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편 한국사근대45권 신문화 운동ⅠⅢ. 근대 문학과 예술2. 근대 예술의 발전1) 음악(2) 근대음악사의 전개
    • 01권 한국사의 전개
      • 총설 -한국사의 전개-
      • Ⅰ. 자연환경
      • Ⅱ. 한민족의 기원
      • Ⅲ. 한국사의 시대적 특성
      • Ⅳ. 한국문화의 특성
    • 02권 구석기 문화와 신석기 문화
      • 개요
      • Ⅰ. 구석기문화
      • Ⅱ. 신석기문화
    • 03권 청동기문화와 철기문화
      • 개요
      • Ⅰ. 청동기문화
      • Ⅱ. 철기문화
    • 04권 초기국가-고조선·부여·삼한
      • 개요
      • Ⅰ. 초기국가의 성격
      • Ⅱ. 고조선
      • Ⅲ. 부여
      • Ⅳ. 동예와 옥저
      • Ⅴ. 삼한
    • 05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Ⅰ-고구려
      • 개요
      • Ⅰ. 고구려의 성립과 발전
      • Ⅱ. 고구려의 변천
      • Ⅲ. 수·당과의 전쟁
      • Ⅳ. 고구려의 정치·경제와 사회
    • 06권 삼국의 정치와 사회 Ⅱ-백제
      • 개요
      • Ⅰ. 백제의 성립과 발전
      • Ⅱ. 백제의 변천
      • Ⅲ. 백제의 대외관계
      • Ⅳ. 백제의 정치·경제와 사회
    • 07권 고대의 정치와 사회 Ⅲ-신라·가야
      • 개요
      • Ⅰ. 신라의 성립과 발전
      • Ⅱ. 신라의 융성
      • Ⅲ. 신라의 대외관계
      • Ⅳ. 신라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가야사 인식의 제문제
      • Ⅵ. 가야의 성립
      • Ⅶ. 가야의 발전과 쇠망
      • Ⅷ. 가야의 대외관계
      • Ⅸ. 가야인의 생활
    • 08권 삼국의 문화
      • 개요
      • Ⅰ. 토착신앙
      • Ⅱ. 불교와 도교
      • Ⅲ. 유학과 역사학
      • Ⅳ. 문학과 예술
      • Ⅴ. 과학기술
      • Ⅵ. 의식주 생활
      • Ⅶ. 문화의 일본 전파
    • 09권 통일신라
      • 개요
      • Ⅰ. 삼국통일
      • Ⅱ. 전제왕권의 확립
      • Ⅲ. 경제와 사회
      • Ⅳ. 대외관계
      • Ⅴ. 문화
    • 10권 발해
      • 개요
      • Ⅰ. 발해의 성립과 발전
      • Ⅱ. 발해의 변천
      • Ⅲ. 발해의 대외관계
      • Ⅳ. 발해의 정치·경제와 사회
      • Ⅴ. 발해의 문화와 발해사 인식의 변천
    • 11권 신라의 쇠퇴와 후삼국
      • 개요
      • Ⅰ. 신라 하대의 사회변화
      • Ⅱ. 호족세력의 할거
      • Ⅲ. 후삼국의 정립
      • Ⅳ. 사상계의 변동
    • 12권 고려 왕조의 성립과 발전
      • 개요
      • Ⅰ. 고려 귀족사회의 형성
      • Ⅱ. 고려 귀족사회의 발전
    • 13권 고려 전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중앙의 정치조직
      • Ⅱ. 지방의 통치조직
      • Ⅲ. 군사조직
      • Ⅳ. 관리 등용제도
    • 14권 고려 전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전시과 체제
      • Ⅱ. 세역제도와 조운
      • Ⅲ. 수공업과 상업
    • 15권 고려 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사회구조
      • Ⅱ. 대외관계
    • 16권 고려 전기의 종교와 사상
      • 개요
      • Ⅰ. 불교
      • Ⅱ. 유학
      • Ⅲ. 도교 및 풍수지리·도참사상
    • 17권 고려 전기의 교육과 문화
      • 개요
      • Ⅰ. 교육
      • Ⅱ. 문화
    • 18권 고려 무신정권
      • 개요
      • Ⅰ. 무신정권의 성립과 변천
      • Ⅱ. 무신정권의 지배기구
      • Ⅲ. 무신정권기의 국왕과 무신
    • 19권 고려 후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정치체제와 정치세력의 변화
      • Ⅱ. 경제구조의 변화
    • 20권 고려 후기의 사회와 대외관계
      • 개요
      • Ⅰ. 신분제의 동요와 농민·천민의 봉기
      • Ⅱ. 대외관계의 전개
    • 21권 고려 후기의 사상과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변화
      • Ⅱ. 문화의 발달
    • 22권 조선 왕조의 성립과 대외관계
      • 개요
      • Ⅰ. 양반관료국가의 성립
      • Ⅱ. 조선 초기의 대외관계
    • 23권 조선 초기의 정치구조
