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조선 시대33권 조선 후기의 경제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3. 광작과 지주제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1. 인구의 증가와 분포
          • 1) 인구의 증감
          • 2) 인구의 분포
        • 2. 농업생산력의 발달과 상품작물의 재배
          • 1) 수전농업의 생산력
            • (1) 이앙법의 보급
            • (2) 새로운 품종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2) 한전농업의 생산력
            • (1) 품종의 증가와 새로운 작물의 보급
            • (2) 새로운 농업기술의 보급
            • (3) 시비법의 발달
            • (4) 윤작의 실시
          • 3) 농구와 수리시설
            • (1) 농기구의 발달
            • (2) 수리시설의 확대
            • (3) 상품작물의 재배
        • 3. 광작과 지주제
          • 1) 농촌사회 분해와 광작농의 대두
            • (1) 광작과 광작농
            • (2) 광작론과 반광작론
          • 2) 지주제의 변동
            • (1) 농촌사회 분해와 토지의 상품화
            • (2) 지주제의 변동과 그 대책
          • 3) 농업에서의 자본주의 맹아론
            • (1) 자본주의 맹아론과 내재적 발전론
            • (2) 자본주의적 관계의 발생
        • 4. 임노동의 발생
          • 1) 농민층의 분화
            • (1) 부역제의 한계
            • (2) 노동력 수요의 증대
            • (3) 노동예비군의 형성
          • 2) 임노동자의 출현
            • (1) 유민의 증대와 대책
            • (2) 고용관계의 수립
          • 3) 임노동의 양상
            • (1) 임노동의 종류
            • (2) 임노동의 조건
        • 5. 수공업의 발달
          • 1) 자영수공업체제의 형성과 발전
          • 2) 상업자본의 생산적 전회와 선대제의 발생
          • 3) 매뉴팩처의 발생
            • (1) 유기산업부문
            • (2) 야철산업부문
            • (3) 직물산업부문
            • (4) 광업부문
        • 6. 광업의 발달
          • 1) 18세기「별장」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성립과 군수광업의 몰락
            • (2)「별장」제하 은점의 경영 실태
          • 2) 18세기말 19세기 전반「물주」제하의 광업 실태
            • (1)「별장」제의 폐지와「수령수세」제의 성립
            • (2) 물주제하의 광산경영 실태
        • 7. 어·염업의 발달
          • 1) 어업
            • (1) 상품화폐경제의 발달과 어업의 발달
            • (2) 수산물의 종류
            • (3) 어구·어법
            • (4) 어전·방렴류
            • (5) 대규모 어업의 발달
            • (6) 수산양식업
            • (7) 수산제조업
          • 2) 염업
            • (1) 소금과 염업의 중요성
            • (2) 소금 생산방법
            • (3) 제염기술의 발전
            • (4) 소금의 유통구조
            • (5) 염업에 대한 정책
        • 8. 운수업의 발달
          • 1) 육상운송
            • (1) 조선 후기 역의 운영 실태
            • (2) 파발제의 성립과 발달
            • (3) 역마확보의 변화와 고립제
          • 2) 수상운송
            • (1) 관물의 운송
            • (2) 사물의 운송
          • 3) 원과 주막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상인층의 성장과 도고상업의 전개
          • 1) 관상도고의 활동
            • (1) 시전도고의 활동
            • (2) 공인의 활동과 공인자본의 성격
            • (3) 경·영주인과 영저도고의 활동
          • 2) 사상도고의 활동
            • 가. 서울지역에서의 사상의 활동과 신해통공
            • 나. 서울 주변지역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다. 상품생산지 및 집산지에서의 사상도고의 활동
          • 3) 반도고활동의 전개와 상업계의 동향
            • 가. 관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나. 사상도고에 대한 반도고운동
        • 2. 상품의 유통
          • 1) 농촌장시의 발달
            • (1) 상업적 농업과 농촌수공업의 발달
            • (2) 육상교통의 발달과 장시의 증가
            • (3) 농촌장시의 발달과 시장권 확대
          • 2) 포구상업의 발달
            • (1) 해상교통의 발달과 포구시장권의 형성
            • (2) 경강포구의 상업발달
            • (3) 외방포구의 상업발달
            • (4) 포구상업세력의 성장과 상품유통
          • 3) 상업도시의 형성
            • (1) 전국적 시장권의 형성
            • (2) 서울의 상업도시로의 성장
            • (3) 지방 상업도시의 출현
          • 4) 상업자본의 축적
            • (1) 시전상업체제의 변동과 사상의 성장
            • (2) 도고상업과 상업자본의 축적
            • (3) 상업자본의 생산자 지배
        • 3. 금속화폐의 보급과 조세금납화
          • 1) 금속화폐의 보급과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1) 동전유통 정착의 경제적 기반
            • (2) 17세기말∼18세기 중엽 금속화폐의 유통
            • (3) 18세기 후반∼19세기 중엽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2) 조세금납화와 봉건적 수취체제의 해체
            • (1) 조세금납의 성립조건-17세기 수취제도의 모순
            • (2) 17세기말∼19세기 중엽 조세금납의 전개
            • (3) 19세기 전반 화폐수탈의 급증과 사회적 모순의 심화
        • 4. 대외무역의 전개
          • 1) 청과의 무역
            • (1) 17세기 부연역관의 청·일 간 중계무역
            • (2) 17세기말 18세기 전반 무역별장의 등장과 역관·상인 간의 대립
            • (3) 18세기 후반 19세기 전반 연상무역의 발전과 산업부문 침투
          • 2) 일본과의 무역
            • (1) 무역의 범주
            • (2) 상인
            • (3) 상품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임노동론

