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려 시대 (총 122 건)
목록개수 :
-
• 12목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년) 대에 외관(外官)을 파견한 지방 행정 조직.
-
• 2군
국왕의 친위 부대로서 왕의 경호와 궁궐 수비를 담당한 고려 전기의 중앙군 부대.
-
• 2성
고려 시기 최고 중앙 관부로서,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과 상서성(尙書省)을 합쳐 일컫는 말.
-
• 3경
고려 시기에 설치한 세 곳의 별경(別京).
-
• 5도
고려 시기 양계(兩界)를 제외한 지역에 설정한 광역 지방 행정 구역.
-
• 6위
고려 전기에 국가 중요 행사의 경비, 수도의 치안, 국왕의 시종과 의장, 궁성문 방비 등을 담당했던 6개의 중앙군 부대.
-
• 9성
1107년(예종 2) 윤관(尹瓘)의 군대가 여진족을 정벌하고 획득한 동북 변경 지역에 설치한 9개의 성.
-
• 9재 학당
최충(崔沖, 948~1068)이 벼슬에서 물러난 후 자신의 집에 세운 사립 교육 기관.
-
• 간쟁
국왕의 옳지 못한 행동이나 잘못된 국정 운영에 대해 비판하고 논쟁하던 행위.
-
• 감찰사
고려 후기 관리들에 대한 감찰과 탄핵 등을 담당한 감찰 기구.
-
• 강동 6주
거란의 1차 침입 이후 고려가 압록강 하류 유역에 설치한 6개 주.
-
• 개경
고려의 수도.
-
• 건원중보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에 정부에서 우리나라 최초로 만든 화폐.
-
• 경천사 10층 석탑
1348년(충목왕 4)에 대리석으로 만들어진 석탑.
-
• 공음전
고려 시기에 특정 관원에게 지급한 것으로, 자손에게 수조권(收租權)을 상속할 수 있는 토지.
-
• 과거 제도
고려 시기에 국가 시험을 통해 관료를 선발하던 제도.
-
• 광군
고려 초 설치되었던 지방 군사 조직.
-
• 교관겸수
불교의 교리 체계인 교(敎)와 실천 체계인 지관(止觀)을 함께 닦아야 한다는 사상.
-
• 교정도감
고려 후기 무신 집권층의 최고 권력 기구.
-
• 국사
고려 시기에 승려가 오를 수 있는 가장 높은 법계이자 관직.
-
• 국자감
고려 시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
• 군인전
고려 시기에 군인이 군역에 복무하는 대가로 수조권(收租權)을 부여받은 토지.
-
• 김사미⋅효심의 봉기
1193년(명종 23) 김사미(金沙彌, ?~1194)의 농민군과 효심(孝心, ?~?)의 농민군이 연합하여 일으킨 봉기.
-
• 남경
고려 시대에 설치된 별경(別京) 중 하나.
-
• 노비안검법
본래 양인이었는데 노비가 된 사람을 조사하여 다시 양인으로 만들기 위해 956년(광종 7)에 실시한 법.
-
• 녹봉
관직자들에게 정기적으로 지급되던 급료.
-
• 녹읍
신라에서 귀족 관인(官人)에게 직무 수행의 대가로 지급한 고을.
-
• 농상집요
원(元)에서 13세기 후반에 편찬하여 반포한 농업 서적.
-
• 대간
관료를 감찰하고 탄핵하는 임무를 띤 대관(臺官)과, 국왕에게 당대의 정치를 비판하는 직무를 담당한 간관(諫官)을 합쳐 부르는 말.
-
• 도관
고려의 도교 사원.
-
• 도방
고려 무신 집권기에 경대승(慶大升, 1154~1183)이 최초로 조직하고 최씨 정권에 의해 본격적으로 운영된 무신 집정자의 사병 집단.
-
• 도병마사
고려 시기에 국방 문제 등 국가적인 주요 의제를 협의하던 재상들의 협의 기구.
-
• 도참
앞으로 일어날 일의 길흉화복을 암시나 상징을 통해 예언하는 것.
-
• 도평의사사
고려 후기에 국정을 심의하고 결정한 조정의 최고 정무 기구.
-
• 도호부
고려 시기의 지방 행정 기구.
-
• 돈오점수
불교에서 선(禪)을 수행하는 방법 중 하나.
-
• 동명왕편
이규보(李奎報, 1168~1241)가 고구려의 시조인 동명왕 주몽(朱蒙, 재위 서기전 58~19)에 대해 쓴 장편 서사시.
-
• 만권당
충선왕(忠宣王, 재위 1298, 1308~1313)이 원(元)나라 수도인 대도(大都)지금의 베이징의 자기 집에 설치한 서재(書齋).
-
• 매지권
무덤을 만들 땅을 구매한 내역과 무덤의 안전을 신에게 기원하는 내용 등을 새긴 문서.
-
• 매향
미래에 미륵불의 세계에 태어날 것을 기원하며 향나무를 묻는 의식.
-
• 명경과
고려 시기에 유교 경전의 해석 능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한 과거 시험의 한 분과.
