2) 향촌자치조직의 내용과 성격
            • (1) 유향소와 경재소
            • (2) 향약과 향규
            • (3) 동계와 동약
          • 3) 향촌자치조직의 변질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1. 사족의 향촌지배조직 정비
          • 1) 난후의 향촌실정
          • 2) 향촌지배조직의 복구와 정비
            • (1) 경재소의 혁파와 향촌지배조직의 정비
            • (2) 동계·동약의 중수와 상하합계
        • 2. 사족의 향촌지배와 서원의 발달
          • 1) 사족 중심의 향촌운영
          • 2) 서원의 증설과 역할의 증대
          • 3) 서원정책의 추이
        • 3. 사족의 향권과 수령권
          • 1) 조선 중기 향권의 의미
          • 2) 사족의 향권의 내용
          • 3) 수령권 강화와 사족의 향권 상실
          • 4) 조선 후기 향권의 추이
        • 4. 사족지배체제하의 신분질서
          • 1) 사족 중심 신분질서의 확립
          • 2) 양란중의 신분 혼효와 정리
          • 3) 각 신분의 존재 양상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1. 예학의 발달
          • 1) 가례의 연구와 집성
            • (1)≪주자가례≫에 대한 학문적 관심
            • (2)≪주자가례≫의 주석과 언해
            • (3)≪주가가례≫연구의 심화
          • 2) 고전 예서의 연구
          • 3) 예학의 경향과 전례 논쟁
            • (1) 예학의 두 경향
            • (2) 전례 논쟁의 배경
            • (3) 인종의 문소전 부묘 논의와 공의전의 복제 논쟁
            • (4) 공빈의 추숭 논란
            • (5) 원종(정원군) 추숭의 전례 논쟁
        • 2. 종법제의 보급과 가족제도의 변화
          • 1) 종법제의 원리
          • 2) 종법과 가족제
          • 3) 제사와 상속
          • 4) 족보의 보급과 동성마을의 형성
        • 3. 유교문화와 농민사회
          • 1) 유교문화 원리의 보급
          • 2) 교육기구의 운용과 의례의 수용
          • 3) 의례변화의 제양상
            • (1) 관혼례의 변화
            • (2) 상제례의 변화
          • 4) 농민사회의 예속 변화의 몇 문제
        • 4. 순국·순절자의 포정
          • 1) 사림의 정표운동
          • 2) 국가의 정표정책
      • Ⅳ. 학문과 종교
        • 1. 성리학의 발달
          • 1) 학파의 분화
          • 2) 이기철학의 발달과 전승
          • 3) 17세기 성리학의 추세
            • (1) 율곡학파
            • (2) 퇴계학파
            • (3) 퇴율절충론
            • (4) 탈주자학적 유학사상
          • 4) 존주론과 명분주의
        • 2. 양명학의 전래와 연구
          • 1) 양명학의 전래와 초기 수용형태
          • 2) 양명학의 비판과 수용의 문제
          • 3) 초기 양명학 수용자들의 현실 인식
        • 3. 서양문물의 전래와 반응
          • 1) 서양문물 도입의 주역
            • (1) 내도 양인의 문화적 의의
            • (2) 접촉과 재래의 주역 연행사행원들
          • 2) 17세기 서양문물의 도입
          • 3) 조선사회의 서양문물에 대한 반응
            • (1) 곤여만국전도와≪직방외기≫
            • (2)≪천주실의≫와≪교우론≫
            • (3) 서양기기
            • (4) 한역 천문서와 역산서
          • 4) 서양문물의 실용적 채용
          • 5) 17세기 서양문물 전래의 역사성
        • 4. 실학의 태동
          • 1) 실학의 성립과 그 개념
          • 2) 초기 실학의 계보와 성격
        • 5. 국문 보급과 국어 연구
          • 1) 시대적 특성과 경향
          • 2) 국문 보급과 언문자모
          • 3) 음운학 연구의 전개
          • 4) 어휘 정리와 고증적 해석
        • 6. 역사학
          • 1) 역사학의 사상적 배경
          • 2) 고려 이전의 역사에 대한 서술
            • (1) 사략형 사서의 유행
            • (2) 기자에 대한 사료의 수집
            • (3) 강목형 사서의 출현
            • (4) 역사지리학 연구의 심화
            • (5) 해동악부체 시가의 출현과 그 발전
          • 3) 당대사의 편찬
            • (1) 실록의 편찬과 보관
            • (2)≪비변사등록≫등 연대기 기록의 편찬
            • (3) 야사형 사서의 편찬
            • (4) 사찬 지리서의 편찬
            • (5) 일기의 작성
          • 4) 역사학과 사학사상의 특징
        • 7. 불교계의 동향
          • 1) 산중승단
          • 2) 산승의 법통
          • 3) 불교신앙의 제형태
            • (1) 정토신앙
            • (2) 밀교신앙
            • (3) 미륵신앙
            • (4) 기타 신앙 및 도교·민속과의 습합
          • 4) 의승군의 조직과 활동
        • 8. 도교와 민간신앙
          • 1) 도교
            • (1) 과의도교
            • (2) 수련도교