      • 개요
      • Ⅰ. 양반관료 국가의 특성
      • Ⅱ. 중앙 정치구조
      • Ⅲ. 지방 통치체제
      • Ⅳ. 군사조직
      • Ⅴ. 교육제도와 과거제도
    • 24권 조선 초기의 경제구조
      • 개요
      • Ⅰ. 토지제도와 농업
      • Ⅱ. 상업
      • Ⅲ. 각 부문별 수공업과 생산업
      • Ⅳ. 국가재정
      • Ⅴ. 교통·운수·통신
      • Ⅵ. 도량형제도
    • 25권 조선 초기의 사회와 신분구조
      • 개요
      • Ⅰ. 인구동향과 사회신분
      • Ⅱ. 가족제도와 의식주 생활
      • Ⅲ. 구제제도와 그 기구
    • 26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Ⅰ
      • 개요
      • Ⅰ. 학문의 발전
      • Ⅱ. 국가제사와 종교
    • 27권 조선 초기의 문화 Ⅱ
      • 개요
      • Ⅰ. 과학
      • Ⅱ. 기술
      • Ⅲ. 문학
      • Ⅳ. 예술
    • 28권 조선 중기 사림세력의 등장과 활동
      • 개요
      • Ⅰ. 양반관료제의 모순과 사회·경제의 변동
      • Ⅱ. 사림세력의 등장
      • Ⅲ. 사림세력의 활동
    • 29권 조선 중기의 외침과 그 대응
      • 개요
      • Ⅰ. 임진왜란
      • Ⅱ. 정묘·병자호란
    • 30권 조선 중기의 정치와 경제
      • 개요
      • Ⅰ. 사림의 득세와 붕당의 출현
      • Ⅱ. 붕당정치의 전개와 운영구조
      • Ⅲ. 붕당정치하의 정치구조의 변동
      • Ⅳ. 자연재해·전란의 피해와 농업의 복구
      • Ⅴ. 대동법의 시행과 상공업의 변화
    • 31권 조선 중기의 사회와 문화
      • 개요
      • Ⅰ. 사족의 향촌지배체제
      • Ⅱ. 사족 중심 향촌지배체제의 재확립
      • Ⅲ. 예학의 발달과 유교적 예속의 보급
      • Ⅳ. 학문과 종교
      • Ⅴ. 문학과 예술
    • 32권 조선 후기의 정치
      • 개요
      • Ⅰ. 탕평정책과 왕정체제의 강화
      • Ⅱ. 양역변통론과 균역법의 시행
      • Ⅲ. 세도정치의 성립과 전개
      • Ⅳ. 부세제도의 문란과 삼정개혁
      • Ⅴ. 조선 후기의 대외관계
    • 33권 조선 후기의 경제
      • 개요
      • Ⅰ. 생산력의 증대와 사회분화
      • Ⅱ. 상품화폐경제의 발달
    • 34권 조선 후기의 사회
      • 개요
      • Ⅰ. 신분제의 이완과 신분의 변동
      • Ⅱ. 향촌사회의 변동
      • Ⅲ. 민속과 의식주
    • 35권 조선 후기의 문화
      • 개요
      • Ⅰ. 사상계의 동향과 민간신앙
      • Ⅱ. 학문과 기술의 발달
      • Ⅲ. 문학과 예술의 새 경향
    • 36권 조선 후기 민중사회의 성장
      • 개요
      • Ⅰ. 민중세력의 성장
      • Ⅱ. 18세기의 민중운동
      • Ⅲ. 19세기의 민중운동
    • 37권 서세 동점과 문호개방
      • 개요
      • Ⅰ. 구미세력의 침투
      • Ⅱ. 개화사상의 형성과 동학의 창도
      • Ⅲ. 대원군의 내정개혁과 대외정책
      • Ⅳ. 개항과 대외관계의 변화
    • 38권 개화와 수구의 갈등
      • 개요
      • Ⅰ. 개화파의 형성과 개화사상의 발전
      • Ⅱ. 개화정책의 추진
      • Ⅲ. 위정척사운동
      • Ⅳ. 임오군란과 청국세력의 침투
      • Ⅴ. 갑신정변
    • 39권 제국주의의 침투와 동학농민전쟁
      • 개요
      • Ⅰ. 제국주의 열강의 침투
      • Ⅱ. 조선정부의 대응(1885∼1893)
      • Ⅲ. 개항 후의 사회 경제적 변동
      • Ⅳ. 동학농민전쟁의 배경
      • Ⅴ. 제1차 동학농민전쟁
      • Ⅵ. 집강소의 설치와 폐정개혁
      • Ⅶ. 제2차 동학농민전쟁
    • 40권 청일전쟁과 갑오개혁
      • 개요
      • Ⅰ. 청일전쟁
      • Ⅱ. 청일전쟁과 1894년 농민전쟁
      • Ⅲ. 갑오경장
    • 41권 열강의 이권침탈과 독립협회
      • 개요
      • Ⅰ. 러·일간의 각축
      • Ⅱ. 열강의 이권침탈 개시
      • Ⅲ. 독립협회의 조직과 사상
      • Ⅳ. 독립협회의 활동
      • Ⅴ. 만민공동회의 정치투쟁
    • 42권 대한제국
      • 개요
      • Ⅰ. 대한제국의 성립
      • Ⅱ. 대한제국기의 개혁
      • Ⅲ. 러일전쟁
      • Ⅳ. 일제의 국권침탈
      • Ⅴ. 대한제국의 종말
    • 43권 국권회복운동
      • 개요
      • Ⅰ. 외교활동
      • Ⅱ. 범국민적 구국운동
      • Ⅲ. 애국계몽운동
      • Ⅳ. 항일의병전쟁
    • 44권 갑오개혁 이후의 사회·경제적 변동
      • 개요
      • Ⅰ. 외국 자본의 침투
