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 시대 (총 68 건)
목록개수 :
-
• 16관등
백제에서 실시한 관리의 위계제(位階制).
-
• 17관등
신라에서 시행되었던 관리의 위계제(位階制).
-
• 22담로
백제가 지방에 설치했던 행정 단위.
-
• 22부
백제의 중앙 관부.
-
• 5방
백제의 지방 행정 단위.
-
• 5부
고구려 건국을 주도하고 핵심 지배층을 형성한 5개의 단위 정치체이며, 고구려가 왕권 중심의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한 이후에는 수도 행정 구역으로 의미가 바뀌었다.
-
• 6부
신라 건국을 주도하고 핵심 지배층을 형성한 6개의 단위 정치체.
-
• 6정
신라의 중앙과 지방에 주둔한 6개 군단.
-
• 6촌
신라 건국 신화에서 건국의 기반이 되었던 6개의 지역 집단.
-
• 거서간
신라의 시조 박혁거세(朴赫居世, 재위 기원전 57~기원후 4)가 쓴 왕호(王號).
-
• 경당
고구려의 교육 기관.
-
• 경주 남산 신성비
591년(신라 진평왕 13년) 신라 도성인 경주(慶州)의 남산(南山)에 산성(남산 신성)을 쌓을 때 축성 공사와 관련한 내용을 새겨 세운 비석.
-
• 경주 월성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인왕동(仁旺洞)에 위치한 신라의 궁성(宮城) 유적.
-
• 계림 도독부
당(唐)이 신라 영토를 차지할 목적으로 설치하려 했던 지방 군사⋅행정 기관.
-
• 골품제
신라의 신분 제도.
-
• 국내성
서기 3년부터 427년까지의 고구려 왕성(王城) 혹은 수도.
-
• 국사
신라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이 거칠부(居柒夫) 등에게 명하여 편찬케 한 신라의 역사서.
-
• 국학
신라의 교육 기관.
-
• 금성
신라의 초기 왕성(王城) 혹은 수도의 이름.
-
• 나제 동맹
5세기 대 고구려의 남진에 대항하여 백제와 신라가 맺은 군사 동맹.
-
• 낙랑군
고조선(古朝鮮) 멸망 이후 한(漢)이 그 땅에 설치했던 지방 행정 기구인 한사군(漢四郡) 중 하나.
-
• 내물 마립간
356년에서 402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17대 왕.
-
• 내성
왕궁과 왕실 관련 업무를 총괄하던 신라의 관청.
-
• 녹읍
신라에서 귀족 관인(官人)에게 직무 수행의 대가로 지급한 고을.
-
• 대대로
고구려의 제1관등이면서 최고위 관직.
-
• 대막리지
고구려 말기에 행정과 군사권을 장악한 관직 혹은 관등.
-
• 대방군
지금의 황해도 지역에 설치되었던 중국의 지방 행정 단위.
-
• 마립간
신라 전기의 왕호(王號).
-
• 매지권
무덤을 만들 땅을 구매한 내역과 무덤의 안전을 신에게 기원하는 내용 등을 새긴 문서.
-
• 백강 전투
663년 백제 부흥군이 왜(倭)의 지원군과 함께 나당(羅唐) 연합군과 백강(白江)지금의 금강(錦江) 하구에서 벌인 전투.
-
• 병부
군사 관련 업무를 담당한 신라의 관부(官府).
-
• 사신도
동서남북의 네 방위를 나타내고 우주의 질서를 지키는 전설상의 신비한 동물[神獸]인 사신(四神)을 그린 그림.
-
• 사정부
관리를 감찰하는 업무를 담당한 신라의 관부(官府).
-
• 사택지적비
백제 말의 고위 귀족인 사택지적(沙宅智積)이 만든 비(碑).
-
• 상대등
신라의 최고 관직.
-
• 서기
박사(博士) 고흥(高興)이 근초고왕(近肖古王, 재위 346~375) 대에 편찬한 백제의 역사서.
-
• 서울 몽촌토성
서울특별시 송파구(松坡區) 방이동(芳荑洞)에 위치한 백제의 왕성(王城).
-
• 서울 풍납동 토성
서울특별시 강동구(江東區) 풍납동(風納洞)에 위치한 백제 전기의 왕성으로 추정되는 토성.
-
• 설총
통일 신라 시대의 학자이자 문장가.
-
• 세속 오계
신라의 원광 법사(圓光法師)가 가르친 5가지 계율.
-
• 신집
고구려 영양왕(嬰陽王, 재위 590~618)이 600년(고구려 영양왕 11년) 태학박사(太學博士) 이문진(李文眞)에게 명하여 편찬케 한 역사서.
-
• 안동 도호부
고구려 멸망 후에 당(唐)이 옛 고구려 지역을 통치하기 위해 설치한 군사⋅행정 기구.
-
• 오녀산성
중국 랴오닝 성[遼寧省] 환런 현[桓仁縣] 오녀산(五女山)에 위치한 고구려 산성.
-
• 외위
신라에서 지방인에게 수여한 관등(官等).
-
• 우경
소를 이용하여 농사를 짓는 형태.
-
• 위화부
관리의 인사 업무를 담당했던 신라의 관부(官府).
-
• 유기
고구려의 역사서.
-
• 율령
동아시아 국가들의 법과 제도, 혹은 법전의 명칭.
-
• 이사금
신라 초기에 사용되었던 왕호.
-
• 정사암 회의
재상의 선출 등 국가의 주요 사항을 의논하고 결정하던 백제의 귀족 회의.
-
• 제가 회의
부여 및 고구려 초기에 국정을 논의하고 결정했던 귀족 회의.
-
• 조공
전근대 동아시아의 중국 중심 국제 관계 속에서 주변국들이 사신(使臣)을 파견해 예물 등을 진상하던 행위.
-
• 조부
조세 관련 업무를 관장한 신라의 관부(官府).
-
• 좌평
백제의 제1관등이자 최고위 관직.
-
• 중시
신라 집사부(執事部)의 장관직.
-
• 진대법
빈민 구호를 목적으로 한 고구려의 곡물 대여 제도.
-
• 진평왕
579년에서 632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26대 왕.
-
• 진흥왕
540년에서 576년까지 재위한 신라 제24대 왕.
-
• 진흥왕 순수비
신라 진흥왕(眞興王, 재위 540~576)이 개척한 영토를 직접 돌아다니면서 살펴보고 이를 기념하여 세운 석비(石碑).
-
• 집사부
기밀 사무(機密事務)를 관장하던 신라의 관부.
-
• 차차웅
신라 제2대 왕인 남해 차차웅(南海次次雄, 재위 4~24)이 사용한 왕호.
-
• 천마총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황남동(皇南洞)의 대릉원(大陵苑) 내에 위치한 신라의 왕릉급 고분(古墳).
-
• 촌주
신라의 말단 지방 행정 단위인 촌(村)의 행정 책임자.
-
• 태학
고구려의 국립 교육 기관.
-
• 화랑도
신라의 청소년 수련 조직 겸 인재 등용 제도.
-
• 화백 회의
신라에서 국가의 중요한 일을 의논하던 귀족 회의체.
-
• 황룡사
지금의 경상북도 경주시(慶州市) 구황동(九黃洞)에 건립되었던 신라의 사찰.
-
• 흑치상지
백제의 장군으로 백제 부흥 운동을 이끌었으며, 후에 당(唐)에 투항하여 활약을 펼친 인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