-
• 묘호
국왕이 죽은 뒤 종묘에 신위를 배향할 때 붙이는 임금의 호(號).
-
• 문묘
유교의 성인(聖人)이었던 공자(孔子, BC 551~BC 479)를 모시기 위하여 성균관, 향교 내에 설치한 사당.
-
• 문음
고려, 조선 시대에 국가에 큰 공훈이 있는 자들을 대우하기 위해 그들의 친족이나 후손을 관직에 임명했던 제도.
-
• 문하시중
고려 중서문하성(中書門下省)의 장관으로 최고위 관직.
-
• 법상종
고려 시기 불교 종파의 하나.
-
• 벽란도
고려 개경(開京) 서쪽을 흐르는 예성강 하구의 무역항.
-
• 별무반
고려 숙종(肅宗, 재위 1095~1105) 대 여진(女眞) 정벌에 대비하여 만든 군사 조직.
-
• 병마사
고려 시기에 양계(兩界)의 군사⋅행정을 담당한 관직, 혹은 5군의 지휘관.
-
• 부곡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
• 부석사 무량수전
경상북도 영주시 부석사에 있는 14세기에 건립된 목조 전각.
-
• 빈공과
중국에서 외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과거(科擧).
-
• 사병
국가가 제정한 군제(軍制)에 편성되어 있지 않고, 개인 혹은 사적 집단에 소속되어 있는 군사 집단.
-
• 사심관
고려 시기에 지방 출신의 중앙 관원을 통해 해당 지방을 관리한 특수 관직.
-
• 사천 매향비
경상남도 사천시 곤양면(昆陽面) 흥사리(興士里)에 있는 고려 말기의 매향비.
-
• 사학 12도
고려 시기에 개경(開京)에 있었던 12개의 사립 교육 기관.
-
• 삼국사기
김부식(金富軾) 등이 인종(仁宗, 재위 1122∼1146)의 명을 받아 1145년(인종 23) 편찬한 삼국 시기에 대한 역사책.
-
• 삼국유사
고려 후기의 고승 일연(一然, 1206~1289)이 불교적 입장에서 삼국 시대의 주요 사건과 일화를 편찬한 역사서.
-
• 삼별초
고려 무신 집권기에 설치된 특수 군대.
-
• 삼사
고려 시기에 전국의 조세 및 공물의 수입과 지출에 대해 회계 업무를 관장한 재정 기관.
-
• 상평창
고려 시기에 물가를 조절하기 위해 개경(開京)과 지방의 주요 고을에 설치했던 기관.
-
• 서경
고려 시기 평양(平壤)에 설치하였던 별경(別京).
-
• 서경권
조선 시대 국왕이 관리를 임명하거나 법령을 제정할 때, 대간(臺諫)의 동의를 구한 뒤 이들의 서명을 거쳐 시행하도록 규정했던 제도.
-
• 성균관
고려 후기 개경(開京)에 설치된 최고의 국립 교육 기관.
-
• 성리학
중국의 송(宋)나라 때 본격적으로 발전하고 유행했던 유학의 한 계통.
-
• 소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
• 속현
고려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되지 않은 지방 행정 구역.
-
• 수선사
보조 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이 주창한 불교 신앙 결사 운동이자 그 본산이 되었던 사찰의 명칭.
-
• 수시력
1270년에 원(元)나라의 천문학자 곽수경(郭守敬, 1231~1316)이 만든 역법(曆法).
-
• 승과
고려 시기에 승려를 선발하기 위해 실시했던 과거 시험.
-
• 승직
고려 시기에 국가가 불교 교단 및 사찰, 승려 등 불교와 관련된 문제를 관할하기 위해 설치한 불교 관청에 임명된 관직.
-
• 시무 28조
고려 성종(成宗, 재위 981~997) 대 최승로(崔承老, 927~989)가 건의한 28개 조항의 정치 개혁안.
-
• 시비법
토양이나 작물에 인위적으로 비료를 공급하여 농작물의 생육을 촉진하는 방법.
-
• 쌍성총관부
고려 후기 몽골에서 고려의 화주(和州) 함경남도 영흥 지역의 옛 지명 일대를 직접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관부.
-
• 쌍화점
고려 충렬왕(忠烈王, 재위 1274~1308) 대에 지어진 고려 가요, 혹은 향악곡.
-
• 아악
궁중 제례에 사용된 중국 전래 음악.
-
• 안찰사
고려 시기에 개경(開京) 이남의 지방 행정 구역인 5도에 중앙에서 파견한 관리.
-
• 양계
고려 시기 변경 지역에 설치된 광역 행정 구역인 동계(東界)와 북계(北界)를 합쳐 부르는 말.
-
• 양수척
후삼국 시기부터 고려 시기까지 일정한 거처 없이 떠돌아다니며 천업에 종사하던 무리.
-
• 양현고
고려 시기에 관학(官學) 진흥을 위해 설치한 장학 재단.
-
• 어사대
고려 시기에 정치의 잘잘못을 비판하고 풍속을 교정하며, 관리들의 부정을 감찰하고 탄핵하는 일을 담당하던 감찰 기구.