      • Ⅱ. 민족경제의 동태
      • Ⅲ. 사회생활의 변동
    • 45권 신문화 운동Ⅰ
      • 개요
      • Ⅰ. 근대 교육운동
        • 1. 근대 교육의 성립
          • 1) 근대 교육 성립의 역사적 배경
            • (1) 개화정책의 추진과 신교육 수용론 대두
            • (2) 동도서기주의적 신교육 수용의 실패
            • (3) 선교사의 교육활동과 교육평등의식 계몽
            • (4) 변법개화파의 국민교육론 전개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의 성립
            • (1) 교육제도와 관리등용제도의 개혁
            • (2) 근대적 국민교육제도 정립
        • 2. 근대 교육의 발전
          • 1) 근대 교육의 이념
            • (1) 실용주의 교육 지향
            • (2) 자강주의 교육
          • 2) 근대 학교의 설립
            • 가. 정부의 근대학교 설립
            • 나. 전·현직관료 및 황제 측근세력들의 사립학교 설립
            • 다. 개항장 상인 및 유지 신사들의 사립학교 설립
            • 라. 요호·부민·유생 층의 학교 설립
            • 마. 선교사들의 학교 설립
            • 바. 구국계몽단체·학회 및 관련인사들의 학교 설립
            • 사. 불교와 천도교 종단의 사립학교 설립
          • 3) 근대 학교의 교육내용
        • 3. 근대 교육의 확대
          • 1) 통감부의 교육 침략
            • (1) 우민화교육 방침
            • (2) 동화정책의 방법으로서의 보통학교 확장
            • (3) 일본어 보급
            • (4) 교과를 통한 친일교육
            • (5) 일본인 교원배치
          • 2) 민족사학의 발전과 설립 이념
            • (1) 민족사학의 발전
            • (2) 민족사학의 설립이념
          • 3) 여자 교육의 발전
            • (1) 미션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2) 관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3) 민간인 사립여학교의 설립과 교육
          • 4) 고등교육의 성립
            • (1) 민립대학의 설치운동과 경성제국대학의 설립
            • (2) 기독교계 전문학교의 대학승격운동
          • 5) 교육내용의 추이
            • (1) 애국교과와 훈화를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2) 창가와 체육을 중심으로 한 교육내용
        • 4. 교육구국운동의 추진
          • 1) 근대 교육의 성격
            • (1) 근대 교육의 성격
            • (2) 근대 민족 교육의 확대
          • 2) 구국교육운동의 실태
            • (1) 사립학교의 설립
            • (2) 설학취지문의 검토
            • (3) 간도지역의 민족교육운동
            • (4) 역사교육의 확대
            • (5) 체육교육의 보급과 운동회의 개최
            • (6) 애국가와 독립가의 보급
        • 5. 근대적 교과서의 편찬
          • 1) 근대 교육 성립기의 교과서
          • 2) 근대 교육의 발전과 교과서
            • (1) 근대학교의 교육내용<교과목>
            • (2) 정부의 교과서 편찬
            • (3) 민간인에 의한 교과서 편찬과 실태
            • (4) 교과서의 내용
          • 3) 통감부하의 교과서
            • (1) 일제의 교육침략정책
            • (2) 학제의 개편
            • (3) 통감부의 교과서 통제
            • (4) 구국교육운동과 민간의 교과서 편찬
            • (5) 교과서의 실태
            • (6) 교과서 사용 실태
      • Ⅱ. 근대적 학문의 수용과 성장
        • 1. 근대 학문의 수용
          • 1) 서양 근대 학문의 세 수용통로
          • 2) 서양철학의 수용
          • 3) 사회진화론의 수용
          • 4) 사회과학의 수용
          • 5) 서양 인문사회과학 수용의 특징과 문제점
        • 2. 한국어 연구
          • 1) 언문일치의 첫걸음
            • (1) 두 문체의 대립
            • (2) 국한문체
            • (3) 국문체
          • 2) 초기의 국문 연구
            • (1) 지석영의<국문론>과<신정국문>
