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3. 독립협회의 기본사상2) 자유민권의 민주주의사상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1. 삼국간섭과 을미사변
          • 1) 삼국간섭과 일본의 대조선 정책
          • 2) 민비시해
          • 3) 사후 수습과 정황
        • 2. 아관파천
          • 1) 을미사변 직후 일본의 압제와 단발령
          • 2) 아관파천
            • (1) 항일의병의 봉기
            • (2) 스페이에르의 내한과 고종의 아관파천
          • 3) 친러·친미내각의 성립
            • (1) 러·일의 반응
            • (2) 조선의 신내각
          • 4) 고종의 환궁
            • (1) 러시아 군사교관의 초빙
            • (2) 궁궐 경비병의 확보와 고종의 환궁
        • 3. 러·일의 한반도 분할 획책
          • 1) 청일전쟁과 한반도 분할안
            • (1) 영국의 남북한 분할 제안
            • (2) 청일전쟁 중 러·일의 한반도정책
            • (3) 민비시해와 러시아의 대한정책
          • 2) 아관파천과 일본의 한반도 분할 제안
          • 3) 러시아의 한반도 분할 제안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1. 열강의 이권쟁탈상
          • 1) 미국의 이권쟁탈상
            • (1) 광산이권
            • (2) 철도이권
            • (3) 전기사업 독점권
          • 2) 러시아의 이권쟁탈상
            • (1) 광산이권
            • (2) 삼림채벌권
          • 3) 독일·영국의 이권쟁탈상
            • (1) 광산이권
          • 4) 일본의 이권쟁탈상
            • (1) 광산이권
            • (2) 철도이권
            • (3) 전선이권
          • 5) 기타 각국의 이권쟁탈상
        • 2. 독립협회 전후 일제의 이권강점
          • 1) 독립협회 전후 한국을 둘러싼 국제관계와 이권문제
          • 2) 철도이권
          • 3) 광산이권
          • 4) 연해어업이권
        • 3. 이권수호운동
          • 1) 정부측 대응
          • 2) 언론 및 지식인의 이권양여 반대운동
          • 3) 현지민의 저항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1. 서재필의 귀국활동과 독립협회 창립
          • 1) 서재필의 귀국과 초기 활동
          • 2) 독립신문의 창간과 독립협회의 창립
        • 2. 독립협회의 조직과 운영
          • 1) 모금·계몽운동기의 조직과 운영
            • (1) 창립사업과 모금운동체제
            • (2) 계몽활동·주간토론회와 정치교육체제
          • 2) 정치활동전개기의 조직과 운영
            • (1)정치활동에서 드러난 독립협회의 정치적 역할 인식
            • (2) 지도체제의 통합과 수평적 역할 분담의 조직운영
            • (3) 정치활동의 변동 추이와 국가의 대응
        • 3. 독립협회의 기본사상
          • 1) 자주국권의 민족주의사상
            • (1) 국가평등권론
            • (2) 국가자주권론
            • (3) 이권양도 반대론
            • (4) 자주중립외교론
            • (5) 개화자강 독립론
          • 2) 자유민권의 민주주의사상
            • (1) 국민평등권론
            • (2) 국민자유권론
            • (3) 국민주권론
            • (4) 국민참정권론
            • (5) 민주정치론
          • 3) 자강개혁의 근대화사상
            • (1) 입헌정체론
            • (2) 상공업경제론
            • (3) 평등사회론
            • (4) 근대문화론
            • (5) 자주국방론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1. 독립의식의 계발
          • 1) 독립기념물의 건립
          • 2) 신문·잡지의 간행
          • 3) 강연회·토론회 개최
          • 4) 국학교육장려
        • 2. 국권수호 및 민권보장
          • 1) 구국운동 선언과 국권수호운동
          • 2) 국토·국익수호운동
          • 3) 민권보장운동
        • 3. 참정권운동과 개혁의 추진
          • 1) 수구파내각 퇴진운동
          • 2) 개혁정부의 수립
          • 3) 언론과 집회의 자유 쟁취운동
          • 4) 의회설립운동
          • 5) 관민공동회
          • 6) 의회(상원)설립법의 공포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1. 만민공동회의 활동
          • 1) 만민공동회의 성립
          • 2) 독립협회 지도자 석방운동
          • 3) 독립협회 복설운동
          • 4) 황국협회의 공격 격퇴
          • 5) 황제 친유와 중추원 의관 임명
          • 6) 김덕구 만민장 시위와 만민공동회의 재개
          • 7) 국정개혁 요구와 중추원 의관의 인재 투표 선출
        • 2. 수구파 및 외세의 독립협회세력 탄압
          • 1) 수구파 및 외세의 독립협회·만민공동회 탄압
          • 2) 독립협회·만민공동회의 강제 해산
        • 3. 독립협회·만민공동회운동의 역사적 의의
          • 1) 독립협회·만민공동회운동의 실패 원인
          • 2) 독립협회·만민공동회운동의 역사적 의의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5) 민주정치론

 독립협회는 국민참정사상을 바탕으로 하여 근대 民主政治論을 제기하였다.

