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관직
제목 | 경관직 |
---|---|
한자명 | 京官職 |
유형 | |
시대 | 조선 시대 |
관련국가 | 조선 |
유의어 | 경관(京官), 경직(京職) |
별칭•이칭 |
[정의]
조선 시대 중앙 관사에 소속된 관직을 총칭하여 이르는 말.
[내용]
조선 시대 중앙 관사는 거의 대부분 서울인 한성부에 위치하고 있었다. 이에 따라 중앙 관사에 소속된 관직을 경관직이라 불렀고, 이에 반하여 지방 관직의 경우는 외관직이라 불렀다. 이들 경관직은 서울의 각 관사에서 사무를 보았고, 녹봉 역시 외관직과 달리 광흥창에서 직접 수령하였다. 그러나 경우에 따라 근무지가 지방에 있다 하더라도 경관직으로 분류되는 경우가 있었다. 조선 초 개성유후사 소속 관원들은 근무지가 개성이어도 경관직으로 분류되었고, 조선 후기에는 광주부, 강화부, 수원부의 관원들도 경관직에 포함되었다. 이들 지역은 유수부(留守府)라고 칭하여 수도 방위의 핵심적 역할을 수행하였기 때문이었다. 또한 경기전(慶基殿), 선원전(璿源殿), 화령전(華寧殿), 장녕전(長寧殿), 만녕전(萬寧殿) 등 왕실과 관련된 곳의 관리 책임자, 각 왕릉 및 왕실 구성원의 묘를 관리하는 관직 등은 비록 근무지가 지방이라 하더라도 경관직으로 분류되었다.
▶ 관련자료
- ㆍ경관직(京官職)
- 사료로 보는 한국사 국문: 과거 응시 자격
- 7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국사: 중앙 정치 체제와 지방 행정 조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