            • (2) 리(이)봉운의≪국문졍리≫(국문정리)
            • (3) 주시경의<국문론>과 그 뒤의 연구
            • (4) 이능화의<국문일정의견>
          • 3) 국문연구소의 업적
            • (1) 국문연구소에 관한 자료
            • (2) 개설의 동기와 목적
            • (3) 직원과 운영
            • (4) 사업의 경과
            • (5)<국문연구 의정안>
            • (6) 각 위원의 연구안
          • 4) 문법의 연구
            • (1) 서양인의 연구
            • (2) 유길준의≪대한문전≫
            • (3) 주시경의≪국어문법≫
            • (4) 어윤적의 연구
            • (5) 김희상의≪초등국어어전≫
          • 5) 주시경의 국어 연구
        • 3. 한국사 연구
          • 1) 연구의 필요성
          • 2) 근대 한국사 인식의 추이
            • (1) 실학시대 후기에서 개항기의 역사학
            • (2) 개화기 계몽주의 역사학
          • 3) 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1) 일제 식민주의 사학의 침투
            • (2) 근대민족주의 사학의 성립
      • Ⅲ. 근대 문학과 예술
        • 1. 근대 문학의 발전
          • 1) 개화기의 시대적 과제와 문체, 문학장르의 관련
            • (1) 위정척사파
            • (2) 온건보수파
            • (3) 개화자강파
            • (4) 일본체험파
            • (5) 민중계몽파
            • (6) 친기독교 개화파
          • 2) 개화기의 시가 장르
            • (1) 애국·독립가
            • (2) ‘사회등’ 가사를 비롯한 우국가
            • (3) 민요 개작
            • (4) 개화기의 시조와 가사
            • (5) 신체시
          • 3) 개화기의 서사 장르
            • (1) 신소설
            • (2) 역사·전기 소설
            • (3) 토론체 소설
        • 2. 근대 예술의 발전
          • 1) 음악
            • (1) 한국음악사회 구성
            • (2) 근대음악사의 전개
            • (3) 새로운 과제
          • 2) 미술
          • 3) 연극과 영화
          • 4) 무용
            • (1) 무도의 등장
            • (2) 권번춤의 무대화와 가무극의 번성
          • 5) 체육
            • (1) 학교체육의 전개양상
            • (2) 근대 스포츠의 소개
            • (3) 체육단체 결성
    • 46권 신문화운동 Ⅱ
      • 개요
      • Ⅰ. 근대 언론활동
      • Ⅱ. 근대 종교운동
      • Ⅲ. 근대 과학기술
    • 47권 일제의 무단통치와 3·1운동
      • 개요
      • Ⅰ. 일제의 식민지 통치기반 구축
      • Ⅱ. 1910년대 민족운동의 전개
      • Ⅲ. 3·1운동
    • 48권 임시정부의 수립과 독립전쟁
      • 개요
      • Ⅰ. 문화정치와 수탈의 강화
      • Ⅱ.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수립과 활동
      • Ⅲ. 독립군의 편성과 독립전쟁
      • Ⅳ. 독립군의 재편과 통합운동
      • Ⅴ. 의열투쟁의 전개
    • 49권 민족운동의 분화와 대중운동
      • 개요
      • Ⅰ. 국내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운동
      • Ⅱ. 6·10만세운동과 신간회운동
      • Ⅲ. 1920년대의 대중운동
    • 50권 전시체제와 민족운동
      • 개요
      • Ⅰ. 전시체제와 민족말살정책
      • Ⅱ. 1930년대 이후의 대중운동
      • Ⅲ. 1930년대 이후 해외 독립운동
      • Ⅳ.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체제정비와 한국광복군의 창설
    • 51권 민족문화의 수호와 발전
      • 개요
      • Ⅰ. 교육
      • Ⅱ. 언론
      • Ⅲ. 국학 연구
      • Ⅳ. 종교
      • Ⅴ. 과학과 예술
      • Ⅵ. 민속과 의식주
    • 52권 대한민국의 성립
      • 개요
      • Ⅰ. 광복과 미·소의 분할점령
      • Ⅱ. 통일국가 수립운동
      • Ⅲ. 미군정기의 사회·경제·문화
      • Ⅳ. 남북한 단독정부의 수립
나. 제2기