 첫째로 독립협회는 다수자를 위한 정치를 구상하였다. 독립협회 회원들은 백성은 국가의 주인이고 정부는 백성을 위하여 설립한 것이라 하여, 국가의 주인인 국민을 위한 정치원칙을 천명하였다.0732) 독립협회 회원들은 국가를 유지케 하는 납세자의 권익을 보호해야 한다는 의식을 가지고, 정책을 결정할 때는 “나라 가운데에 사람이 천만 명 있으면 적어도 8백만 명에게는 유조한 일을 하여야, 그 정치가 국중에 효험이 있고 그 나라가 지탱하며 그 정책을 만든 정부가 부지하는 법이라”0733)고 하여, 정부가 다수 국민을 위한 정책을 입안하고 실시해야 한다는 다수자를 위한 정치를 주장하였다.

 둘째로 독립협회는 다수자를 위한 정치와 더불어 공개정치를 주장하였다. 독립협회 회원들은 정부란 국민을 위해 설립되었다는 전제 아래, “일정한 규칙을 행할 때에 백성에게 크게 드러내어 믿게 하여야 그 백성들이 그 정부를 믿는 법이거늘, 만일 정부에서 백성들이 믿고 의탁할 수가 없게 일을 하면 그 나라가 될 수가 없을 터라”0734)고 하여, 공개원칙에 의하여 국민으로부터 신임받는 정치, 국민에게 책임지는 정치론을 폈다. 그리고 그들은 국민의 살림살이인 예산과 결산을 인민에게 공포해야 한다는 재정의 공개주의와, 국민의 권리를 최종적으로 보장하는 재판의 공개주의를 주장하였다.0735) 뿐만 아니라 군사작전이나 외교 이외의 모든 국사를 공개적으로 처리해야 한다는 공개정치를 주장하였다.0736)

 셋째로 독립협회는 공개주의에 입각한 여론정치를 주장하였다. 독립협회 회원들은, 공론하는 인민들이 있어야 정부 일이 잘되고, 시비하는 공론이 많을수록 개화가 잘되며,0737) 공론이 없어지면 정치와 법률이 무너지고 정부관인들이 국민을 압제하여 국가가 위태롭게 된다고 하여,0738) 공론(=여론)은 국정을 바로잡고, 개화를 촉진하며, 민권을 보장하는 중요한 요소라고 간주하였다. 따라서 그들은 “언론의 자유는 天生權利이며 不可讓의 것”0739)이라는 서양의 천부인권론과, 국왕은 “衆意를 가지고, 衆民이 좋아하는 것을 좇아 정사를 베풀어야 한다”0740)는 동양의 민본사상에 근거하여 여론정치를 주장하였다.

 넷째로 독립협회는 여론정치와 더불어 정당정치를 주장하였다. 독립협회 회원들은 ‘반대’란 ‘진보’의 원리임을 내세워, 국민은 정부시책을 주시하고 그 잘못을 과감히 반대해야 하며, “정치에도 반대당이 있어서 대소사를 살피고 시비하여야 점점 정치가 바르게 된다”고 하여, 정당정치의 필요성을 논하였다.0741) 그리고 그들은 정당이란 정강과 정책을 국민에게 알리고 이를 공개적으로 추진하는 私黨이 아닌 公黨이어야 한다고 하고,0742) 국민에게 신임을 묻는 정당 그리고 주의·주장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는 정당이어야 하며, 반대당에 대한 정치적 보복을 하지 않고 정당간에 정치적 도의를 지키며 정책대결을 해야 한다고 강조하였다.0743) 사실상 독립협회는 자유주의 민주주의적 개혁사상을 고취하기 위한 정치적 당파를 목적으로 창립되었던 것이다.0744)

 다섯째로 독립협회는 정당정치와 더불어 입헌정치를 주장하였다. 독립협회 회원들은, “성인도 허물이 있고 정부관인도 眞善眞美할 수 없다”0745)는 인간의 불완전성과 지도자에 대한 제한된 신뢰에 바탕을 두고 법치주의를 주장하였다. 그리고 그들은 “법률이란 것은 전국 인민의 목숨과 재산을 보호하는 일대 혈맥이라”0746)하여 죄형법정주의와 조세법률주의를 주장했고, 국왕도 법률을 준수해야 한다는 ‘법에 의한 지배’ 곧 법치주의를 강조하였다.0747) 나아가 그들은 법률과 장정의 실천을 역설하였고, 모든 “법과 令은 다 洪範을 준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0748) 당시 독립협회 회원들은 홍범을 일종의 헌법으로 간주하였으므로 홍범의 준행은 입헌주의 곧 입헌정치를 주장한 것이다. 독립협회가 입헌정치를 추구한 사실은, 당시 “협회의 주장은 中樞院을 부활하는 동시에 입헌정치를 하자는 것이었다”0749)는 윤치호의 회고담에서도 확인된다.