 농촌사회는 신분제 붕괴와 토지소유의 양극화과정을 통해 점차 분해되고 있었다. 이같은 위기는 지주에게서도 일정한 대책을 마련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들었고 농민층에 있어서는 마지막으로 남은 자신의 노동력을 매매할 수밖에 없는 상황으로 몰아갔다. 이러한 가운데 구래의 봉건적 생산관계는 무너지고 새로운 관계가 발생하게 되었다. 그와 같은 관계는 물론 봉건 말기의 형태이므로 각각의 요소가 유기적으로 결합되지 못하고 별개로 나타날 수 밖에 없었다.

 우선 지주제의 위기는 다음<그림 1>에서 알 수 있듯이 지대 수취의 감소를 통해 나타나고 있었다. 충청도 서산군에 농장을 경영하고 있던 서울의 부재지주의 지대 수취는 순조 32년(1832)에서부터 고종 12년(1875)까지 약 44년간 행해지고 있었지만 전체적으로는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정체되거나 감소하고 있었다.0252)

<그림 1> 瑞山郡 郡內面 지대 수취량 추이(1832∼1875)

 瑞山郡 郡內面의 수취량이 정체 내지 감소하고 있는 상황은 토지수확량 체감의 법칙으로 인한 측면이 고려되어야 하지만 단위 면적당 수취량이 아니라 농가경영 전반에 걸친 생산성의 추이를 고려하기 전에는 속단할 수 없다. 따라서 이같은 수취량의 감소 원인은 아마도 사회구조적인 배경으로부터 찾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지주에 대한 작인층의 지대거납 등 抗租로 인한 측면을 통해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대부분의 하층농민 역시 경영의 위기를 극복하지 못하고 대대로 경작해오던 토지를 팔아 넘기고 몰락해갈 수밖에 없게 되었다. 이른바 농민층은 신분으로부터, 그리고 토지로부터 점차 자유로운 존재가 되어 가고 있었다. 이같은 상황은 우선 다음과 같은 작인층의 빈번한 교체를 통해 이해될 수 있다. 하층농민을 통해 점차 임노동자로 되어 갈 수밖에 없었던 농민층 분화의 실태를 엿볼 수 있다.

경작기간 인원(비율)
1∼2년

3∼4년

5∼6년

7∼8년

9∼10년

11∼20년

20년이상
137명(58.3)

44명(18.7)

13명( 5.5)

12명( 5.1)

13명( 5.5)

14명( 6.0)

2명( 0.9)

<표 4>서산군 작인층의 평균 경작기간

 위의<표 4>에서 살펴볼 수 있듯이 서산군 전체 235명의 작인 가운데 경작기간이 1∼2년에 해당하는 경우가 58.3%에 달한다. 3∼4년 정도 경작하는 경우까지를 합하면 77% 가량이 4년도 안되어 다른 토지로 떠나고 있다. 물론 이 가운데는 토지를 방매함에 따라 사라지는 작인도 포함되어 있다. 한편 작인 가운데는 20년 이상 계속 경작하는 경우도 2명이 보인다. 이 밖에도 11년에서 20년까지 경작한 작인도 14명에 달한다. 지주가의 입장에서는 5년 이상 차경을 계속한 약 23%에 달하는 54명을 근실한 작인으로 파악하고 있었을 것이다.

 한편 이들의 평균 경작면적을 보면 대단히 열악한 것을 볼 수 있다. 다음의<표 5>가 그것을 잘 보여준다. 6.1두락에서 10.2두락에 이르는 차경면적이 그것을 잘 보여준다.

연 도 두 락 작 인 평 균 연 도 두 락 작 인 평 균
1832

1833

1836

1839

1842

1844

1848

1850
498.0

227.0

262.5

285.5

210.0

129.5

129.1

122.0
59명

34 

35 

37 

28 

17 

15 

12 
8.4

6.7

7.5

7.7

7.5

7.6

8.6

10.2
1854

1857

1860

1863

1866

1869

1872

1875
124.0

115.0

115.0

124.0

125.0

128.7

126.7

128.0
17명

17 

17 

17 

18 

20 

19 

21 
7.3

6.8

6.8

7.3

6.9

6.4

6.7

6.1

<표 5>서산군 작인층의 평균 경작면적

*위의 통계는 순조 33년(1833) 이후 매 3년을 기준으로 하였고 누락된 연도(1845·1851)가 있을 경우에는 전 해의 수치를 이용하였다.