 제2기는 1876년부터 동학농민전쟁이 일어나는 1894년까지 약 18년간의 기간이다. 조선은 제2기 80년대 직전부터 西勢東漸 앞에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었다. 1876년에 일본과 불평등조약을 체결한 뒤였으므로 서양제국과 무차별한 문호개방이 이루어진 변화이다. 일본과 수교한 이래 온갖 열강과 조약체결이 이루어지면서, 조선은 1876년에 부산을 필두로 전국적으로 개항지가 개방되었다. 이로써 서울의 시전에서 지역의 포구에 이르는 우리 나라 전 지역에 걸쳐 상업·무역 등 각 분야의 민족자본 형성이 가로막히고, 자본주의 세계체제에 편입되어 조선의 민생과 국권은 위기에 휩싸인다. 조선은 민족위기를 극복하고 근대화를 추진하려는 斥邪衛正運動과 開化運動이 일어나 富國强兵·武備自强을 수립한다.427) 1880년의 통리기무아문 설치 이후 각종 군제개편 등은 정부가 대응하려 하였던 강병책 일환이었다. 이 정책으로 서양식 신식 군악대가 설치된다. 또 문호개방으로 서양 기독교계의 찬미가, 학교의 일본과 서양노래, 각 공사관과 이들의 문화공간에서 서양음악이 문화충격으로 소통되었다.