 여섯째로 독립협회는 입헌정치와 더불어 의회정치를 주장하였다. 의회정치란 국민이 선출한 대표로 구성된 의회에서 국가의 최고 의사를 결정하는 정치방식을 의미하며, 민주정치의 핵심이기도 하다. 독립협회 회원들은 1898년 “의회원을 설립하는 것이 정치상에 제일 긴요함”이라는 제목의 토론회에서 의회설립운동을 표면화시켰다.0750) 그들은 정부의 반대와 국민의 수준을 감안하여 우선 上院式의 중추원을 개설하여 과도적인 의회정치를 실시하려 하였다.0751) 당시 독립협회는 ①법령을 제정하고 개정하는 입법기관으로서의 의회, ②지역선거에 의한 것은 아니지만 실제에 있어서는 국민 대표기관으로서의 의회, ③국정전반에 걸쳐 정부 통제의 기능을 가지는 국정 최고기관으로서의 의회, ④정부가 내각의 형식을 취하고 내각이 의회식 중추원에 책임지게 하는 일종의 책임내각을 전제로 하는 의회를 구상하여 대의정치를 실현코자 하였다.0752)

 이와 같이 독립협회는 다수 국민을 위한 정치원칙 아래, 공개정치·여론정치·정당정치·입헌정치·의회정치 등을 내용으로 하는 근대 민주정치론을 펴고, 이의 실천운동을 전개하였다.

 요컨대 독립협회의 자유민권사상은 국민의 평등과 자유 및 국민주권의 확립을 통하여 국민의 권리를 보장하고, 국민의 단합된 힘으로 국가의 자주권을 수호하며, 나아가 의회민주주의를 구현하여 근대국민국가를 수립하려는 민주주의사상이었다. 독립협회는 이러한 자유민권의 민주주의사상을 이론으로 뿐만 아니라, 실천운동으로 전개하였다.

0732)≪독립신문≫, 1896년 11월 21일, 논설 및 1897년 5월 20일,<배제학당 김흥경의 시무론>.
0733)≪독립신문≫, 1898년 6월 9일, 논설.
0734)≪독립신문≫, 1897년 5월 20일,<배제학당 김흥경의 시무론>.
0735)≪皇城新聞≫, 1898년 12월 28일, 논설 및 독립협회 발행의 전단 중<獻議六條>.
0736)≪독립신문≫, 1896년 6월 30일, 논설.
0737)≪독립신문≫, 1898년 2월 22일,<유지각한 사람의 말>및 1898년 11월 17일,<반대의 공력>.
0738)≪독립신문≫, 1898년 9월 7일,<실효가 있을는지>및 1899년 1월 10일,<언권자유>.
0739)The Independent, October 27, 1898, Fight for the Freedom of Speech.

≪독립신문≫, 1899년 1월 10일,<언권자유>.
0740)≪四書白話句解≫, 孟子白話句解 梁惠王章句 下(臺灣瑞成書局), 15쪽.
0741)≪독립신문≫, 1898년 11월 7일,<반대의 공력>.
0742)≪독립신문≫, 1896년 8월 27일, 논설.
0743)≪독립신문≫, 1896년 9월 1일, 논설 및 The Independent, August 25, 1896, Editorial.
0744)金道泰, 앞의 책, 247∼248쪽 참조.
0745)≪독립신문≫, 1898년 11월 7일,<반대의 공력>.
0746)≪독립신문≫, 1898년 10월 20일,<청원서>.
0747)≪독립신문≫, 1896년 9월 29일, 논설 및 1898년 8월 15일,<세받는 권리>.
0748)≪독립신문≫, 1898년 7월 13일,<협회재소>.
0749)尹致昊,<獨立協會의 活動>(≪東光≫ 26, 1931년 10월호), 36쪽.
0750)≪독립신문≫, 1898년 4월 9일, 잡보.
0751)柳永烈,≪開化期의 尹致昊硏究≫(한길사, 1985), 124∼125쪽.
0752)柳永烈, 위의 책, 205∼208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