            • (3) 도교적 양생론과 의약 연구
            • (4) 수경신(경신수야)
          • 2) 민간신앙
            • (1) 선서와 관제신앙
            • (2) 도인들의 비밀집단
            • (3) 지리도참
      • Ⅴ. 문학과 예술
        • 1. 문학
          • 1) 시가문학
          • 2) 소설과 판소리
          • 3) 한문학
        • 2. 미술
          • 1) 회화
            • (1) 산수화의 제경향
              • 가. 안견파 화풍의 계승
              • 나. 절파계 화풍의 풍미
              • 다. 남송 원체화풍의 재현
              • 라. 남종화풍의 수용
              • 마. 실경산수화의 정착
            • (2) 인물화의 경향
              • 가. 초상화
              • 나. 산수인물화
              • 다. 선종인물화
            • (3) 동물화와 화조화의 경향
              • 가. 동물화
              • 나. 화조화
            • (4) 사군자화와 묵포도화의 경향
              • 가. 묵죽화
              • 나. 묵매화
              • 다. 묵란화
              • 라. 묵국화
              • 마. 묵포도화
          • 2) 서예
            • (1) 고법으로의 복귀
            • (2) 석봉체의 유행
            • (3) 초서와 전예의 명가
            • (4) 필적 간행과 금석 수집
            • (5) 한글서체의 필사화
          • 3) 조각
          • 4) 공예
            • (1) 도자공예
            • (2) 금속공예
          • 5) 건축
            • (1) 일반건축양식
            • (2) 도성과 궁궐
            • (3) 읍성과 관아, 객사
            • (4) 유교건축
            • (5) 사찰건축
            • (6) 주택
            • (7) 석탑·부도
        • 3. 음악
          • 1) 궁정음악의 전승과 변화
            • (1) 보태평과 정대업
            • (2) 여민락
            • (3) 보허자와 낙양춘
            • (4) 영산회상
            • (5) 정읍과 동동
            • (6) 유황곡과 정동방곡
            • (7) 생가요량과 쌍화곡
            • (8) 제향아악
          • 2) 단가의 발생과 전개
            • (1) 대엽
            • (2) 만대엽
            • (3) 북전
            • (4) 중대엽
            • (5) 삭대엽
          • 3) 기악풍류의 성립과 발달
            • (1) 다스름
            • (2) 영산회상
            • (3) 보허자
            • (4) 여민락
          • 4) 향악조
            • (1) 향악조의 궁
            • (2) 계면조의 음계변화
          • 5) 음악유산
        • 4. 민속
        • 5. 무용·체육
          • 1) 무용
            • (1) 정재무
            • (2) 일무
            • (3) 나례희와 처용무
            • (4) 광대 소학지희
            • (5) 나례우인
          • 2) 체육
            • (1) 성균관에서의 대사례
            • (2) 향교의 향사례
            • (3) 방희
            • (4) 격구
        • 6. 의식주 생활
          • 1) 의생활
            • (1) 시대배경 및 의생활
            • (2) 의생활 변모의 3단계
            • (3)≪국조오례의≫와≪경국대전≫의 복식
              • 가.≪국조오례의≫에 나타난 왕의 복식
              • 나.≪경국대전≫에 나타난 백관복식
            • (4) 일반 편복 구조
              • 가. 남자 모자
              • 나. 포
              • 다. 저고리
          • 2) 식생활
            • (1) 의례음식의 규범 정립
              • 가. 혼례음식의 규범
              • 나. 생일축하음식의 관행
              • 다. 제례음식의 규범
            • (2) 가정 상비식품의 발달
              • 가. 보양음식의 상비
              • 나. 가양주의 상비
              • 다. 장류와 기타 식품의 상비
            • (3) 향토음식의 발달
              • 가. 한국의 자연환경과 향토음식
              • 나. 향토문화의 신장과 향토음식의 발전
              • 다. 향토음식의 실제
          • 3) 주생활
            • (1) 주거의 계층적 특성
            • (2) 유교적 생활문화의 확산과 주거 공간의 분화
              • 가. 가묘 건립의 확산
              • 나. 남녀의 영역 구분
              • 다. 가족제도의 변화에 따른 거주 공간의 분리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42권 대한제국
    • 43권 국권회복운동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46권 신문화운동 Ⅱ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4) 역사지리학 연구의 심화