가) 서양식 군악대 설치

 조선에 서양식 군악대 설치는 두 방면에서 이루어진다. 1882년 10월 청국에 의하여 親軍右營에 銅號手 4명을 선발·훈련시킨 것이 밖으로부터 이루어진 예이다.428) 이후 청국이나 일본 그리고 러시아 등이 국내에서 정치외교적 우위성을 가질 때와 군제개편이 될 때마다 군악대 설치가 달라지고, 일제에 의하여 1907년 군대해산과 직제개편을 할 때까지 계속된다. 안으로부터 이루어진 경우는 李殷乭에 의해서다. 그는 개화당의 일원으로 1881년 日本敎導團軍樂隊에 유학하여 프랑스 악대지도자인 다그롱(Charles Dagron)으로부터 신호나팔과 코넷(Cornet)은 물론 일반군악교육 전반과 군사훈련을 마치고, 1883년에 귀국, 廣州병대에서 나팔수를 양성하였다.

나) 교회-학교를 통한 서양음악 소통

 제2기의 서양음악 수용통로는 두 산맥, 곧 군대와 교회이다. 성격상 군대가 기악에 관심을 가진다면, 교회는 성악에 더 관심을 기울인다. 교회를 통한 양악의 소통도 안팎의 전달자간의 성격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밖의 경우는 1885년에 들어온 미국선교사 언더우드(H. G. Underwood, 1859∼1916)와 아펜젤러(H. G. Appenzeller, 1858∼1902) 등이 대표하고, 안의 경우는 徐相崙과 白鴻俊 등이 대표한다. 전자가 학교를 중심으로 영어식 찬송가를 교재로 삼는다면, 후자는 황해도 소래교회 등의 현장 교회를 중심으로 한자-한글식 찬송가를 소통시키는 데서 그 성격이 갈라진다. 1885년을 전후로 알렌부부, 헤론부부, 스크랜턴부부, 아펜젤러부부, 언더우드부부 등 국내에 들어온 미국선교사들은 당시 20대 청년들로서 청교도적 취향으로 미국 음악문화를 이식시키고 있었다. 1892년에 악보 없는 가사집<찬양가>가 최초로 발간되었다.

 교회가 학교설립을 한 것도 양악 소통의 큰 산맥을 이룬다. 정부가 1898년 6월에 선교허용을 공식화하기 때문에 제2기 기간의 미선교부는 주로 학교와 병원을 통한 간접적 선교를 통하여 ‘찬미가’를 보급할 수 있었다.429) 제2기에 정부가 미선교사들에게 허락한 사업은 ‘학교와 병원’이었으므로 ‘교사’로 제한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초기 선교활동은 문화적 갈등을 심하게 겪고 있었지만, 선교사들에게 학교는 ‘조선을 복음화시키는 도구’이었으므로, 거의 예외없이 성경과목과 ‘찬미가’를 개설하고,430) 근대지향의 양악으로 작용케 하였다.

 서양음악의 통로는 또 가톨릭교회에 의한다. 1886년 5월 3일(음) ‘한불수호통상조규’가 조인되면서 가톨릭교회가 수난사를 마감하고 종교자유를 획득한다.431) 명동성당이 착공되고, 많은 학교를 세웠는데, 1893년에 가톨릭이 운영하는 사립학교가 36개교이었고, 학생수는 246명이나 되었다.432) 이에 앞선 1885년 가을에 서울 용산의 ‘예수성심신학교’를 세운 이래 리우빌(Liouville, 柳達榮)신부와 마라발(Maraval, 徐若瑟)신부는 그레고리오 성가를 신학교 교과목으로 가르쳤다.433) 1893년 藥峴聖堂 축성식 때는 조선에서 처음으로 ‘크레도(Credo)’ 등의 그레고리오 성가를 공식적으로 불렀다. 한편 일반성도들이 제1기 기간 동안에 불렀던 최양업 신부의 천주가사가 ‘노래가사 바꾸어 부르기’형태로 계속 부른다.

다) 서양음악문화의 교류

 조선이 국제간의 조약체결에 따라 조약 상대국가의 축하연주와 공사관에서 수비대들의 나팔수 활동 등 조선인의 서양문화경험은 점차 넓어진다. 1882년 5월 22일(양) 미국과의 수호통상조약이 조인되었을 때 조선의 대취타 연주보다는, 1883년 11월 26일에 조·독 조약체결을 축하하는 독일의 라이프찌히함대 군악대의 서울 외아문 공연이나 독일인 묄렌도르프(Paul George von Möllendorff, 1847∼1901)의 전동 집 마당에서 연주가 부각되었다. 손탁(Antoinette Sontag)양이 민비에게 서양음악을 소개하거나, 손탁호텔과 정동구락부 등에서 주한 외교관들이 서양음악을 소통시키고 있었다. 한편 통상조약 체결로 양악기류가 유통되었다. 자동악기(mecanical instrument) 중 하나인 八音盒을 비롯한 각종 악기가 수입되고, 1884년 일본에서 수입한 물품 중 악기 45원어치도 있을 정도로 수요가 늘어난다. 1884년에 인천에 카를 볼터(Karl Wolter)가 무역회사로 설립한 세창양행에선 악기를 포함한 외국 물품을 판매하였다. 이들 악기들은 대부분 신식 군제개편에 따른 나팔수들의 악기류이다. 또≪한성순보≫도 외국의 음악문화를 소개하고 있었다.