-
• 역법
천체의 운행 규칙을 계산하여 이를 시간 단위로 구분하여 표현하는 방법.
-
• 연등회
고려 시기에 국가적 행사로 시행된 불교 의례.
-
• 왕사
고려 시기에 임금의 스승으로 임명된 승려.
-
• 음서 제도
고려 시대에 5품 이상의 관직 생활을 했거나 국가에 공훈을 세운 인물의 후예, 혹은 왕족의 후예를 과거(科擧)를 거치지 않고 관리로 임용하는 제도.
-
• 의창
흉년에 농민들에게 양식을 대여하던 기관.
-
• 이규보
1168~1241, 고려 후기의 문신⋅학자⋅관료.
-
• 이승휴
1224~1300, 고려 후기의 문신.
-
• 이앙법
벼농사에서 모를 별도로 재배하고 본 논에 옮겨 심는 방법.
-
• 이인로
1152~1220, 고려 후기의 문신.
-
• 잡과
고려 시기에 전문 분야를 담당하는 기술관을 선발하던 과거 시험의 한 분과.
-
• 재인
고려와 조선 시기에 신분은 양인이나 천한 일에 종사하던 무리의 하나.
-
• 전민변정도감
고려 후기 권세가들이 빼앗은 토지와 노비를 판정하여 원래 주인과 신분으로 돌려주기 위해 설치한 임시 관서.
-
• 전시과
고려 시대 국가에서 문무 관료와 직역을 부여받은 계층에게 토지의 조세를 받을 수 있는 수조권(收租權)을 분급한 토지 제도.
-
• 정방
고려 무신 집권기 최우(崔瑀, ?~1249) 대부터 고려 말까지 인사 행정을 담당하던 기구.
-
• 정혜쌍수
보조국사(普照國師) 지눌(知訥, 1158~1210)이 주창한 불교 수행 방법.
-
• 제술과
고려 시기 과거 시험에서 주로 문장 짓는 능력과 시무책(時務策) 등을 시험 보던 분과.
-
• 제왕운기
1287년(충렬왕 13)에 이승휴(李承休, 1224~1300)가 지은 장편 서사시.
-
• 제위보
고려 시기에 백성의 구호와 질병 치료를 맡은 기관.
-
• 조공
전근대 동아시아의 중국 중심 국제 관계 속에서 주변국들이 사신(使臣)을 파견해 예물 등을 진상하던 행위.
-
• 주현
고려 시기에 지방관이 파견된 지방 행정 구역.
-
• 중방
고려 시기 중앙군인 2군 6위 지휘관들의 회의 기구.
-
• 중추원
고려 시기에 왕명을 출납하고 군사 기무를 관장하며 임금의 숙위(宿衛) 등을 담당한 관부.
-
• 지공거
고려 시기에 과거(科擧)를 관장한 최고 시험관.
-
• 천리장성
고려 시대 북쪽 국경 지대에 쌓은 장성.
-
• 철령위
고려 말기 명(明)에서 철령 이북의 고려 동북방 변경 지역을 직접 다스리기 위해 설치하려 했던 군사적 행정 관부.
-
• 첨의부
원(元) 간섭기에 고려의 행정 기능을 총괄한 최고 정무 기구.
-
• 청산별곡
고려 시대에 지어진 작자 미상의 고려 가요.
-
• 춘추관
나랏일을 기록하기 위하여 설치한 관서.
-
• 파한집
이인로(李仁老, 1152~1220)의 시화(詩話)집.
-
• 팔관회
삼국 시기부터 시작되어 고려 시기에 행해진 주요 국가 의례로, 하늘, 산천, 용신(龍神) 등에 대한 의례.
-
• 팔만대장경
13세기 전반에 새긴 대장경 목판 및 목판 인쇄물.
-
• 한림별곡
고려 고종(高宗, 재위 1213∼1259) 대 한림(翰林)의 여러 학자들이 지은 가사.
-
• 해동 천태종
대각국사(大覺國師) 의천(義天, 1055~1101)이 1097년(숙종 2) 완공된 국청사(國淸寺)의 주지로 취임하여 개창한 종파.
-
• 해동고승전
고려시대 승려 각훈(覺訓, ?~?)이 편찬한 우리나라 고승(高僧)들의 전기.
-
• 향
고려 시기에 군현(郡縣) 체제의 일부였던 특수 행정 단위 중 하나.
-
• 향도
여러 가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구성된 지방의 공동체. 보통 불교 신앙 활동을 목적으로 함.
-
• 향리
고려에서 조선 시기에 걸쳐 지방 행정 사무를 담당한 계층.
-
• 향리
고려⋅조선 시대 각 지방 관아의 행정 실무를 담당하던 토착 하급 관리.
-
• 혜민국
고려 중기에 백성들의 질병 치료를 위해 설치한 관서.
-
• 호장
고려 시기 향리직 중 제일 높은 직제.
-
• 훈요 10조
고려 태조(太祖, 재위 918∼943)가 박술희(朴述熙, ?~945)에게 비밀리에 남긴 유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