 우리 나라에서 역사지리학의 시작은 정사체의 지리지로서≪三國史記≫나≪高麗史≫에서 찾을 수 있다. 이 계통으로 별도로 편찬된 책으로는≪八道地理志≫나≪世宗實錄地理志≫,≪東國輿地勝覽≫등을 들 수 있다. 그러나 이들 관찬 지리서류들이 단순한 편찬물인데 반하여 학문적으로 이에 대한 연구를 시작한 사람은 韓百謙(1552∼1615)이라고 할 수 있다.0726) 그의 대표적인 역사지리 저술로≪東國地理志≫가 있다. 이에서 그는 한국인의 종족문제, 강역문제를 역사적으로 고찰하려고 하였으며, 특히 종래 분분하였던 삼한의 위치문제에 대한 견해는 오늘날 정설로 받아들여지는 탁론을 내놓았다. 그는 도덕적 관점에서 역사를 평하고 정치적 교훈을 주려던 조선 전기의 역사학으로부터 완전히 탈피하여 강역과 관방 등의 역사와 지리문제를 논하면서 실증적인 방법을 써서 역사학을 독립적인 학문으로 발전시키는 데에 기여하였다.

 이런 학문경향은 이후의 학자들에 의하여 계승되어 현대 역사학에까지 그 학문적 영향을 미치고 있다. 柳馨遠(1622∼1673)은≪東國輿地志≫의 연혁과 고적 등 항목에서 역사지리에 관한 문제들을 자세히 논급하면서 한백겸의 생각을 더욱 발전시켰다.0727) 그외 鄭克後·許穆·南九萬·李世龜·李頣命·洪萬宗 등 학자들은 한백겸과 유형원을 이어 역사지리학을 더욱 발전시켰다.0728) 이러한 연구경향은 18세기 이후에는 林象德·申景濬·安鼎福·丁若鏞으로 이어지면서 새로운 발전을 맞이하게 되었다.

 역사지리학에서 가장 공통된 문제가 된 것은 주제별로는 민족의 종족문제, 옛 국가의 영역, 옛 수도의 위치, 국방요새지의 위치 등을 밝히려는 것이었으며, 시간적으로는 단군과 기자조선을 어떻게 볼 것인가라는 문제, 중국사에 나오는 한사군의 위치문제, 중국측 기록에 다양하게 나오는 패수가 어느 강을 지칭하는가의 문제, 尹瓘의 9성의 위치문제 등을 밝히는데 주력하였다. 이는 이 시기 양란을 거치면서 조국강토의 수호가 중요한 문제로 부각된 점과 조국강토에 대한 관심의 고조 각성과 깊은 관련을 가진다.

 조선 전기의 반도 중심적인 역사지리관과는 달리 한백겸 이후에는 반도 이외 지역으로 관심을 증대시켜 나가고 있었으며, 유형원 이후에는 대체적으로 요동일대까지 옛 조선의 영역을 확대하여 이해하려고 하였다. 그리고 그동안 제대로 조명받지 못하였던 고구려와 발해의 강역을 요동일원에서 그 자취를 찾으려고 하였다. 학문적으로 역사지리학은 전문성과 독립성·자율성을 차츰 획득해 나가고 있었다.0729)

 이러한 역사지리학이 발생하게 된 원인은 다음과 같다. 성리학자들이 철학적 문제를 깊이 있게 따져 들어가는 학문태도가 과거의 역사연구에 적용되었다고 볼 수 있다. 무비판적으로 문헌사료를 인용하여 역사를 쓰던 학문에서 사료를 비판하여 검토하는 안목이 성장하였다. 중국 사서가 널리 보급되어 이를 참조할 수 있는 여건이 보다 용이하여졌고, 지도의 작성 등으로 국토에 대한 인식이 새로워졌다. 청나라 고증학의 영향도 작용하였다.

 역사지리학은 조선 중기에 발생하여 후기에 큰 발전을 이룬 역사학의 새로운 분야로 이는 역사학의 관심이 정치사 중심의 관심으로부터 현실적 분야로의 변화와 역사학이 도덕적 평가를 내리는 경학의 종속으로부터 벗어나 객관적 실체를 다루는 학문으로서의 역사학의 독립을 의미하는 결과를 가져왔다고 평가할 수 있다.

0726)鄭求福,<韓百謙의 東國地理志에 대한 一考-歷史地理學派 成立을 중심으로->(≪全北史學≫2, 1978).

―――,<韓百謙의 史學과 그 影響>(≪震檀學報≫63, 1987).

―――,≪久菴遺稿·東國地理志≫(一潮閣, 1987).
0727)朴仁鎬,<柳馨遠의 東國輿地志에 대한 一考察-歷史意識과 關聯하여->(≪淸溪史學≫6, 1989).
0728)韓永愚,<許穆의 古學과 歷史認識>(≪韓國學報≫40, 1985).

朴仁鎬,<南九萬과 李世龜의 歷史地理 硏究>(≪歷史學報≫138, 1992).

韓永愚,<17세기후반∼18세기초 洪萬宗의 會通思想과 歷史意識>(≪韓國文化≫12, 1991).
0729)朴仁鎬,≪朝鮮後期 歷史地理學 硏究≫(韓國精神文化硏究院 博士學位論文, 1996), 9∼11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