라) 조선음악의 근대 대응

 제2기는 국내적으로 관료들의 탐학이 극에 이르고 연이어 발생하는 가뭄과 토지직접 생산자이었던 농민들이 경향 각지에 火賊·水賊, 떠돌이 거지들의 流團, 才人들의 綵團들이 되어 지난 시기에 이어 출현하고 있었다. 또 군인들의 항쟁(1882)과 군제개편이나 갑신정변(1884) 등으로 국내는 정치적 변동을 겪어 갔다. 국외로는 열강들과 맺은 조약으로 경향 각지에서 개항이 잇따르며 조선사회가 격변한다. 개항장의 내국 상인들이 몰락하고, 시전과 장시 상인들이 淸·日商에 대한 점포철회 시위와 상회·상회사를 설립하여 대응했으며, 동학이 민중들과 결속해간다.

 음악문화도 서양음악이 ‘힘의 언어’로 부각되어 가는 동안, 신청 조직체와 떠돌이 전문예인집단들은 안팎의 시대 격변을 버티어 갔다. 중인들의 詩社활동체인 ‘六橋詩社’가 19세기 80년대 전반까지 전승하며 근대화를 준비한다. 이 시기 전 계층과 함께 오랫동안 생활해온 ‘삼현육각패’가 계속 주도하였다. 피리(2)·젓대(대금)·해금·장구·좌고로 편성한 이 형태는 각종 연회 때 연주하는 擧床樂, 각종 춤의 반주음악, 각종 의례 현장에서의 제례악, 또는 행진음악은 물론 떠돌이 전문예인집단의 연행에 어김없이 등장하였다. 국가적인 나례행사나 耆會와 관아의 연향, 관료들의 행차, 산신제, 향교의 제향, 마을의 제사, 개인적인 연회는 물론 민중들의 삶의 현장에서 시나위판과 신청예술인들의 굿판, 마을의 명절놀이 때나 잔치나 그 밖의 각종 놀이나 예인집단 등의 연행과 공연에 삼현육각패가 등장하였다. 이 편성을 중심으로 풍물악기 편성도 하지만, 삼현육각 편성의 6중주는 시나위와 각종 기악중주곡에서 벌써 판소리 가락과 어울려 독주악기로 함축시키는 새로운 ‘산조시대’를 제3기에 가능케 한다.

427)노동은,<개화기 음악연구Ⅰ>(≪한국민족음악현단계≫, 세광음악출판사, 1989), 103∼141쪽.
428)≪親軍右營都案≫(장서각 도서번호 2-609);≪親軍別營謄錄≫, 무자 5월 19일.

≪親軍壯衛營將卒實數成冊≫, 개국 503년 갑오 10월 29일.

≪摠禦營謄錄≫(장서각 도서번호 1411-30-1-9), 신유 3월 3일;≪敎導所出駐將兵成冊≫등 참조.
429)≪韓國外交文書≫11권, 美案 2, 242쪽.
430)학교의 校史들은 ‘唱歌’ 이름으로 기재하고 있지만, 당시에 일반화되지 않은 용어이다. 1906년 ‘보통학교령’과 ‘보통학교령 시행규칙’을 제정할 때 ‘唱歌’ 교과목이 처음으로 공식화되었다.
431)崔奭祐,<韓佛條約과 信敎自由>(≪韓國敎會史의 探究≫, 韓國敎會史硏究所 出版部, 1982), 187∼207쪽 참조.
432)盧吉明,<迫害期·開化期의 韓國天主敎會와 社會開發>(≪韓國天主敎會創設二百周年紀念, 韓國敎會史論文集≫Ⅰ, 韓國敎會史硏究所, 1984), 197∼199쪽.
433)Compte Rendu de la Societé des M. E. P,≪빠리외방전교회 연말보고서:1878∼1894≫.

한국교회사연구소,≪敎會史硏究≫4 중 자료, 1890년도 보고서, 253∼254쪽.

  * 이 글의 내용은 집필자의 개인적 견해이며, 국사편찬위원회의 공식적 견해와 다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