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선 정벌
제목 | 나선 정벌 |
---|---|
한자명 | 羅禪征伐 |
유형 | |
시대 | 조선 시대 |
관련국가 | 조선, 청(靑), 러시아 |
유의어 | |
별칭•이칭 |
[정의]
청나라와 조선의 연합군과 러시아군이 1654년(효종 5)과 1658년(효종 9)에 만주의 영고탑(寧古塔)과 흑룡강(黑龍江)에서 벌였던 전투.
[내용]
나선(羅禪)은 러시아인을 한자어로 음역한 것이다. 서구 국가들이 해양 진출을 통해 식민지를 개척했던 16세기 중반 이후 러시아는 해양으로 진출하기가 어려워지자 우랄 산맥을 넘어 동아시아로 진출하기 시작했다. 러시아는 50여 년 만에 유라시아 동쪽 오호츠크⋅캄차카 등지에 도착했는데, 이러한 경이적인 정복 속도는 당시에 러시아의 침략을 저지할 토착 세력이 거의 없었기 때문에 가능했다.
러시아령 시베리아는 척박한 땅이었고, 러시아인들은 부족한 식량과 물자를 흑룡강 유역에서 공급받을 수 있으리라는 기대를 안고 1651년(효종 2) 흑룡강 우안(右岸) 알바진을 점령하였고, 이듬해에 우수리 강 하구에 성을 쌓아 송화강(松花江) 방면으로 진출하였다. 이에 따라 러시아는 청나라와 직접적인 충돌을 피할 수 없게 되었다. 1652년 청군은 러시아인을 공격했으나 실패했고, 이후 러시아인이 군사 활동을 재개하자 2차례에 걸쳐 조선에 조총 부대 파병을 요청했다.
1654년 3월 효종(孝宗, 재위 1649~1659)은 변급(邊岌)이 이끄는 조총군 100명과 초관(哨官), 기고수(旗鼓手) 50여 명을 파병하였다. 4월 영고탑에 도착한 조선군은 청나라 군사와 합류하였으며 흑룡강으로 거슬러 올라오는 러시아군을 만나 전투를 벌여 승리하였다. 그러나 그 뒤에도 러시아군의 흑룡강 지역 활동은 계속되었고, 청나라는 이를 제대로 통제하지 못하여 1658년 3월 재차 조선 조총군의 파병을 요청하였다. 효종은 이에 신류(申瀏) 장군이 이끄는 조총군 200명과 초관, 기고수 60여 명을 파견하였다. 조청 연합군은 6월 초 송화강과 흑룡강이 합류하는 곳에서 러시아 군사와 전투를 벌였으며, 이 전투로 러시아군은 거의 섬멸되었다. 아이러니하게도 청나라를 정벌하자는 효종의 북벌 정책으로 강한 군사력을 지니게 된 조선은 청나라를 도와 러시아군을 공격하는 데 큰 전과를 올렸다. 그러나 조선군은 정작 누구와 싸워서 이겼는지 알지 못했고, 청나라 요청에 따른 어쩔 수 없는 전투였다는 점 때문에 강한 군사력으로 크게 승리한 전투였음에도 불구하고 나선 정벌은 역사에서 크게 기억되지 못했다.
[의의]
나선 정벌은 조선이 서구 세력과 처음으로 경험한 직접적인 충돌이었다. 그리고 이 충돌을 통해 효종은 북벌 정책으로 강화된 군사력을 실험할 수 있었다.
▶ 관련자료
- ㆍ나선 정벌(羅禪征伐)
- 사료로 보는 한국사 해설: 나선 정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