 한편 이들의 차경면적이 열악하다는 것과 작인층의 빈곤과는 반드시 비례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작인층의 경우 다른 지주가의 농토를 차경할 수 있을 것이고 동시에 자작지도 소유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같은 사정을 고려할 때 지주가 사례분석을 통해 농민층의 분화 양상을 일반화시키는 데는 많은 문제가 있다. 이러한 것은 궁방전의 경우도 마찬가지이다. 만일 이같은 상황을 고려하지 않고 농민층 분화를 말한다면 모두가 하향 분화로 나타날 것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지주제 위기와 작인층의 동향은 하층 몰락농민의 존재를 보다 분명하게 말해주고 있다. 이들은 佃作 또는 無田無佃 농민층으로서 점차 농촌의 고용노동자로 전락하고 있었다. 물론 이들의 존재는 바로 농업자본가와 연결시킬 수 없고 항상적인 고용처가 제공된 것도 아니기 때문에 이러한 존재의 발생이야말로 자본주의 맹아의 상징적인 징표라고 할 수 있다.

 이 시기 임노동층은 지주제의 확대와 차지 경쟁의 희생물로서 스스로의 노동력을 판매하기 위해 노동력 시장을 찾고 있었다. 그와 같은 시장은 대개 유랑민으로서 존재하거나 아니면 장시를 중심으로 ‘賃傭爲業者’로서 생계를 유지할 수밖에 없었다. 이들의 ‘多結作黨’하는 형세는 곳곳에서 발견되었다. 농촌에서 유리하기 시작한 농민층은 광산이나 수공업장을 찾기 시작했고, 이러한 결과 山郡의 농가는 1일에 100전을 주더라도 雇人을 구할 수 없으니 모두 金店 때문이라고 하는 상황이 되었다.0253) 18세기 이후 농촌 고용노동층은 다양한 부문으로 진출하는 가운데 유일한 자산인 노동력을 판매하고 있었다.

 조선 후기의 임노동자는 고용주와의 계약관계에 있어 다소라도 유리한 雇價를 받고자 힘썼다. 향촌 내에서의 다양한 고용관계는 법전에도 반영되기에 이르렀다. 즉 “倩工人으로서 10냥을 받고 5년 이상 고용되어 立券入籍된 자를 雇工으로 論하고, 대가도 받지 않고 입권입적도 안된 채 1, 2년 使喚하는 자는 凡人으로 논한다”0254)라고 하여 18세기 후반≪추관지≫고공조에서 논의된 내용이 이후 제반 법규정에 적용되고 있었고, 이것은 19세기 후반의≪大典會通≫에 등재되기에 이르렀던 것이다. 이같은 규정은 고공과는 별도로 향촌에서 ‘朝聚暮散之類’라고 불리던 임시 고용층을 ‘凡人’으로 취급해야 한다는 내용이었다.

 향촌의 一時作傭層은 장기고공과는 구분되며 이들은 고가를 받을 수 있는 곳이면 수시로 고용처를 찾던 존재였다. 이들 일시 고용층이 고가를 중심으로 爭雇를 벌이고 있었다는 것은 고용관계가 발전하고 있었다는 단적인 표현이었다. 이들 쌍방간의 계약은 자본가와 노동자의 그것처럼 항상적이며 실질적인 종속관계로 나타나지는 못했지만 그러한 단초를 보여주었다. 이들의 형식적인 종속관계는 상하위계적 신분제사회 내에서 발생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0255) 조선 후기의 고용-피고용관계는 勒買되거나 和誘하거나 略賣해서 몰래 고용자를 만들어서는 안되는 쌍방간의 대등한 관계로 발전해갔다. 물론 이 때의 대등관계 역시 봉건적·인신예속적 관계에 대한 상대적인 개념이며, 사적 고용관계가 경제적 강제를 매개로 대등한 관계로 진전되어 갔다는 것을 의미했다.

 자본주의 맹아란 지금까지 살펴보았듯이 생산력의 차원에서 매뉴팩츄어단계로 들어갔는가의 여부를 평가하는 방식이 아니라, 생산관계라는 측면에서 지주제의 변동과 새로운 부농층의 출현, 그리고 임노동층의 발생을 통해 구래의 인간관계와는 구분되는 새로운 생산관계가 발생하고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되어야 할 것이다. 자본주의 맹아란 결코 장미빛 미래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하나의 새로운 질서가 탄생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그러한 요소야말로 세계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있는 보편적 발전법칙이다.

<崔允晤>

0252) 崔潤晤, 앞의 글(1997).
0253) 丁若鏞,≪與猶堂全書≫1, 詩文集 文, 권 9, 應旨論農政疏.
0254)≪大典會通≫刑典 推斷.
0255) 崔潤晤, 앞의 글(1990).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