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민단
제목 | 부민단 |
---|---|
한자명 | 扶民團 |
유형 | |
시대 | 근대 |
관련국가 | 중국 |
유의어 | |
별칭•이칭 |
[정의]
서간도 지역 한인 사회의 자치 기구였던 경학사(耕學社)를 모태로 결성된 항일 한인 자치 단체.
[내용]
이회영, 이시영, 이상룡 등 신민회 회원들은 1911년 유하현(柳河縣) 삼원포(三源浦) 추가가(鄒家街)에 자치 기관으로 경학사를 결성하고, 군인 양성을 위한 신흥강습소를 설립했다. 그러나 1911~1912년 연이은 흉년으로 자금 모금에 어려움을 겪으면서 경학사의 활동이 어려워졌다. 이에 길림성 통화현(通化縣) 합니하(哈泥河)로 본부를 옮겨 새로운 자치 기구로 부민단(扶民團)을 결성하였다. 부민단의 중앙 조직은 단장제(團長制)로 운영되었는데, 초대 단장은 허혁(許赫)이 맡았다. 지방 조직은 부락의 크기에 따라 대부락에는 천가장(天家長)을 두었고, 백가부락(百家部落)에는 구단(區團)을 설치하여 백가장(百家長) 또는 구장(區長)을 두었으며, 십가부락(十家部落)에는 십가장(十家長) 또는 패장(牌長)을 두었다. 또한 각 구(區)와 단(團)에는 단총리(團總理), 검찰장, 검찰원 등의 임원이 있어서 서간도의 한인 사회를 효과적으로 조직하고 운영하였다.
부민단은 서간도 지역 6천여 명 이상의 한인들을 관장했는데, 기본적인 사업은 한인의 자치 업무를 처리하는 것이었다. 한인 사이에 벌어지는 모든 민사, 형사 사건을 맡아서 처리했으며, 중국인 혹은 중국 관헌과의 분쟁도 맡아서 해결하였다. 그리고 새롭게 서간도로 이주해 오는 한인들을 도와주는 역할을 하였다. 한인 이주자들의 정착을 돕기 위해서 통화(通化), 환인(桓仁), 안동(安東) 등 서간도의 주요 지역에 임시 숙소를 설치하여 정착할 곳을 찾을 때까지 이주민을 보호해 주었다. 즉, 부민단은 서간도 한인 사회의 사법과 행정을 자임하는 명실상부한 자치 단체였다.
자치 사업 외에 또 다른 부민단의 중요한 사업은 서간도에 있는 신흥 무관 학교(新興武官學校)를 지원하는 일이었다. 신흥 무관 학교를 통해 독립군을 양성하여 독립운동의 핵심 동력을 만드는 것은 독립 전쟁을 위한 핵심적 사업이었다. 더구나 신흥 무관 학교를 거점으로 서간도 청년들에게 민족 교육을 적극적으로 보급하여 한인들의 독립 의식을 고취하는 것도 필수적인 일이었다. 부민단은 서간도 한인 사회의 자치 단체로서 한인들의 이주와 정착, 민족 교육을 통한 독립 의식의 고취, 신흥 무관 학교를 통한 독립군 양성 등 서간도에 독립군 기지를 조성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다.
1919년 3⋅1 운동이 일어나자, 3월 13일 부민단은 주변 단체를 통합해 한족회(韓族會)로 확대⋅개편되었다. 한족회는 유화현⋅통화현뿐 아니라 한인 주민 1만여 호, 약 6만여 명을 관장했다.